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
제국의 야망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5. 3. 7. 02:38
세계의 제국사를 읽는데에 중요한 열쇠는 정체성을 둘러싼 싸움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독립의 기운이 고조되는 것은 제국의 폭압적인 지배 속에서 원한의 불씨, 피지배민족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여 제국이 쇠락해감으로 인해 독립운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독립운동은 이민족의 지배로 상실한 민족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그 예로 중국의 원나라가 있는데 이들은 한족을 지배했는데 한족에게 굴욕적인 법률를 많이 만들었다. 한족은 몽골인에게 맞아도 같이 때려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청나라 때 한족은 지배자에 대한 복종의 의미로 변발을 강요했다. 우리나라도 일제 지배시기에 단발령을 내렸다. 그런 관습이 없는 피지배민족은 정체성의 혼란이 오고 그에 대한 저항이 민족운동으로 이어진다...
-
왜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의 독립을 저지했을까 ?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5. 2. 25. 03:00
동티모르는 2002년에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신생 국가로, 동티모르와 서티모르는 원래 티모르라는 하나의 섬나라였다. 티모르의 식민 통치권을 놓고 대립하던 포르투갈과 네덜란드가 리스본 조약을 체결하여 섬을 반으로 갈라 서쪽은 네덜란드, 동쪽은 포르투갈이 통치하면서 나뉜 것이다. 1940년대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등 티모르는 오랫동안 식민 통치를 받았다. 제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서티모르는 인도네시아에 합병되었으나 동티모르는 계속 포르투갈의 식민지령으로 있었다. 1974년 4월 25일 민주화를 내걸고 포르투갈에서 쿠데타(카네이션 혁명)가 일어난 것을 틈타 동티모르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곧이어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점령했다 이후 동티모르는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갔고,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정..
-
필리핀이 납치국의 오명의 이유와 필리핀 국기 색이 잘못된 이유는 ?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5. 1. 7. 03:00
마젤란이 세계 일주를 하던 중 필리핀에 도착한 이후 필리핀은 마젤란을 후원했던 에스파냐의 식민지가 되었다. 필리핀이란 국명은 에스파냐의 국왕 펠리페 2세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에스파냐의 오랜 식민 통치를 받아 전체 국민의 80%가 가톨릭교도이며 미국의 지배를 받아 영어가 사실상 공용어이다. 필리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납치 사건이 발생하는 나라로 반정부군에 의한 외국인 납치가 주로 일어난다. 에스파냐에 의해 가톨릭교가 필리핀에 전파되기 이전인 1300년경 중국을 오가는 말레이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교가 이미 필리핀에 널리 퍼져 있었다. 에스파냐인들은 이슬람교로 개정한 원주민을 모로족으로 불렀다. 이슬람의 오랜 통치를 받았던 에스파냐인들은 모로족을 적대시했고 가톨릭교로 개종한 원주민으로 구성된 정벌 부..
-
캄보디아는 어떻게 민족 국가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 ?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5. 1. 3. 03:00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에는 미얀마, 타이,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5개국이 있다. 이 나라들은 수많은 소수 민족이 결합한 다민족 국가로서 민족간 갈등으로 정국이 불안정한 상태다. 그런데 캄보디아는 인도차이나반도의 다른 국가와 달리 크메르인이 인구의 약 90%를 차지하여 단일 민족 국가라 할 수 있다. 크메르인은 선사 이래로 인도차이나반도 남부 메콩강 부근에 살던 황인종계의 원주민과 서방에서 이주해 온 인도계 사람들과의 혼혈로 등장했다. 크메르 문명은 이들 크메르인이 세운 동남아시아의 최초의 국가인 부남국에서부터 시작된다(부남은 산을 의미하는 프놈이라고도 하는데 수도 프놈펜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다) 부남국은 메콩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해상 교역국으로 번성했으며, 인도의 선진 문명을 받아들여 크메르 문..
