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
西施矉目(서시빈목)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5. 8. 03:00
西施矉目(서시빈목) - 서녘서, 베풀시, 찡그릴빈, 눈목서시가 눈살을 찡그린다는 말로 공연히 남을 흉내 내는 것을 비유하며 또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따라 하는 것을 가리킨다 장자 천운편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가 서쪽 위나라로 유세를 떠나자 제자 안연은 노나라의 역사 사금과 공자의 여행에 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사금은 공자가 위험에 빠질 것이라며 그 이유를 몇 가지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예의나 법도란 때에 대응하여 변하는 것이다. 지금 가령 원숭이를 잡아다 주공의 옷을 입힌다면 원숭이는 반드시 그것을 물어뜯고 찢어발겨서 모두 없애버린 뒤에야 만족할 것세. 옛날과 지금의 차이를 보면 원숭이와 주공이 다른 것과 같네 또 이런 이야기가 있다. 미인 서시가 가슴을 앓아 그녀의 마을에서 눈살을..
-
塞翁之馬(새옹지마)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30. 03:00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새, 늙은이옹, 어조사지, 말마변방의 늙은이의 말로 인생의 길흉화복이 무상하여 예측할 수 없음을 가리킨다 초기 도가의 노장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유안이 지은 회남자 인간훈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 북방에 호라는 이민족이 살고 있었다. 어느날 변방 늙은이의 말 한 마리가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자 이웃 사람들이 위로했다. 그러나 그 늙은이는 그 일을 마음에 두지 않고 태연히 말했다. 이 일이 어찌 복이 되지 않겠습니까 몇 달이 지난 어느날 달아났던 그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 한필을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와서 축하하는 말을 하자 늙은이는 이번에도 기뻐하는 낯빛이 없이 태연히 이렇게 말했다. 이 일이 어찌 화가 되지 않겠습니까 얼마 뒤에 그 아들이 말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
-
上善若水(상선약수)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23. 03:00
上善若水(상선약수) - 윗상, 착할선, 같을약, 물수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는 말로 만물을 이롭게 하는 물의 성질을 최상의 이상적인 경지로 삼는 도가의 말이다 노자에서 나오는 말로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 뛰어나지만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사람은 높은 곳을 향하고 물은 낮은 곳을 향한다는 말이 있다. 모든 사람이 아래에 놓이는 것을 싫어하지만 물은 그 반대라는 것이 노자의 생각이다. 이롭게 하기, 다툼이 없기, 남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하기 등 세가지 속성을 모티브로 하는 물의 속성을 상징하는 노자의 사고가 집약된 것이 상선약수라는 말이다 상선은 상덕과 같은 단어다. 노자는 도를 물과 기본적으로 같은 선상에 놓고 우리에게 물과 같은..
-
上兵伐謨(상병벌모)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16. 03:00
上兵伐謨(상병벌모) - 윗상, 군사병, 칠벌, 꾀할모최고의 계책은 적의 전략을 공격하는 것이라는 말로 손자병법에 나온다 최고의 계책은 적의 전략을 공격하는 것이고 차선책은 외교관계를 공격하는 것이며 그다음은 군대를 공격하는 것이고 최하의 방법은 성을 공격하는 것이다. 따라서 용병을 잘하는 자는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지만 전쟁은 하지 않고 적의 성을 함락시키지만 공격은 하지 않으며 적의 나라를 무너뜨리지만 질질 끌지는 않고 반드시 적을 온전하게 하여 천하를 다투므로 군대는 무너지지 않으면서 이익은 정말로 온전해지니 이것이야말로 지모로써 성을 공격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손무는 벌모, 벌교, 벌병, 공성의 순서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밑의 단계로 내려갈수록 희생만 커지고 성과가 없어진다. 이는 손무가 말한 비전, 비..
