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享(누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7. 04:53
(亨)풀릴 형 (享)누릴 향 (敦)도타울 돈 (郭)외성 곽 (孰)누구 숙 (熟)익을,익숙할 숙 (亨)형통할 형은 높은 학문을 마치면 (享)누릴 향은 높은 학문을 배운 아들이 즐거움을 (敦)도타울 돈은 행복을 누리며 북을 치면서 정이 (郭)외성 곽은 행복을 누리도록 고을마다 쌓은 (孰)누구 숙은 행복을 누리며 둥글게 살기를 바라는 (熟)익을,익숙할 숙은 누구나 불에는 1. 亨通(형통,풀릴형,통할통) 2. 享樂(향락,누릴향,즐거울락) 享有(향유,있을유) 3. 敦篤(돈독,도타울돈,도타울독)우정이 돈독하다 4. 城郭(성곽,내성성,외성곽) 5. 孰能禦之(숙능어지,누구숙,능할능,막을어,이것지)누가 능히 이것을 막으리오 ? 6. 熟成(숙성,익힐숙,이룰성) 熟考(숙고,오래숙,생각할고) 熟達 (숙달,익숙할숙,도달할달)
-
시간을 통한 진보적 역사관과 순환적 역사관은 어떻게 다르게 발전했나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5. 15. 05:46
시간에 대한 두가지 입장은 실제로 서양과 동양의 시간관을 형성했다. 직선적 시간관은 서양의 문화와 종교의 밑바탕이 되었고, 원형적 시간관은 동양의 문화와 종교의 밑바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서양의 그리스도교는 직선적 시간관을 토대로 하는데 그리스도교의 세계에서 인간은 탄생하고 성장하여 죽음에 이른 후 영원한 세계로 나아간다. 그곳이 지옥이든 천국이든 마찬가지다. 어떤 사후세계에서나 시간은 과거로의 후퇴없이 영원히 계속된다. 반면 동양의 윤회사상은 원형적 시간관을 토대로 한다. 불교의 가르침에서 인간은 탄생하고 성장하여 죽음에 이른 후 중간 상태인 바르도를 지나 다시 탄생을 맞이한다. 이러한 시간관의 차이는 역사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이어진다. 우선 직선적 시간관은 역사는 끝없이 발전해간다는 진보적 역사관..
-
亥(돼지)와 言(말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5. 05:44
(亥)돼지 해 (該)넓을 해 (核)씨 핵 (刻)새길 각 / (言)말씀 언 (語)말씀 어 (信)믿을 신 (亥)돼지 해 (該)넓을 해는 돼지같지 않게 말이 많고 (核)씨 핵은 돼지모양의 나무안에 있는 (刻)새길 각은 돼지를 칼로 (言)말씀 언 (語)말씀 어는 말로 나의 뜻을 (信)믿을 신은 사람이 말로 1. 亥時(해시,돼지해,때시) 21-23시 2. 該博(해박,넓을해,넓을박) 該當(해당,그해,마땅할당) 3. 核家族(핵가족,핵심(씨)핵,집가,겨레족) 核武器(핵무기,굳셀무, 도구기) 結核(결핵,맺을결) 4. 刻骨難忘(각골난망,새길각,뼈골,어려울난,잊을망) 時時刻刻(시시각각, 때시) 木刻(목각,나무목) 5. 確言(확언,확실할확,말씀언) 言約(언약,묶을약) 言路(언로,길로) 言動(언동,움직일동) 6. 語錄(어록,말..
-
춤의 흐름과 종류 (발레 ~ 힙합)아들을 위한 인문학/일반상식 2021. 5. 14. 04:50
춤은 우리 인류 역사와 함께 태동했다고 보고 원시선사시대에 신에게 제천의식으로 춤을 추었을거라고 보고 있다. 춤은 갈래로 고전무용과 실용무용으로 나누고 고전무용은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으로 실용무용은 스트릿댄스, 얼반인 안무로 나눈다. 고전무용의 한 갈래인 발레의 역사를 보면 발레는 라틴어로 춤추다로 르네상스이후 이태리 전통춤인 바스당스가 발전시킨 춤으로 귀족 남성만 추는 춤이었다가 16세기경 프랑스에 시집간 이태리공주에 의해 전해지고 루이14세에 이르러 왕립 발레 아카데미가 설립되고 프랑스 귀족들이 발레 강습을 시작하며 필수교양으로 자리 잡았다. 1581년에 최초로 발레공연 ‘여왕의 발레극’이 초연되었다. 1726년에는 발레리나 마르카마르고에 의해 발목 위 치마를 자르고 무대에 선 후 의상이 짧아졌..
