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
( 도덕경 24 ) 백성들을 우직하도록 한다는 게 무슨 의미인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3. 1. 7. 02:57
智는 딱딱한 지식 내지 신념화와 이념화된 지식을 뜻한다. 특정 분야에 전문화된 지식도 여기에 가깝다. 이런 지식들과 격이 다른 지적 활동을 노자는 明이라 하는데 이는 통찰이 튀어나오는 지적 활동이다. 항상 대상과 나 사이에 탄성이 유지되는 상태,, 대립면을 함께 포용하는 관용적이고 넓은 인식 능력이다. 한편 智는 말을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고만 이해거나 감추는 역할을 한다고만 이해하는 것이다. 明은 말에 표현하기와 감추기라는 두가지 역할이 모두 있음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지의 좁다란 범위에 사는 사람은 가볍고 확신에 차 있기에 분명하고 똑똑해 보이기 쉽지만 명의 활동을 하는 사람은 대립면 사이를 왕래해야 하기에 좀 어눌해 보일 수도 있다 노자에게서 愚는 백성들을 우둔한 바보로 만든다는 것이 아니라 작은 ..
-
( 도덕경 23 ) 노자가 완전한 존재인 갓난아기는 無爲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2. 31. 03:25
노자는 갓난아기를 완전한 존재로 본다. 갓난아기와 같은 상태는 인간이 회복해야 할 원래의 상태다. 공자는 노자와 달리 인간을 부족하게 태어난 존재라고 보았다. 그러니 학습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학습이란 기본적으로 모방하는 것이므로 모델이 필요한데 그 모델이 성인이다. 성인은 이상과 이념을 생산하거나 정해주는 수준 높은 사람이다. 성인이 만들어서 정해놓은 이념과 이상을 모방하고 숙지하고 따르면 도덕적으로 완성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노자는 이런 구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특정한 이념이나 이상을 설정하고 그것이 기준이 되어버리자마자 그 기준에 따라서 구분하고 배제하고 억압하는 일련의 폭력적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노자는 인간은 처음부터 완벽한 상태로 태어나므로 그 완벽한 상태를 잘..
-
( 도덕경 22 ) 去皮取此인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는 의미가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2. 24. 03:20
인간이 지닌 가장 높은 수준의 덕목은 꿈일 꾸고 정진하는 것이다. 그런데 꿈은 이상이나 이념과 다르다. 이상이나 이념은 자본주의, 사회주의, 도덕주의 등을 말할 수 있다. 한편 자본주의 내지 사회주의를 가지고 내 삶을 규정하는 한 내 삶은 그로부터 한발짝도 벗어나지 못한다. 나에게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삶은 없어지고 마는 것이다. 그러나 삶은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복잡하다. 넓고 복잡한 삶을 제한하고 규정하는 것들을 버려야 한다. 그래야 꿈을 꾸는 존재가 될 수 있다. 이상이나 이념은 항상 나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고 어딘지 모를 다른 저곳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것을 취하라는 것은 나에게 가장 가까이 있는 나의 욕망 내지 꿈을 성취하라는 것이다. 즉 내가 이념을 추구하는 한 나의 욕망..
-
( 도덕경 21 ) 神器라는 국가의 통치자는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2. 17. 03:15
노자가 통치자에게 필요한 것은 신중함이라고 하였다. 통치자는 작은 생선을 굽듯이 아주 신중해야 한다고 한다. 무지에서 오는 우왕좌왕이 아닌 그 반대편 것까지 인식의 범위 안에 들어와서 경솔한 결정을 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헛똑똑이들 즉 지자에게 과감하게 행동하지 말라고 한다. 지자는 한쪽면만 바라보고 결정하여 예상치 못한 방향을 알 수 없다 즉 전쟁을 각오해야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 전쟁과 평화는 다른 두면을 가진 하나의 사건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유무상생의 원리이다. 전쟁을 일으킴과 막음이 공존해야만 평화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쟁을 막으려고만 하면 국민들은 비굴해지고 불안해질 수 있다 성경을 백번 읽은 사람과 한번만 읽는 사람들의 태도가 다르다. 백번을 읽은 사람은 불자와도 평화롭게 지내나..
