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古(오랠,옛)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31. 03:00
(古)오랠,옛고 (故)연고고 (做)만들주 (胡)오랑캐호 (糊)풀,모호할호(古)오랠,옛고는 많은 말은 오래되고 옛날이니 (故)연고고는 오래된 일이지만 짚으면 연고가 되니 (做)만들주는 사람이 무엇을 연고에 따라 만드니 (胡)오랑캐호는 오래된 고기를 즐겨 먹는 이는 (糊)풀,모호할호는 쌀로 오랑캐가 죽처럼 끓인 풀이니 1. 古物(고물,옛고,물건물), 中古品(중고품,중간중,물품품) 2. 故鄕(고향,연고고,시골향), 故意(고의,옛고,뜻의) 3. 看做(간주,볼간,만들주) 4. 胡桃(호도,오랑캐호,복숭아나무도), 胡亂(호란,어지러울란) 5. 糊口之策(호구지책,풀호,입구,어조사지,채찍책), 曖昧模糊(애매모호,가릴애, 흐릴매,법모,모호할호)
-
支(지탱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24. 03:00
(支)지탱할,다룰,가지,지출할지 (肢)사지지 (伎)재주기 (岐)갈림길기 (妓)기생기(支)지탱할,가지,지출할지는 많은 것을 손으로 지탱하니 (肢)사지지는 몸에서 갈라져 나온 사지 (伎)재주기는 사람이 무엇을 다루는 재주 (岐)갈림길기는 산이 갈라진 곳에 생긴 (妓)기생기는 여자 중 불러 다룰 수 있는 기생 1. 支撑(지탱,지탱할지,버팀목탱), 支店(지점,가를지,가게점), 收支(수지,거둘수,지출지) 2. 下肢(하지,아래하,사지지), 肢體(사지,몸체) 3. 技倆(기량,재주기,재주량), 雜技(잡기,섞일잡) 4. 分岐點(분기점,나눌분,갈림길기,점점), 岐路(기로,길로) 5. 妓女(기녀,기생기,여자여), 官妓(관기,벼슬관), 名技(명기,이름명)
-
十(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17. 03:00
(什)열십,세간집 (汁)즙즙 (傘)우산산 (旭)아침해,빛날욱 (軌)길,법궤(什)열사람십,세간집은 사람이 열씩 모인 단위 (汁)즙즙은 물처럼 많이 나오게 짠 즙 (傘)우산산은 위가 덮인 아래에 우산살이 있고 십자 모양의 손잡이도 있는 우산이니 (旭)아침해,빛날욱은 크게 햇살이 빛내며 돋는 아침해 (軌)길,법궤는 수레도 다니도록 크게 만든 길 1. 什長(십장,열사람십,우두머리장), 什器(집기,세간집,그릇기) 2. 果汁(과즙,과실과,즙즙), 生汁(생즙,날생) 3. 傘下機關(산하기관,우산산,아래하,틀기,빗장관), 陽傘(양산,볕양) 4. 旭日旗(욱일기,아침해욱,해일,깃발기) 5. 軌道(궤도,길궤,길도), 軌跡(궤적,길궤,자취적), 軌範(궤범,법궤,법범)
-
容(얼굴,받아들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10. 03:00
(容)얼굴,받아들일용 (鎔)녹일용 (熔)녹일용 (溶)녹일용 (蓉)연꽃용(容)얼굴,받아들일용은 집안일로 골짜기처럼 주름진 얼굴이니 (鎔)녹일용은 쇠로 어떤 모양을 만들기 위해 녹이니 (熔)녹일용은 불로 어떤 모양을 만들기 위해 녹이니 (溶)녹일용은 물 모양으로 녹이니 (蓉)연꽃용은 풀 중 웃는 얼굴처럼 예쁜 연꽃이니 1. 容貌(용모,얼굴용,얼굴모), 容認(용인,받아들일용,인식할인) 2. 鎔接(용접,녹일용,접할접), 鎔鑛爐(용광로,쇳돌광,화로로) 3. 熔巖(용암,녹일용,바위암) 4. 水溶性(수용성,물수,녹일용,성질성), 溶解(용해,풀해), 溶液(용액,진액) 5. 芙蓉堂(부용당,부용부,연꽃용,집당)