-
긴 미소 냉전시기가 가능한 것은 소련의 무한한 자원을 보유라고 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3. 7. 4. 03:15
제 1차 세계대전부터 제 2차 세계대전에 걸쳐서 미국이 차차 세계의 경제 패권을 거머쥐고자 하던 때, 갑자기 거대한 대항 세력이 나타났다. 바로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 소련이다. 19-20세기에는 공산주의 사상이 전 세계를 석권했던 경제 사상이다. 19세기 독일에서 탄생한 공산주의 사상은 전 세계의 지식인들에게 널리 퍼졌다. 당시는 자본주의의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빈부 격차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시기였다. 산업혁명을 통해 대규모 공장이 출현하여 거액의 부를 축적하는 자본가가 생겨나는 한편,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을 받으며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당시 서구 국가들은 노동법이 정비 되어 있지 않아 노동조건은 고용주와 노동자 사이에서..
-
(우주-2) 우주군 창설로 우주전쟁의 서막과 자원개발로 이어지는 우주개발의 시대로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3. 6. 27. 03:29
2019년 미국이 우주군을 창설함에 따라 러시아와 중국도 군 조직에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이 행위가 우주조약을 위반한다는 우려가 일었다. 하지만 그 조약은 핵미사일 같은 대량살상 무기를 궤도나 천체에 설치하거나 어떤 다른 식으로라도 놓아두면 안 된다는 내용만 명시하고 있을 뿐이다. 현재에는 레이저를 탑재한 위성을 두는 것을 막을 어떠한 국제법도 부재한 실정이다. 일단 한나라가 시작하면 다른 나라가 이어 뒤따르게 된다. 한편 미국 국방부가 우주는 전쟁터라는 모토를 내세우고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세기에는 핵전쟁 발발이 우리의 삶을 파괴할 위험이었다면 이제는 우주의 군사화가 비슷한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나라들은 군사개념에 우주를 포함시키고 있다. 저궤도부터 달까지 궁극적으로는 그 너머까지..
-
(우주-1) 2천km내에 저궤도에서 군사 및 상업적 우주전쟁 중이다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3. 6. 20. 03:36
지구의 대기권을 뚫고 나가면서 우주공간은 정치적 각축장이 되었다. 이슈의 중심은 달이나 화성 같은 물리적 영토를 주장하는 것뿐 아니라 그곳으로 가는데 필요한 연료 보급소와 병목지점들도 또한 주요 이슈다. 만약 그것들의 사용에 관한 규칙과 우리가 도달할 영토를 관리할 법적인 틀을 합의하지 못한다면 지구 위에서 인류의 역사 내내 벌었던 싸움으로 귀결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주 레이스는 한층 가열되고 있다. 미국, 일본,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은 2020년 아르메르협정에 서명한 첫 번째 우주 탐사국이다 이들은 2024년까지 달에 최초로 여성을 착륙시키거나 13번째 인간을 착륙시키는 활동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그것은 2028년까지 미래의 에너지원인 헬륨 3의 채굴을 위해 달에 기지를 설치하려는 인..
-
(에티오피아-1) 물의 자원이 풍부하고 식민지배를 겪지 않은 에티오피아에 대해아들을 위한 인문학/정치 2023. 5. 30. 03:45
에디오피아의 지정학적 위치와 그 중요도를 규정하는 것은 물이다. 이 나라의 강점은 담수라면 해수는 이 나라의 약점이다. 에티오피아에는 12개의 커다란 호수가 있고 9개의 큰 강이 있다. 덕분에 이웃 나라들 대부분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보니 정치적 영향력이 크다. 반면 부족한 것은 해안과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것이다. 에디오피아는 국경분쟁, 극단주의, 해적 등 갈등이 많은 지역이나 교역에서 잠재적 이익을 바라보는 튀르키예, 중국, 걸프 국가들은 비롯한 미국의 관심까지 불러들이고 있다. 또한 물 다음으로 동아프리카 지구대(아프리카 동부를 남북으로 달리는 폭 50km 내외에 달하는 대단층 함몰지대)로 그것이 만들어낸 산맥과 계곡들이 에티오피아를 길게 갈라놓고 있다. 시리아에서 시작해서 남쪽인 모잠비크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