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향수가 신을 위한 것이며 향수의 나라가 독일 덕분이라니아들을 위한 인문학/일반상식 2021. 6. 3. 04:41
모든 인간은 자신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애쓴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온갖 치장을 하는데 눈썹을 그리며 입술에 립스틱을 칠한다. 또한 목에는 목걸이를 하고 손목에는 팔찌를 끼고 손톱과 발톱엔 매니큐어를 바른다. 외출하기 직전에는 몸에 향수를 뿌리며 치장을 완성한다. 향수는 영어로 Perfume이고 Per는 멀리라는 의미의 접두사이고 fume은 연기를 피우다라는 의미의 동사이다. 그러니 Perfume은 연기를 멀리 피우다라는 뜻이다. 인간이 향수를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 전문가들에 의하면 향수의 역사는 5천년이라고 한다. 최초의 향수는 신을 기쁘게 하려고 식물이나 나무를 태워 그 향이 몸에 배게 한 다음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향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 신이 사람들의 소원을 잘 들어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
書(글)와 帚(빗자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3. 04:38
(書)글 서 (晝)낮 주 (畵)그림 화 (劃)그을 획 / (掃)쓸 소 (婦)며느리 부 (歸)돌아올 귀 (書)글 서는 붓으로 말하는 (晝)낮 주은 붓으로 그리는 해솟는 (畵)그림 화는 붓으로 밭을 (劃)그을 획은 그림을 칼로 / (掃)쓸 소는 손에 빗자루를 들고 (婦)며느리 부는 빗자루를 드는 여자는 (歸)돌아올 귀는 눈으로 그쳐 쌓인 것을 빗자루로 쓸며 1. 書記(서기,글서,기록할기) 書簡(서간,대쪽간) 書堂(서당,집당) 2. 晝間(주간,낮주,사이간) 晝耕夜讀(주경야독,밭갈경,밤야,읽을독) 3. 畵家(화가,그림화,사람가) 畵室(화실,방실) 4. 計劃(계획,계산할계,그을획) 企劃(기획,도모할기) 區劃(구획,나눌구) 5. 淸掃(청소,깨끗할청,쓸소) 一掃(일소) 掃蕩(소탕,거침없을탕) 6. 主婦(주부,주될주,..
-
헤르만 헤세 ‘데미안’ - 알에서 깨어나 선악의 신에서 인류연대를아들을 위한 인문학/문학 2021. 6. 2. 05:17
헤르만 헤세는 독일에서 태어나 스위스국적을 취득하였다. 그는 반전주의자로 그 당시 독일의 국가주의에 반대하자 극우세력에 미움을 받았다. 그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지고 있었고 이 작품은 인간의 자기내면의 자신을 찾아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 작품은 1차세계대전이 끝나는 1919년에 발표되었다. 내용을 보면 싱클레어가 유년시절 소도시에 유복한 집안에서 라틴어학교를 다녔고 공립학교에 다니는 불량 크로머를 만나 어울렸다. 싱클레어는 자기가 쌔보이기 위해 과수원에서 사과를 훔쳤다고 허풍을 떨고 이를 기회로 크로머는 협박을 해서 돈을 뜯어내고 누나도 데려오라고 하였다. 싱클레어는 가정의 밝은 세계에서 크로머의 어두운 세계로 발을 들인 것은 후회하고 괴로워하였다. 데미안이라는 상급생이 전학 와서 그..
-
石(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 05:13
(石)돌 석 (硏)갈 연 (破)깨뜰릴 파 (拓)넓힐 척,본뜰 탁 (碧)푸를 벽 / (墮)떨어질 타 (隨)따를 수 (石)돌 석은 언덕밑에 돌을 (硏)갈 연은 돌을 2개 방패를 연결한 것처럼 평평하게 (破)깨뜰릴 파은 돌은 가족처럼 단단하면 (拓)넓힐 척,본뜰 탁은 손으로 돌을 채워서 (碧)푸를 벽은 흰옥은 돌처럼 희다 못해 (墮)빠질 타은 떨어져 흙에 (隨)따를 수은 떨어져 가며 1. 石造(석조,돌석,만들조) 化石(화석,될화) 石器(석기,그릇기) 2. 硏磨(연마,갈연,갈마) 硏究(연구,생각할구) 硏修(연수,닦을수) 3. 破壞(파괴,깨뜰릴파,무너질괴) 破損(파손,상할손) 讀破(독파,읽을독) 4. 干拓(간척,막을(방패)간,넓힐척) 拓本(탁본,본뜰탁,책(종이)본) 5. 碧溪水(벽계수,푸를벽,계곡계) 桑田碧海(상..