-
只(다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4. 03:00
(只)다만지 (枳)탱자지 (咫)짧은거리지 (谷)골짜기곡 (壑)골짜기학(只)다만지는 입으로 다만 팔자타령만 하니 (枳)탱자지는 나무에 열리는 다만 역재로만 쓰이는 탱자니 (咫)짧은거리지는 자로 다만 한자 정도의 짧은 거리니 (谷)골짜기곡은 양쪽으로 벌어지고 벌어진 구멍처럼 패인 골짜기니 (壑)골짜기학은 점쳐 덮어 하나의 골짜기처럼 또 흙을 파 만든 구렁처럼 생긴 골짜기 1. 只今(지금,다만지,이제금), 但只(단지,다만단,다만지) 2. 橘化爲枳(귤화위지,귤나무귤,될화,할위,탱자나무지) 3. 咫尺之間(지척지간,짧은거리지,자척,어조사지,사이간) 4. 進退維谷(진퇴유곡,나아갈진,물러날퇴,바유,골짜기곡) 溪谷(계곡,시내계) 5. 萬壑千峰(만학천봉,일만만,골짜기학,일천천,봉우리봉)
-
半(반)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2. 24. 03:00
(半)반반 (伴)짝,따를반 (拌)뒤섞일반 (畔)두둑반 (絆)얽을,줄반(半)반반은 둘로 나누어 자른 반이니 (伴)짝,따를반은 사람의 반쪽은 (拌)뒤섞일반은 손으로 반씩 섞으니 (畔)두둑반은 밭을 반으로 나눈 두둑 (絆)얽을,줄반은 실로 반씩 얽힌 줄 1. 半信半疑(반신반의,반반,믿을신,의심할의), 過半(과반,지날과) 2. 伴侶者(반려자,짝반,짝려,놈자), 伴奏(반주,따를반,연주할연) 3. 攪拌(교반,어지러울교,뒤섞을반) 4. 湖畔(호반,호수호,두둑반) 5. 絆瘡膏(반창고,줄반,부스럼창,기름고)
-
吾(나)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2. 17. 03:00
(梧)오동나무오 (寤)깰오 (衙)관청아 (圄)가둘어 (爵)벼슬,술잔작 (嚼)씹을작 (梧)오동나무오는 나무 중 나에게 필요한 것은 (寤)깰오는 집의 나무조각 침대에 자다가 내가 깨니 (衙)관청아는 내가 자주 다니는 곳은 (圄)가둘어는 에울담 같은 감옥에 나를 가두니 (爵)벼슬작은 손에 법망을 잡고 머물러 마디에 따지는 벼슬이니 (嚼)씹을작은 입에 대기만 하는 술잔처럼 삼키지 않고 씹으니 1. 梧桐一葉(오동일엽,오동나무오,오동나무동,한일,잎엽) 2. 寤寐不忘(오매불망,깰오,잠잘매,아니불,잊을망) 3. 官衙(관아,벼슬관,관청아) 衙前(아전,앞전) 4. 囹圄(영어,감옥영,감옥어) 5. 爵位(작위,벼슬작,자리위) 高官大爵(고관대작,높을고,벼슬관,큰대) 6. 詛嚼(저작,저주할저,씹을작)
-
良(어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2. 10. 03:04
(良)좋을,어질량 (狼)이리,어지러울랑 (食)먹을식,밥사 (蝕)좀먹을식(良)좋을량은 작은 점도 그치면 좋고 어지니 (狼)이리,어지러울랑는 개처럼 좋게 생긴 이리니 (食)먹을식,밥사는 사람이 몸에 좋은 밥을 먹으니 (蝕)좀먹을식은 밥처럼 좀벌레가 갉아먹으니 1. 改良(개량,고칠개,좋을량), 良質(양질,바탕질), 良心(양심,어질량,마음심) 2. 狼狽(낭패,이리낭,이리패) 狼子(낭자,어지러울랑,아들자) 3. 食堂(식당,밥식,집당) 飮食(음식,마실음,먹을식) 4. 腐蝕(부식,썩을부,좀먹을식) 浸蝕(침식,담글침), 日蝕(일식,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