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
刻舟求劍(각주구검)와 竭澤而漁(갈택이어)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1. 7. 20. 04:56
刻舟求劍(각주구검) 배에 새겨 칼을 구한다는 뜻으로 사리에 어두워 어리석은 행동을 하거나 시대 변화를 모르고 옛것만 고집하는 완고한 사람의 행동을 비유한다. 守株待兎(수주대토)는 그루터기에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각주구검과 비슷하다 전국시대 말기 진나라의 정치가 여불위가 편찬한 에 나오는 이야기다. 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이 무척 아끼는 칼 한자루를 가지고 배에 올랐다. 그는 칼을 가슴에 품고 장강을 건너고 있었다. 강 중간쯤 이르렀을 때, 옆 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그만 실수로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는 재빨리 손을 뻗어 칼을 잡으려 했지만 이미 때는 늦어 칼은 물속으로 자취를 감추어버렸다. 이 사람은 허리춤에서 또 다른 칼을 꺼내 황급히 배의 그 자리에 표시를 해두었다. 그 모습을 보..
-
苛政猛虎(가정맹호)와 各自爲政(각자위정)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1. 7. 17. 02:36
苛政猛虎(가정맹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말로 苛政猛於虎에서 於자를 생략한 것이다. 苛斂誅求(가렴주구)와 같다. 여기서 政은 세금을 징수한다는 뜻이다 징수한다는 의미의 徵과 통하는 말이다 중국에서 禮의 본질과 의미를 상세하게 기록한 에서 나오는 말이다. 어느날 공자가 수레를 끌고 제자들과 태산 기슭을 지나가고 있었다. 그때 어디에선가 여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공자가 발길을 멈추고 주위를 살펴보니 길가 풀숲에 무덤 셋이 보이고, 그 무덤 앞에서 한 여인이 울고 있었다. 공자는 용맹한 제자 자로에게 그 까닭을 알아보라고 했다. 자로가 여인에게 다가가 물었다. 당신께서 우는 게 한결같이 무겁고도 근심스러워 보입니다. 여인은 깜짝 놀라 고개를 들더니 이렇게 대답했다. 옛날에 저의 시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