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熏(불길,연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5. 19. 03:00
(熏)불길,연기훈 (勳)공훈 (薰)향풀훈 (黜)내칠출 (布)베,펼포 (怖)두려워할포(熏)불길,연기훈은 천갈래로 퍼지는 불길의 검은 연기니 (勳)공훈은 연기처럼 힘으로 이룬 공이니 (薰)향풀훈은 풀 중 연기처럼 향이 나는 풀이니 (黜)내칠출은 검은 마음을 나가게 내치니 (布)베,펼포은 많이 수건처럼 넓게 베를 펴니 (怖)두려워할포는 마음을 여러모로 펴며 두려워하니 1. 熏製(훈제,연기훈,지을제), 熏蒸(훈증,찔증) 2. 報勳(보훈,갚을보,공훈), 功勳(공훈,공공) 勳舊(훈구,옛구) 3. 薰氣(훈기,향풀향,기운기), 薰薰(훈훈) 4. 廢黜(폐출,폐할폐,내칠출) 黜黨(출당,무리당) 5. 布袋(포대,베포,자루대), 宣布(선포,베풀선,펼포) 6. 恐怖(공포,두려워할공,두려워할포),
-
乇(부탁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5. 12. 03:00
(托)맡길탁 (託)부탁할탁 (宅)집택 (灰)재회 (恢)넓을회(托)맡길탁은 손으로 부탁하여 맡기는 (託)부탁할탁은 말로 부탁하니 (宅)집택은 지붕 아래 의탁하여 사는 곳이니 (灰)재회는 많이 불타고 남은 재니 (恢)넓을회는 마음에 재가 사라지면 넓어지니 1. 信托(신탁,믿을신,맡길탁) 托鉢(탁발,밥그릇탁) 2. 託兒所(탁아소,부탁할탁,아이아,곳소), 請託(청탁,청할청) 3. 宅地(택지,집택,땅지) 宅配(택배,나눌배) 4. 石灰石(석회석,돌석,재회), 灰色(회색,빛색) 5. 恢野(회야,넓을회,들야)
-
世(세상,세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5. 7. 03:00
(世)세상,세대세 (貰)빌릴세 (泄)샐설 (葉)입엽 (諜)염탐할첩 (牒)편지,글첩 (世)세상,세대세은 열십 셋을 합치고 아랫부분을 연결한 세대와 세상 (貰)빌릴세은 시간대로 돈을 주고 빌리는 (泄)샐설은 물처럼 어떤 세상 밖으로 새니 (葉)입엽은 풀처럼 세대마다 나무에 나는 잎이니 (諜)염탐할첩은 말을 나뭇잎에 적어 보내려고 적을 몰래 염탐하니 (牒)편지,글첩은 나무 조각이나 나뭇잎에 썼던 편지나 글 1. 世態(세태,세상세,모양태), 處世(처세,살처), 世孫(세손,대세,손자손) 2. 月貰(월세,달월,빌릴세), 貰房(셋방,방방) 3. 排泄(배설,밀칠배,샐설), 漏泄(누설,샐루), 泄瀉(설사,쏟을사) 4. 葉書(엽서,잎엽,글서), 葉茶(엽차,차차), 枝葉(지엽,가지지) 5. 防諜(방첩,막을방,염탐할첩), 諜..