-
( 도덕경 20 ) 장차 뺏고 싶으면 먼저 주어야 한다며 이것을 微明이라고 하였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2. 10. 03:45
노자 :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장차 뺏고 싶으면 먼저 주어야 한다 이것을 미명이라고 한다) 노자는 유무상생의 원칙을 근거로 하는 지혜를 미명이라 부른다. 대립면을 동시에 장악하는 방식으로 실현하는 지혜다. 이런 지혜는 대립면을 각각 다른 것으로 구분해서 보는 知와 다르다. 그런데 유무상생의 원칙은 세계의 운동 속에 잠복해 있기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는다. 잠복해 있어서 잘 드러나지 않고 보통 사람들이 쉽게 알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미라는 글자를 쓴다. 뺏는 일과 주는 일이 한 벌의 사건이어서 뺏는 일 따로 주는 일 따로 있지 않은데, 이런 원칙은 감춰져 있기 때문에 매우 미묘하다 미명은 유무상생의 원칙이 삶 속에서 발현되는 하나의 형태이다. 노자의 도덕경은 전체적으로 정치철학 즉 통치술의 성격이..
-
( 도덕경 19 ) 恒無欲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2. 3. 03:50
노자 : 依養萬物而不爲主, 恒無欲 (만물을 양육하면서도 주인 노릇을 하지 않고 항상 무욕하다) 우리는 교회에서 천당을 가기 위해서 만든 수단인 교회 키우기나 신도 수 늘리기나 건물 짓기 등이 주가 되고 정작 천당 가기 위해 지켜야 하는 양심이나 성령은 뒤로 밀려나버린다는 것이 문제라고 노자는 지적하고 있다. 노자는 수단으로 여겨야 할 것은 중시하는 좁은 마음을 욕망이라고 하는 것이다. 항무욕은 무욕의 자세를 견지한다는 말로 수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양심이나 도덕은 그 자체로 선한 것들이다. 진실한 삶을 꿈꾸는 사람들은 대개 양심을 따른다. 그런 사람들은 양심에서 확신이 서면 자신의 전부를 걸기도 한다. 그런데 양심이 시키는 것을 어느 정도 이뤘다 싶으면 이 양심이 바로 ..
-
( 도덕경 18 ) 구부러짐이 자연의 이치를 담았다고 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1. 26. 03:25
노자 : 曲則全 (구부리면 온전해진다) 공자는 개념을 옳게 정하고 그것을 잘 지키면 이 세상은 바르게 된다고 믿었다. 그걸 정명론이라고 했다. 그런데 노자는 개념이라는 것은 이 세계의 진실을 그대로 다 담을 수 없다. 개념은 특정 내용으로 가두는 것이라고 봤다. 특정 내용으로 세계를 가둘 때 갇히지 않는 내용은 소외되니까 세계의 진실을 드러낼 수 있으려면 다른 방식으로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여기에 正言若反과 曲則全이 노자는 말하고 있다. 세계를 대립면의 상호의존으로 보는 것이 노자의 기본 원칙이다. 그래서 진실은 항상 대립면이 동시에 포착되거나 동시에 표현되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해와 달이라는 두 대립면을 하나의 사건으로 포착하는 것을 明이라고 했다. 그런데 개념 특성상 하나의 개념은 하나의 ..
-
( 도덕경 17 ) 진정한 앎은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노자는 絶學에서 찾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11. 19. 03:58
노자 : 絶學無憂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어진다는 기존 학문에 대한 모방의 배움을 경계하라는 의미로) 學 배운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모방이다. 이미 있는 것을 흡수하고 거기에 자기를 맞추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는 자신이 자신으로 존재하기 힘들다. 언제나 모방하고 따라야 할 대상을 추구해야 하니까 자신이 자신의 주인으로 설 수 없는 구조다. 항상 외부의 모델에 자신을 맞추어야 한다면 근심과 혼란이 끊이지 않는다. 배움의 궁극적 목적은 자기가 이 세계에서 어떻게 살다 갈 것인가를 알고 그것을 수행하는 일이 진정한 배움의 길이다. 모방한다는 것은 자기가 자기 삶을 정해서 사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삶을 모범으로 정해놓고 그것을 추종하는 것이다. 학의 방식을 취하게 되면 자기 삶에 자기가 없고 다른 삶이 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