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上善若水(상선약수)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4. 23. 03:00
上善若水(상선약수) - 윗상, 착할선, 같을약, 물수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는 말로 만물을 이롭게 하는 물의 성질을 최상의 이상적인 경지로 삼는 도가의 말이다
노자에서 나오는 말로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 뛰어나지만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사람은 높은 곳을 향하고 물은 낮은 곳을 향한다는 말이 있다. 모든 사람이 아래에 놓이는 것을 싫어하지만 물은 그 반대라는 것이 노자의 생각이다. 이롭게 하기, 다툼이 없기, 남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하기 등 세가지 속성을 모티브로 하는 물의 속성을 상징하는 노자의 사고가 집약된 것이 상선약수라는 말이다
상선은 상덕과 같은 단어다. 노자는 도를 물과 기본적으로 같은 선상에 놓고 우리에게 물과 같은 존재가 되라고 요구한다. 늘 낮은 곳에 처하면서 남과 다툼이 없으면서도 생명의 근원이 되는 바로 그런 존재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해주고 낮은 곳에 처하면서 자기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자기를 잃지 않아 도를 터득한 성인과 어울리며 말없는 교화와 무위의 유익함을 상징한다. 유약함을 특성으로 하면서도 이로움을 주는 물의 무위야말로 우주 운행의 이치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 행위의 필수 요건이기도 하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兵伐謨(상병벌모)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16 上德不德(상덕부덕)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09 喪家之狗(상가지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4.02 三寸之舌(삼촌지설)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3.26 三人成虎(삼인성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