-
亡(망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4. 04:49
(亡)망할 망 (忙)바쁠 망 (忘)잊을 망 (妄)망령들 망 (盲)장님 맹 (望)바랄 망 (罔)없을 망 (茫)아득할 망 (亡)망할 망 (忙)바쁠 망은 마음이 없는 정도로 (忘)잊을 망은 마음을 잃는 (妄)망령들 망은 망한 여자들처럼 (盲)장님 맹은 눈으로 보지못하는 (望)바랄 망은 망가진 달을 왕이 보며 (罔)없을 망은 그물에 고기를 죽여 (茫)아득할 망은 풀까지 물에 잠겨 없어지니 1. 亡身(망신,망할망,몸신) 逃亡(도망,달아날도,달아날망) 2. 奔忙(분망,바쁠분,바쁠망) 忙中閑(망중한,한가할한) 3. 勿忘草(물망초,말물,잊을망,풀초) 健忘症(건망증,잘건) 忘却(망각,버릴각) 4. 妄想(망상,망령들망,생각할상) 輕擧妄動(경거망동,가벼울경,거동거) 5. 色盲(색맹,빛색,장님맹) 盲兒(맹아,아이아) 萌芽(맹..
-
무위자연의 노장사상은 공자의 유가와 대립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철학 2021. 5. 13. 04:26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난 노자와 장자의 도가사상은 공자의 동시대의 춘추시대에 사람으로 도덕경을 지었다고도 하는데 노자는 자연순리에 따르는 삶을 추구하며 도를 천지만물의 근원이라 보고 인위적인 강제가 아닌 무위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하였다. 이를 계승한 장자는 맹자의 왕도정치를 반박하여 만물평등을 강조하여 세상만물을 차별하지 않고 한결같이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즉 유가는 도덕적인 삶과 질서를 강조하고 군주와 신하 그리고 백성의 신분제를 인정하는 입장이었다. 노자의 도덕경은 도는 만물의 법칙이며 근원으로 자연스러움을 강조하고 형체가 없고 인간의 감각과 경험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보았다. 덕은 도가 현실 속에서 구체화된 것으로 도를 따를수록 덕을 얻는다고 보고 상선약수로 최고의 삶은 물과 같은 삶이라고 보았다. 노..
-
曲(굽을)와 卒(마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13. 04:25
(曲)굽을,노래 곡 (典)법,책 전 (豊)풍요로울 풍 (禮)예도례 (體)몸 체 / (卒)마칠 졸 (醉)취할 취 (曲)굽을,노래 곡 (典)법,책 전 (豊)풍요로울 풍은 굽은 광주리에 콩이 많이 (禮)예도 례는 신앞에 풍성한 음식은 (體)몸 체는 뼈와 살이 풍부하게 있는 (卒)마칠 졸 (醉)취할 취는 졸병이 술에 1. 曲線(곡선,굽을곡,줄선) 屈曲(굴곡,굽을굴) 歌曲(가곡,노래가, 노래곡) 名曲(명곡,유명할명) 2. 典型(전형,모범(법)전,모형형) 法典(법전,법법) 古典(고전, 옛고,책전) 3. 豊滿(풍만,풍요로울풍,찰만) 豊富(풍부,부유할부) 豊盛(풍성, 성할성) 4. 禮拜(예배,예도례,절배) 禮節(예절,절차(알맞을)절) 禮物(예물) 5. 體驗(체험,몸체,시험할험) 體格(체격,골격(격식)격) 體力(체력) ..
-
코로나로 비대면 디지털시대 전환시기에, 과연 무엇이 중세를 붕괴시켰을까 ?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5. 12. 04:25
한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릴 때는 뚜렷한 변화 조짐이 있는데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간 시기에는 정치체제가 바뀌었다. 로마제국의 붕괴로 유럽과 지중해가 여러 갈래로 분열되면서 각자도생의 길로 치달았다. 중세 1000년을 마감하고 근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는 정신적인 변화가 두드러졌다. 바로 종교개혁과 르네상스다. 종교적 억압에서 벗어나 신에서 인간으로 회귀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벌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정신적 변화는 그냥 갑자기 일어나는 게 아니다. 그 이전에 경제적, 사회적으로 크나큰 변혁이 있었다. 중세를 붕괴시킨 근본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의 극단적인 변화다. 14세기 페스트로 유럽인구는 갑자기 1/3로 줄었다. 농노에 의존했던 봉건 장원 경제는 인구 감소로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