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鹿(사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1. 13. 03:00
(鹿)사슴록 (麓)산기슭록 (塵)티끌진 (麗)고울려 (昆)많이곤 (棍)몽둥이곤(鹿)사슴록은 사슴을 본떠서 (麓)산기슭록은 수풀 속 사슴이 뛰노는 산기슭 (塵)티끌진은 사슴이 흙에서 날리는 티끌 (麗)고울려는 사슴이 곱게 빛나는 (昆)맏곤은 살아온 날이 타인의 비해 많은 맏이 (棍)몽둥이곤은 많은 사람이 가지는 나무는 몽둥이라고 1. 鹿茸(녹용,사슴록,무성할용) 鹿角(녹각,뿔각) 2. 山麓(산록,뫼산,산기슭록) 3. 風塵(풍진,바람풍,티끌진) 4. 秀麗(수려,빼어날 수,고울려) 華麗(화려,꽃화) 5. 昆蟲(곤충,맏곤,벌레충) 6. 棍棒(곤봉,몽둥이곤,몽둥이봉) 棍杖(곤장,지팡이장)
-
比(나란할,견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1. 6. 03:00
(比)견줄비 (庇)덮을비 (陛)섬돌폐 (皆)다개 (偕)함께해 (諧)어울릴해(比)견줄비는 둘을 나란히 앉혀 놓고 견주니 (庇)덮을비는 집안에 나란히 숨겨 덮으니 (陛)섬돌폐는 언덕에 나란히 흙위에 놓은 섬돌이니 (皆)다개는 나란히 앉아 아뢰는 모두 다 (偕)함께해는 사람이 다 함께하니 (諧)어울릴해는 말을 다 같이 하면 어울리니 1. 比較(비교,견줄비,견줄교), 比喩(비유,깨울칠유), 櫛比(즐비.빗즐) 2. 庇護(비호,덮을비,보호할호) 3. 陛下(폐하,섬돌폐,아래하) 4. 皆兵制(개병제,다개,군사병,마를(제도)제) 皆勤賞(개근상,부지런할근,상줄상) 5. 百年偕老(백년해로,일백백,해년,함께해,늙을로) 6. 諧謔(해학,어울릴해,희롱할학)
-
韭(부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2. 30. 03:00
(懺)뉘우칠참 (讖)예언할참 (殲)다죽일섬 (纖)가늘섬 (籤)제비첨(懺)뉘우칠참은 마음에 두사람이 창으로 부추처럼 가늘게 쪼갠 듯이 뉘우치니 (讖)예언할참은 말로 두사람이 창으로 부추처럼 가늘게 쪼갠 듯이 자세히 예언하니 (殲)다죽일섬은 죽일 때 두사람을 창으로 부추처럼 가늘게 베어 다 죽이니 (纖)가늘섬은 실을 두사람이 창으로 부추처럼 쪼개서 가느니 (籤)제비첨은 대를 두사람이 창으로 부추처럼 가늘게 쪼개 만든 제비니 1. 懺悔錄(참회록,뉘우칠참,뉘우칠회,기록할록) 2. 讖言(참언,예언할참,말씀언), 讖謠(참요,노래요) 圖讖(도참,그림도) 3. 殲滅戰(섬멸전,다죽일섬,멸망할멸,싸울전) 4. 纖維(섬유,가늘섬,바유) 纖細(섬세,가늘세) 纖纖玉手(섬섬옥수,옥옥,손수) 5. 當籤(당첨,당할당,제비첨), 抽籤..
-
非(어긋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2. 23. 03:00
(誹)비방할비 (扉)문짝비 (匪)비적비 (蜚)바퀴벌레비 (翡)물총새비 (俳)배우배(誹)비방할비는 말을 사실과 어긋나게 하는 (扉)문짝비는 문살을 어긋나게 꽂아 만든 문짝 (匪)비적비는 상자에 어긋나게 담아 가는 사람 (蜚)바퀴벌레비는 어긋나게 뛰거나 나는 벌레 (翡)물총새비는 깃 색깔이 서로 어긋나는 물총새 (俳)배우배는 사람 중 실제아 아닌 행동을 꾸며서 연기하는 사람 1. 誹謗(비방,비방할비,헐뜯을방) 2. 柴扉(시비,섶시,문짝비) 3. 共匪(공비,함께(공산당)공,비적비) 4. 流言蜚語(유언비어,흐를유,말씀언,바퀴벌레비,말씀어) 5. 翡色(비색,물총새비,빛색), 翡玉(비옥,옥옥) 翡翠(비취,물총새취) 6. 俳優(배우,배우배,넉넉할우)
-
北(등질,달아날,북녘)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2. 16. 03:00
(北)등질,달아날배,북녘북 (乖)어긋날괴 (乘)탈승 (剩)남을잉 (兆)조짐조 (眺)바라볼조(北)등질,달아날배, 북녘북은 두사람이 등지고 달아나는 모습에서(乖)어긋날괴는 많이 등져 어긋나니 (乘)탈승,곱할승은 두발을 어긋나게 디디며 사람이 타니 (剩)남을잉은 다 타고 칼만 남으니 (兆)조짐조는 점치는 거북이 등껍데기의 갈라진 모습에서 (眺)바라볼조는 눈으로 조짐을 바라보니 1. 敗北(패배,깨뜨릴패,달아날배), 北進(북진,북녘북,나아갈진) 2. 乖離(괴리,어긋날괴,떼놓을리), 乖愎(괴퍅,괴퍅할퍅) 3. 乘車(승차,탈승,차차) 加減乘除(가감승제,더할가,뺄감,곱할승,제할제) 4. 剩餘(잉여,남을잉,남을여), 過剩(과잉,지나칠과) 5. 吉兆(길조,좋을길,조짐조), 凶兆(흉조,흉할흉) 6. 眺望(조망,바라볼조,바랄망)
-
喬(높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2. 9. 03:00
(僑)더불살이교 (嬌)아리따울교 (轎)가마교 (驕)교만할교 (僑)더불살이교는 사람이 높은 곳이라도 더부살이 하며 (嬌)아리따울교는 여자가 품위 높게 아리따우니 (轎)가마교는 수레 중 높이 들게 만든 가마 (驕)교만할교는 말에 높이 올라앉은 것처럼 교만한 1. 僑胞(교포,더불살이교,태포포), 華僑(화교,빛날화) 2. 愛嬌(애교,사랑할애,아리따울교), 嬌態(교태,모양태), 嬌聲(교성,소리성) 3. 僑軍(교군,가마교,군사군) 4. 驕慢(교만,교만할교,거만할만)
-
夭(예쁠,일찍 죽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2. 2. 03:00
(夭)일찍 죽을요 (妖)아리따울,요망할요 (沃)기름질옥 (呑)삼킬탄(夭)일찍 죽을요는 위로 크게 자라는 예쁘니 일찍 죽는 (妖)아리따울,요망할요는 여자가 예쁘니 아리땁지만 요망한 (沃)기름질옥은 물처럼 예쁘게 기름지니 (呑)삼킬탄은 예쁜 사람은 입은 잘 삼키니 1. 夭折(요절,일찍죽을요,꺾일절) 2. 妖艶(요염,아리따울요,고울염) 妖怪(요괴,기이할괴) 妖邪(요사,간사할사) 3. 肥沃(비옥,살찔비,기름질옥) 沃土(옥토,흙토) 4. 倂呑(병탄,아우를병,삼킬탄) 甘呑苦吐(감탄고토,달감,쓸고,토할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