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동시대의 다른 어머니의 삶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아들을 위한 인문학/한국사 2021. 5. 20. 05:09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은 1500년대에 선조와 광해군시대 인물로 한시와 그림에 능하고 강릉출신으로 신사임당은 아들이 율곡 이이이고 허난설헌은 홍길동전을 쓴 허균의 누이로써 조선에 신여성으로 여겨지는 능력있는 여성이지만 이들은 다른 삶을 살았다고 본다. 신사임당은 초충도로 곤충과 식물 그림을 즐겨 그렸는데 이는 그림도안으로 자수를 하기 위해서 그렸다고 보기도 하고 일화로 한복이 쓸모없게 되자 포도그림을 그렸다고 하는데 이는 지금 대구 간송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남편은 능력이 다소 무능하여 늦게 과거에 급제하여 관리가 되었다고 하며 신사임당은 죽어서 유언으로 당당하게 자식 7명이여 충분하고 새장가 들지 말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허난설헌은 유복한 집안에서 8살에 한시를 지을 정도로 능력이 출중하고 나중에는 남동..
-
衣(옷)와 袁(옷챙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20. 05:07
(衣)옷 의 (依)의지할 의 (表)겉 표 (哀)슬플 애 (衰)쇠할 쇠 (遠)멀 원 (園)동산 원 (衣)옷 의은 저고리를 본따 (依)의지할 의은 사람은 옷에 (表)겉 표는 흙이 옷에 묻은 (哀)슬플 애는 옷에 입을 가리고 울 정도 (衰)쇠할 쇠는 옷을 추하게 입는 것은 (遠)멀 원은 옷 챙겨 가야할 정도로 (園)동산 원은 옷 챙겨 싸듯 울타리를 친 1. 衣服(의복,옷의,옷복) 衣裳(의상,치마상) 好衣好食(호의호식,좋을호) 2. 依支(의지,의지할의,버틸지) 意志(의지,뜻의,뜻지) 依他(의타,남타) 3. 表面(표면,겉표,면면) 表題(표제,제목제) 表裏不同(표리부동,속리) 4. 哀歡(애환,슬플애,기쁠환) 哀悼(애도,슬퍼할도) 喜怒哀樂(희노애락, 기쁠희,노할노,즐거울락) 5. 衰弱(쇠약,쇠할쇠,약할약) 老衰(노쇠..
-
석가모니는 무슨 의미이고 브라만교의 어떤 것에 반발하여 불교가 탄생했나아들을 위한 인문학/종교 2021. 5. 19. 05:03
석가모니는 최초에 불교를 세운 고대 인도 사람으로, 성은 고타마이고 이름은 싯다르타이다. 석가모니란 석가족에서 나온 성자라는 뜻이다. 부처(불타)는 깨달은 사람을 말하고 여래, 세존은 존칭하는 말이다. 석가모니는 왕족의 태자로 BC 5세기에 출생하고 결혼하고 아들까지 있었지만 어느날 궁궐밖으로 나와 노인, 병자, 시체를 보고 생로병사의 인생을 보고 괴로워했다. 29세에 출가하여 수행하다가 35세때 크게 깨달음을 얻고 각지를 돌아다니며 교화를 실시하다가 80세때 입적했다. 석가모니는 당시 카이스트제도에 대해서 혁신적인 주장을 했는데 인간은 평등하다고 주장하며 브라만교에 정면으로 반박하며 교세를 확장했다. 불교는 아공과 법공으로 분류하며 공사상을 주장하며 생각, 감정, 오감 등 아공은 자신에게서 내려놓아 없..
-
高(높을), 喬(높을), 豪(굳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9. 05:01
(高)높을 고 (稿)원고 고 (橋)다리 교 (矯)바로잡을 교 (豪)굳셀 호 (毫)가는 털 호 (高)높을 고 (稿)원고 고는 벼처럼 높이 쌓인 (橋)다리 교는 높게 나무를 만든 (矯)바로잡을 교은 화살을 높게 곧게 (豪)굳셀 호는 힘센 멧돼지처럼 (毫)가는 털 호는 높이 자란 가는 털이 1. 最高(최고,가장최,높을고) 高喊(고함,소리함) 2. 遺稿(유고,남을유,원고고) 投稿(투고,던질투) 3. 橋頭堡(교두보,다리교,머리두,보루보) 橋梁(교량,들보량) 架橋 (가교,건너지를가)사랑의 가교 假橋(가교,임시가) 4. 矯導所(교도소,바로잡을교,인도할도,곳소) 矯角殺牛(교각살우,뿔각, 줄일살,소우) 5. 强豪(강호,강할강,굳셀호) 江湖(강호) 豪華(호화,호걸호,빛날화) 豪氣(호기,굳셀호) 6. 秋毫(추호,가을추,털호..