-
무의식의 세계를 알려준 1900년에 꿈의 해석을 쓴 프로이트는 무엇을 우리에게 던져주었나 ?아들을 위한 인문학/철학 2021. 6. 1. 04:41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신병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로서 빈대학을 나온 유태인으로 인간 자신의 내면세계인 무의식의 흐름을 꿈의 해석을 통한 임상기록을 한 사람이다. 지구상에 인간과 세계 내외 탐구로 세계를 바꾼 위대한 사람을 도식하면 아우구스티누스(신 중심의 세계관) - 코페르니쿠스 (1543년 르네상스시대에 지동설로 신세계관이 무너짐) - 데카르트(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로 정신과 신체의 2분법으로 합리적 사고의 변화)- 다윈(19세기 종의 기원으로 신의 창조론에서 인간 진화론) - 마르크스 (19세기 계급투쟁론 으로 인간과 인간의 관계의 변화로 부르조아냐 프롤레타리 아냐) - 프로이트(20세기에 정신분석학으로 인간의 무의식세계를 꿈의 해석으로 인간자신의 변화를 해석)으로 표현하였다. 여기에서 ..
-
行(다닐)와 幹(줄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 04:39
(行)다닐,행할 행 (衝)부딪칠 충 (衛)지킬 위 (衡)저울 형 / (幹)줄기 간 (乾)마를 건 (韓)한국 한 (行)다닐,행할 행는 사거리로 다니는 형상 (衝)부딪칠 충은 무거운 것을 들고 가다가 (衛)지킬 위은 어긋나게 바꿔 다니며 (衡)저울 형은 물고기처럼 떠서 균형을 행하는 (幹)간부,줄기 간은 해 돋아 사람과 방패를 관리하는 (乾)하늘,마를 건은 해 돋아 사람과 새를 살게 하는 (韓)한국 한은 해돋는 곧에 위대한 사람들은 1. 行動(행동,행할행,움직일동) 行爲(행위,행할행,될위) 2. 衝擊(충격,부딪칠충,칠격) 衝突(충돌,부딪칠돌) 緩衝(완충, 늦출완) 3. 衛兵(위병,지킬위,병사병) 衛生(위생,살(날)생) 防衛(방위,막을방) 4. 衡平(형평,저울형,평평할평) 均衡(균형,고를균) 5. 幹部(간부,..
-
조선 명종때 의적 ‘임꺽정’과 숙종때 ‘장길산’는 어떤 활약을 했을까 ?아들을 위한 인문학/한국사 2021. 5. 31. 05:09
조선시대에 3대 의적으로 꼽히는 사람이 연산군때 홍길동, 명종때 임꺽정, 숙종때 장길산이 있다. 의적이라면 탐관오리의 재산을 훔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재물을 나누어 주는 도적을 말하는데 임꺽정이 의적이라는 조선왕조 실록에는 아직 기록이 없다. 명종때는 양반들의 횡포가 심하고 혼란한 시기에 임꺽정은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났다. 백정들은 도축, 망나니, 공예품 제작을 했다. 임꺽정은 황해도에서 갈대로 공예품을 만드는 백정이었는데 경국대전에 의하면 개간한 땅의 경작권을 인정하는 개간 장려책이 있는데 왕실재산 관리인 내수사가 이 일대 갈대밭에 주인행세를 하며 갈대를 팔았다고 한다. 이 당시 황해도는 갯벌이라 농사가 부족했지만 16세기에는 개간사업으로 곡창지대를 형성하여 땅값이 급상승하게 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도..
-
韋(가죽,어길)와 朝(아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31. 05:07
(偉)클 위 (緯)씨실 위 (違)어길 위 (圍)둘레 위 / (朝)아침 조 (潮)조수 조 (廟)사당 묘 (偉)클 위은 일반사람과 어긋나서 (緯)씨실 위는 실중에서 날실과 어긋나는 (違)어길 위는 가는 곳이 맞지 않는 (圍)둘레 위는 가죽을 쌓은 (朝)아침 조 (潮)조수 조는 물이 아침에 나가는 것이 (廟)사당 묘은 집안에 아침에 제사 지내는 곳을 1. 偉人(위인,클위) 偉大(위대) 2. 緯度(위도,가로(씨실같은)위,정도도) 經緯(경위,세로(날실)경) 3. 非違(비위,아닐비,어긋날위) 違約(위약,약속(묶을)약) 違反(위반) 4. 周圍(주위,두루주,둘레위) 包圍(포위,쌀포,둘러쌀위) 5. 朝刊(조간,아침조,책펴낼간) 朝會(조회,아침조,모일회) 朝食(조식) 朝廷(조정, 뵐조,관청정) 6. 潮流(조류,조수조,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