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市(시장)와 帶(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7. 04:11
(巾)수건 건 (市)역 역 (姉)손위 누이 자 (肺)허파 폐 / (帶)띠,찰 대 (滯)막힐,머물를 체 (巾)수건 건 (市)시장 시는 머리에 수건을 두르는 (姉)손위 누이 자는 여자중 시장에 갈 사람은 (肺)허파 폐는 몸이 시장에서 바쁜 부분 (帶)띠,찰 대 (滯)막힐,머물를 체는 물이 띠 모양의 둑에 1. 網巾(망건,그물망,수건건) 紅巾賊(홍건적,붉을홍,도둑적) 2. 門前成市(문전성시,문문,앞전,성할성,시장시) 市內(시내,도시시) 3. 姉妹(자매,손위누이자,손아래누이매) 妹兄(매형)원래는 姉兄(자형)이 맞음 4. 肺炎(폐렴,허파폐,염증(불꽃)염) 塵肺症(진폐증,먼지진,증상증) 5. 腰帶(요대,허리요,띠대) 寒帶(한대,찰한) 帶妻僧(대처승,찰대,아내처,중승) 6. 滯症(체증,막힐체,증상증) 停滯(정체,멈출..
-
실학의 두갈래인 농업중심의 성호학파와 상공업 중심의 북학파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5. 6. 04:37
실학의 반대는 허학으로 고려말에 송나라 주자의 성리학을 신진사대부들이 도입하면서 고려시대에 무신정권과 권문세족이 숭상했던 불가와 도가를 사치와 허영으로 세상을 혼탁하게 하였다고 하여 허학으로 보았다. 성리학을 문치와 근검으로 세상을 도덕적인 사회를 만든다고 실학으로 본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조선후기에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바뀌면서 만주족의 실용적 학문이 활개를 펼치면서 조선에서도 수도권중심으로 몰락한 남인과 노론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바탕으로 중농주의(경세치용 학파)와 중상주의(이용후생학파)가 형성하게 되었다. 성리학은 신분제적 질서를 옹호하며 집권층의 도덕을 강조하고 이기론을 근거로 기대승과 이이가 주장하고 이건이 한층 발전시킨 인물성동론은 인간과 자연은 동일하다. 즉 이가 통한다는 입장으로 조선과 청..
-
辛(매울)와 部(나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6. 04:36
(辛)매울,고생할 신 (宰)주관할 주 (辯)말잘할 변 (辨)습격할,이을 습 / (部)나눌,마을,거느닐 부 (倍)갑절 배 (培)북둗울 배 (辛)매울,고생할 신은 십자가 위에 서면 (宰)주관할 주는 집안에서 고생하며 (辯)말잘할 변은 2개 어려움을 말로 (辨)분별할 변은 2개 어려움에 칼로 (部)나눌,마을,거느닐 부는 갈라놓은 곳은 (倍)갑절 배는 사람을 둘로 가른 (培)북둗울 배는 갈라진 흙을 밟아 나무가 잘 자라도록 1. 辛辣(신랄,매울신,매울랄) 香辛料(향신료,향기향,재료료) 千辛萬苦(천신만고,고생할신,괴로울고) 2. 主宰(주재,주인주,주관할주) 宰相(재상,주관할주,도울상) 2품이상 벼슬관리 3. 雄辯(웅변,씩씩할웅,말잘할변) 達辯(달변,통달할달) 詭辯(궤변, 속일궤) 辯護(변호,보호할호) 4. 辨明(..
-
어린이에서 중년으로 세월 흐름 노래를 느껴보세요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악 2021. 5. 5. 05:38
오늘은 5월 5일 어린이 날이네요 이제는 어느 덧 어린이에서 성인이 훌쭉 넘어 중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우리는 어디로 걸어가고 있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30-40대 출세를 위해 열심히 달려오고 지금은 조용히 관조하면서 살아야 하는 날이 다가오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오늘 우연히 이선희 노래를 듣게 되었고 국민음악인 J에게를 모처럼 들었습니다 1984년 이선희가 강변가요제로 4막5장의 그룹으로 나와 대상을 받았죠. 이곡은 전국의 J뿐만 아니라 헤어진 연인을 그리워하는 모든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던 곡이고 또한 2014년에 나온 그중에 그대를 만나를 들으며 세월의 속도감을 느낍니다. 청춘시절에 들었던 J에게에서 중년의 나이에 그중에 그대를 만나를 통해 인생의 흐름을 느낍니다. 여러분도 잠시 한번 이선희의 노..