-
만주와 북간도 일대는 우리 역사라고 보는데 그것들의 과거 모습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국사 2021. 5. 18. 04:07
단군 2333년부터 고조선의 땅이었던 만주일대를 광개토대왕이 고조선의 영광을 재현하고 발해 대조영도 해동성국으로 광활한 영토를 지배하였으나 지금은 중국땅으로 넘어간 만주일대를 다시 한번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12세기에 고려시대에 여진족인 금나라가 두만강일대에 동북9성을 침략하자 예종때 별무반을 만들어 윤관이 무찌르기도 하였는데 이 뒤를 이은 여진족의 일파인 후금 청나라가 명나라를 정벌하고 중국을 지배하였는데 조선 북쪽을 만주라고 통칭하였다. 원래 만주는 티베트 불교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만주슈리에서 유래되었다고 보고 청 태조 누르하치도 자기를 만주슈리라고 하였다는데서 그 유래를 볼 수 있다. 그러다가 일본인이 이지역이 만주라고 불려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조선강점기에 일본이 1931년 ..
-
京(서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8. 04:06
(京)서울 경 (諒)살필 량 (凉)서늘할 량 (掠)노략질할 략 (就)나아갈 취 (景)볕 경 (影)그림자 영 (京)서울 경 (諒)살필 량은 서울에서는 말도 (凉)서늘할 량에 서울에 얼음이 얼면 (掠)노략질할 략은 재물이 많은 서울은 도적의 손으로 (就)나아갈 취은 벼슬이 많은 서울에 더욱 (景)경치,볕 경은 서울의 햇볕이 비추는 (影)그림자 영은 볕을 가려 머릿결처럼 아른거리는 1. 歸京(귀경,돌아갈귀,서울경) 在京(재경,있을재) 2. 諒知(양지,살필양,알지) 諒解(양해,풀해) 3. 納凉(납량,들일납,서늘할량) 淸凉(청량,맑을청) 4. 掠奪(약탈,노략질약,빼앗을탈) 5. 就業(취업,나아갈취,업업) 就任(취임,맡을임) 成就(성취,이룰성) 6. 景致(경치,볕경,이를치)볕이 든 아름다운 모습 景福宮(경복궁, 볕..
-
소크라테스, 철학의 시초라고 한 이유아들을 위한 인문학/철학 2021. 5. 17. 04:54
BC 4세기에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철학의 시초며 세계 4대 성인으로 추앙하는 이유는 당대 철학사상인 만물의 근원이 물, 불, 원자 등이라고 보는 자연철학과 괘변론자인 소피스트와 달리 인간의 삶을 탐구하여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문답법식으로 추구한 철학자로 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라고 유명한 말을 했는데 이뜻은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이다. 상대주의 소피스트와 달리 절대주의 진리를 추구하는 그는 문답법으로 진리 접근에 별로 생각하지 않는 속단을 하는 젊은이들에게 가치 진리를 더 심도있게 생각하여 취약한 앎에서 벗어나 확실한 앎으로 가는 것을 가르쳤다. 한 예로 경건함이 무엇이냐고 그가 물으면, 젊은이는 경건함입니다, 그는 다시 경건함이 무엇이냐고 묻고, 젊은이는 ..
-
享(누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7. 04:53
(亨)풀릴 형 (享)누릴 향 (敦)도타울 돈 (郭)외성 곽 (孰)누구 숙 (熟)익을,익숙할 숙 (亨)형통할 형은 높은 학문을 마치면 (享)누릴 향은 높은 학문을 배운 아들이 즐거움을 (敦)도타울 돈은 행복을 누리며 북을 치면서 정이 (郭)외성 곽은 행복을 누리도록 고을마다 쌓은 (孰)누구 숙은 행복을 누리며 둥글게 살기를 바라는 (熟)익을,익숙할 숙은 누구나 불에는 1. 亨通(형통,풀릴형,통할통) 2. 享樂(향락,누릴향,즐거울락) 享有(향유,있을유) 3. 敦篤(돈독,도타울돈,도타울독)우정이 돈독하다 4. 城郭(성곽,내성성,외성곽) 5. 孰能禦之(숙능어지,누구숙,능할능,막을어,이것지)누가 능히 이것을 막으리오 ? 6. 熟成(숙성,익힐숙,이룰성) 熟考(숙고,오래숙,생각할고) 熟達 (숙달,익숙할숙,도달할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