-
舌(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4. 28. 03:00
(舌)혀설 (括)묶을괄 (刮)씻을괄 (喜)기쁠희 (嬉)아름다울희(舌)혀설은 혀가 입에서 나오는 모습을 본떠서 (括)묶을괄은 손으로 혀를 묶으니 (刮)씻을괄은 혀로 칼로 긁듯이 씻으니 (喜)기쁠희는 좋은 채소를 입으로 먹으니 기쁘니 (嬉)아름다울희은 여자와 기쁘게 사는 모습이 아름다우니 1. 舌戰(설전,혀설,싸울전), 口舌數(구설수,입구,셀수), 毒舌(독설,독독) 2. 總括(총괄,거느릴총,묶을괄) 包括(포괄,쌓을포) 3. 刮目相對(괄목상대,씻을괄,눈목,서로상,대할대) 4. 歡喜(환희,기뻐할환,기쁠희) 喜悅(희열,기쁠열) 喜捨(희사,버릴사) 5. 嬉笑(희소,아름다울희,웃을소)
-
吉(길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4. 21. 03:00
(吉)길할길 (詰)따질힐 (結)맺을결 (悖)거슬릴패 (勃)갑자기 일어날 발(吉)상서로울길은 선비의 말처럼 상서로운 (詰)따질힐은 말로 좋게 묻고 따지니 (結)맺을결은 실로 좋게 맺으니 (悖)거슬릴패는 마음까지 안색 변하여 거스르니 (勃)갑자기 일어날 발은 혜성처럼 힘 쓰며 갑자기 일어나니 1. 吉運(길운,상서로울길,돌(운수)운), 吉兆(길조,조짐조). 吉凶(길흉,흉할흉) 2. 詰責(힐책,따질힐,꾸짖을책), 詰難(힐난,어려울난) 3. 結婚(결혼,맺을결,혼인혼), 凝結(응결,엉결응) 4. 悖倫(패륜,거슬릴패,인륜륜), 行悖(행패,행할행) 5. 勃起(발기,갑자기 일어날발,일어날기), 勃興(발흥,흥할흥)
-
固(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4. 14. 03:00
(固)굳을고 (錮)가둘고 (痼)고질병고 (個)낱개 (箇)개수개(固)굳을고는 에워싸 오래두면 굳으니 (錮)가둘고는 쇠로 굳게 막아 가두니 (痼)고질병고는 병 중 굳어져 낫지 않는 (個)낱개는 사람 성격이 굳어진 낱낱이 (箇)개수개는 대처럼 지조가 굳어 진 개수 1. 堅固(견고,굳을견,굳을고), 固守(고수,지킬수), 固體(고체,몸체) 2. 禁錮(금고,금할금,가둘고) 3. 煙霞痼疾(연하고질,연기연,놀하,고질병고,질병질) 4. 個性(개성,낱개,성품성), 個別(개별,나눌별) 5. 箇數(개수,개수개,셀수) 箇中(개중,가운데중)
-
克(능할,이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4. 7. 03:00
(克)능할,이길극 (剋)이길극 (兢)떨릴긍 (丈)어른,길이장 (仗)의장장 (杖)지팡이장(克)능할,이길극은 오래 참은 사람이 능히 이기니 (剋)이길극은 능히 칼까지 들고 이기니 (兢)떨릴긍은 상대가 이기면 떨리니 (丈)어른,길이장은 많이 지팡이에 의지하는 어른이니 (仗)의장장은 사람이 어른이 되면 갖출 의장이니 (杖)지팡이장은 나무로 만들어 어른이 짚는 지팡이니 1. 克明(극명,능할극,밝을명), 克己復禮(극기복례,이길극,자기기,돌아올복,예도례) 2. 下剋上(하극상,아래하,이길극,윗상), 相剋(상극,서로상) 3. 戰戰兢兢(전전긍긍,두려워떨전,떨릴긍) 4. 拙丈夫(졸장부,졸할졸,어른장,지아비부),氣高萬丈(기고만장,기운기,높을고,만만,길이장) 5. 儀仗隊(의장대,의례의,의장의,무리대) 6. 杖鼓(장고,지팡이장,..
-
古(오랠,옛)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3. 31. 03:00
(古)오랠,옛고 (故)연고고 (做)만들주 (胡)오랑캐호 (糊)풀,모호할호(古)오랠,옛고는 많은 말은 오래되고 옛날이니 (故)연고고는 오래된 일이지만 짚으면 연고가 되니 (做)만들주는 사람이 무엇을 연고에 따라 만드니 (胡)오랑캐호는 오래된 고기를 즐겨 먹는 이는 (糊)풀,모호할호는 쌀로 오랑캐가 죽처럼 끓인 풀이니 1. 古物(고물,옛고,물건물), 中古品(중고품,중간중,물품품) 2. 故鄕(고향,연고고,시골향), 故意(고의,옛고,뜻의) 3. 看做(간주,볼간,만들주) 4. 胡桃(호도,오랑캐호,복숭아나무도), 胡亂(호란,어지러울란) 5. 糊口之策(호구지책,풀호,입구,어조사지,채찍책), 曖昧模糊(애매모호,가릴애, 흐릴매,법모,모호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