-
기후변화와 체스·바둑으로 본 동서양 건축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아들을 위한 인문학/건축 2021. 5. 5. 02:35
동서양의 건축에는 강수량과 토양 그리고 농사방식에서 차이가 있는데 동양은 1천미리이상 강수량이 많이 내려 벼농사를 주로 하며 지반이 약해 나무를 이용한 건축양식이 발달하였다. 서양은 비가 적어 밀농사를 하여 집단노동이 필요 없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있으며 지반이 튼튼해 돌로 만든 성당과 성의 건축물이 많다. 또한 서양의 창은 돌로 되어 좁고 바깥세상과 차단된 폐쇄된 형태이나 동양은 벼농사로 집단노동이 중요하고 수로를 통한 관계를 중시하고 집구조도 한옥처럼 넓은 창으로 밖이 잘 보이는 자연친화적인 구조이다. 또한 서양의 알파벳과 한자에서 그 특징을 볼 수 있는데 알파벳은 26개 조합으로 순서를 바꾸어 단어를 만드는 한쪽방향의 성향인데 한자는 많은 조합으로 상대적 위치에 따라 한자가 형성되고 의미를 갖는데 이..
-
睪(엿볼)와 幸(바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5. 02:34
(譯)번역할 역 (驛)역 역 (擇)가릴 택 (澤)윤날,연못,은혜 택 (釋)풀 석 / (幸)바랄 행 (執)잡을,집행할 집 (譯)번역할 역은 말을 엿보아 (驛)역 역은 말을 엿보아 갈아타는 (擇)가릴 택은 손으로 엿보아 (澤)연못,은혜 택은 물을 엿보아 모아둔 (釋)풀 석은 나누고 엿보아 (幸)바랄 행 (執)잡을,집행할 집 1. 通譯(통역,통할통,번역할역) 意譯(의역,뜻의) 直譯(직역,곧을직) 2. 終着驛(종착역,마칠종,붙을착,역역) 簡易驛(간이역,간단할간,쉬울이) 3. 採擇(채택,캘채,가릴택) 選擇(선택,뽑을선) 擇一(택일) 4. 潤澤(윤택,젖을윤,윤날택) 光澤(광택,빛광) 惠澤(혜택,은혜은,은혜택) 5. 解釋(해석,풀해,풀석) 釋放(석방,놓을방) 手不釋卷(수불석권,책권) 6. 幸福(행복,바랄행,복복) 幸..
-
천일야화의 신밧드가 고려의 벽란도에 와서 상거래를 했을까 ?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5. 4. 04:25
아랍의 구전 설화들을 집대성한 천일야화는 이슬람 유일의 이야기책이다. 셰어라자드가 샤리아 왕에게 1001일 밤 동안 들려주는 주요 이야기로 180편과 짧은 이야기 108편이 담겼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설화들을 토대로 바그다드 중심의 이야기들이 추가되었고 15세기 카이로의 이야기가 더해져 완성되었다. 작자는 미상으로 실제와 가상이 뒤섞여 명확한 구분도 어렵다. 이책은 프랑스 번역가 앙투안 갈랑이 프랑스어로 번역해 유럽에 전해졌다. 널리 알려진 알리바바와 40인 도독과 알라딘과 이상한 램프는 원전에 없던 것인데 갈랑이 이슬람 설화를 추가로 수집해 넣었다. 천일야화 중 신밧드 이야기는 8세기 아바스 왕조의 5대 칼리프 하룬 알 라시드의 지배 아래 이슬람 문명이 전성기를 맞았을 때가 배경이다. 인구 100만..
-
童(아이)와 龍(용)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4. 04:23
(童)아이 동 (鐘)쇠북 종 / (龍)용 룡 (襲)습격할,이을 습 / (親)친할,어버이 친 (新)새로울 신 (童)아이 동은 마을에 서있는 (鐘)쇠북 종은 아이가 쇠로 된 (龍)용 룡은 세운 몸으로 꿈틀거리는 (襲)이을,습격할 습은 용무늬 옷을 세자에 (親)친할,어버이 친는 서있는 나무를 보는 (新)새로울 신은은 서 있는 나무를 도끼로 베어 1. 童心(동심,아이동) 童話(동화,말씀화) 神童(신동,귀신신) 2. 招人鐘(초인종,부를초,쇠북종) 警鐘(경종,경계할경) 鐘樓(종루, 누각루) 3. 恐龍(공룡,두려울공,용룡) 臥龍(와룡,누울와) 龍頭蛇尾(용두사미, 머리두,뱀사,꼬리미) 4. 踏襲(답습,밟을답,이을습) 被襲(피습,당할피,습격할습) 襲擊(습격,칠격) 5. 親密(친밀,친할친,가까울밀) 親睦(친목,화목할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