-
上德不德(상덕부덕)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9. 03:00
上德不德(상덕부덕) - 윗상, 덕덕, 아니부최상의 덕은 덕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말로 진실된 덕은 스스로 내세우지 않아도 겉으로 드러나게 된다는 뜻이다 노자 38장에 나오는 말로 최상의 덕으로 여겨지지 않는데 이로써 덕이 있다. 낮은 덕은 덕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하여 이 때문에 덕이 없는 것이다, 높은 덕은 거의로 하지 않고 해야 할 이유도 없다. 낮은 덕은 일부러 하려고 하며 할 이유도 있다. 한비자 해로 편에도 나오는 이 말은 도가의 무위 철학적 성격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것인데 성덕을 갖춘 군주는 굳이 밖으로 덕이 있다고 애써 나서지 않으며, 자연에 순응할 뿐 어떤 작위보다는 무위의 이치를 터득한 자다. 단호한 법치를 역설한 법가 사상의 한비가 무위자연으로 대표되는 도가 사상의 노자의 주장을 있는 ..
-
喪家之狗(상가지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2. 02:04
喪家之狗(상가지구) - 초상상, 집가, 어조사지, 개구상갓집 개라는 말로 상갓집은 슬픈 나머지 개에게 먹을 것을 줄 경황이 없어 개가 기운이 없고 수척하고 쇠약한 사람 혹은 이익을 좇아 이리저리 기웃거리는 사람을 비꼬는 말이다 사기 공자세기에서 공자는 최고의 성인으로 묘사되고 있다. 춘추시대 말기의 뛰어난 사상가인 공자는 야합으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고, 아내는 가출했으며, 아들은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그는 56살 때 노나라 조정의 대사구로서 직무를 대행했지만 몇 년 뒤에는 이 자리마저 잃었다. 그 뒤 공자는 위나라로 갔다가 다시 노나라로 돌아오기까지 13여년 동안 이나라 저나라로 편력하는 생활을 계속해야 했다. 공자가 편력을 시작했을 무렵, 위나라에서 조나라와 송나라를 거쳐 정나라로 갔을..
-
三寸之舌(삼촌지설)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3. 26. 03:00
三寸之舌(삼촌지설) - 석삼, 마디촌, 어조사지, 혀설세치 혀란 말로 뛰어난 말재주를 가르킨다 사기 평원군우경열전에 나오는 말이다. 기원전 257년 서쪽 강국 진나라가 조나라 수도 한단을 포위하자 조나라 왕은 평원군을 남방의 초나라로 보내 구원병을 요청하는 맹약을 체결하게 하고자 했다. 평원군은 문무를 겸비한 20명의 인재를 뽑으려 했고 19명은 선발했으나 맨 마지막 한 명이 문제였다. 그러자 3년 동안 눈에 띄지 않던 식객 모수란 자가 나타나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평원군을 탓하면서 자신은 주머니 속의 송곳 수준이 아니고 송곳의 자루 수준이라고 호기롭게 자천하는 것이었다. 그의 무례는 하늘을 찌를 법했다 그런데도 평원군은 모수를 일행에 끼워 넣었다. 초나라 왕은 찾아간 평원군은 밤새워 담판을 벌였으나 오..
-
三人成虎(삼인성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3. 19. 03:00
三人成虎(삼인성호) - 석삼, 사람인, 이룰성, 범호세 사람이면 호랑이도 만들어낸다는 말로 거짓말도 여러사람이 하면 곧이들린다는 뜻이다. 유언비어도 진실을 은폐하는 것을 비유할 때도 쓴다 한비자 내저설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위나라 혜왕때 일이다. 대신 방공은 태자와 함께 한단에 인질로 가면서 왕에게 일러 말했다. 지금 어떤 한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있다고 말하면 왕께서는 믿으시겠습니까 ? 왕이 말하길 믿지 않소 방공이 말했다. 두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있다고 말하면 왕께서는 믿으시겠습니까 ? 믿지 않소 방공이 말했다. 세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있다고 말하면 왕께서는 믿으시겠습니까 ? 왕이 말했다 과인은 믿을 것이오 방공이 말했다 무릇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