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塞翁之馬(새옹지마)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30. 03:00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새, 늙은이옹, 어조사지, 말마
변방의 늙은이의 말로 인생의 길흉화복이 무상하여 예측할 수 없음을 가리킨다
초기 도가의 노장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유안이 지은 회남자 인간훈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 북방에 호라는 이민족이 살고 있었다. 어느날 변방 늙은이의 말 한 마리가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자 이웃 사람들이 위로했다. 그러나 그 늙은이는 그 일을 마음에 두지 않고 태연히 말했다. 이 일이 어찌 복이 되지 않겠습니까 몇 달이 지난 어느날 달아났던 그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 한필을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와서 축하하는 말을 하자 늙은이는 이번에도 기뻐하는 낯빛이 없이 태연히 이렇게 말했다. 이 일이 어찌 화가 되지 않겠습니까
얼마 뒤에 그 아들이 말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다. 마을 사람들이 또 위로하러 왔다. 그러나 늙은이는 슬퍼하는 기색도 없이 여전히 태연하게 말했다. 이 일이 어찌 복이 되지 않겠습니까 그로부터 1년이 지나 오랑캐가 쳐들어오자 젊은이들이 모두 전쟁터로 나가야만 했다 전쟁터로 나간 젊은이들은 대부분 살아 돌아오지 못했으나 늙은이의 아들만은 불구여서 끌려가지 않아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회남자에는 이렇게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복이 화가 되고 화가 복이 되니 변화는 끝이 없고 깊어 예측하기 어렵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施矉目(서시빈목)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5.08 上善若水(상선약수)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23 上兵伐謨(상병벌모)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16 上德不德(상덕부덕)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09 喪家之狗(상가지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