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蜀(애벌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24. 03:33
(燭)촛불 촉 (獨)홀로 독 (濁)흐릴 탁 (屬)붙어살,무리 속 (燭)촛불 촉은 불처럼 애벌레가 흔들리는 (獨)홀로 독은 개와 애벌레가 어울리지 못하고 (濁)흐릴 탁은 물속에 애벌레가 꿈틀거리면 (屬)붙어살,무리 속은 몸에 진액을 빨아먹으려고 벌레들이 1. 華燭(화촉,빛날화,촛불촉) 燭膿(촉농,고름농) 2. 孤獨(고독,외로울고,홀로독) 獨立(독립,설립) 鰥寡孤獨(환과고독.홀아비환, 과부과,고아고,홀로사는노인독) 3. 濁酒(탁주,흐릴탁,술주) 混濁(혼탁,섞일혼) 淸濁(청탁,맑을청) 4. 專屬(전속,오로지전,붙어살속) 從屬(종속,따를종) 直屬(직속,곧을직)
-
騎虎之勢(기호지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22. 03:08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말로 중도에 내릴 수 없으므로 일을 중지하기 어려움을 뜻하며 일단 행동에 옮기면 끝까지 밀고 나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당나라 장손무기와 위징 등이 태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에 나오는 말이다. 위진남북조시대에 양견이라는 사람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북주 선제의 외척으로서 재상이 되어 국정을 도맡아 처리했다. 그는 자신이 한족이므로 이민족인 오랑캐에게 점령당한 나라를 되찾으려는 마음으로 애태우고 있었다. 그런 도중에 선제가 죽었다. 선제의 아들 정제는 어리고 어리석으므로 양견은 탁월한 수완으로 마침내 황제 지위를 물려받아 수나라를 세우고 나중에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켜 천하를 통일하였다 본래 양견의 아내는 남편이 큰 뜻을 품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남편이 천하를 통일하기 ..
-
柬(가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20. 03:04
(練)익힐 련 (鍊)단련할 련 (欄)난간 란 (蘭)난초 란 (練)익힐 련은 실을 가리는 것을 (鍊)단련할 련은 쇠의 성질을 가려 불에 달구며 (欄)난간 란은 나무로 막은 (蘭)난초 란은 풀을 막아 키우는 식물로 1. 修練(수련,닦을수,익힐련) 訓練(훈련,가르칠훈) 練習(연습,익힐습) 2. 老鍊(노련,늙을로,단련할련) 試鍊(시련,시험시) 敎鍊(교련,가르칠교) 3. 欄干(난간,난간란,방패간) 空欄(공란,빌공,테두리란) 餘滴欄(여적란, 남을여,물방울적,테두리란) 4. 芝蘭之交(지란지교,지초지,난초란,사귈교) 梅蘭菊竹(매난국죽,매화매, 국화국,대나무죽)
-
寄正相生(기정상생)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19. 02:55
기습과 정공은 상생한다는 뜻으로 전쟁할 때 정공과 변칙을 잘 활용한다는 말이다 편에 나오는 말로 기와 정은 철학의 범주로서 정은 정상이란 의미이고 이둘은 서로 보완하는 관계이다. 군사적으로 볼 때, 기정이란 세를 형성하는 술로서 비정규 전술과 정규 전술 모두를 말한다. 정이 교전을 시작할 때 적진에 병사들을 투입하여 싸우는 정면공격 부대라고 한다면 기는 장군의 수하에 남겨두어 우측과 좌측의 날개가 되어서 기습공격을 하는 부대다. 그리고 수비를 담당하는 부대를 정이라하고 기동부대를 기라고 한다 작전의 개념으로 본다면 적진을 향해 직접 창끝을 겨누는 것을 정이라고 하고 우회하여 측면으로 출동하는 것을 기라고 한다. 작전 원칙으로 본다면 정상적으로 일반원칙을 운용하는 것을 정이라 하고, 기민하게 변화하는 상황..
-
買(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17. 02:11
(買)살 매 (賣)팔 매 (讀)읽을 독 (續)이을 속 (買)살 매은 그물을 돈을 주고 (賣)팔 매은 산 것을 열한배 이익을 남기고 (讀)읽을 독은 팔린 물건을 소리내어 (續)이을 속은 실을 팔려고 1. 買占賣惜(매점매석,팔매,점할점,팔매,아낄석) 豫買(예매,미리예) 2. 賣物(매물,팔매,물건물) 强賣(강매,강제할강) 3. 愛讀(애독,사랑할애,읽을독) 晝耕夜讀(주경야독,낮주,밭갈경,밤야) 4. 續開(속개,이을속,열개) 繼續(계속,이을계) 永續性(영속성,영원할영,성질성)
-
非(아닐)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13. 02:54
(非)어긋날 비 (悲)슬플 비 (排)물리칠 배 (輩)무리 배 (罪)죄지을 죄 (非)어긋날 비는 새가 날아가는 본떠 (悲)슬플 비는 아니 된다고 느끼는 마음 (排)물리칠 배는 손으로 그게 아니라고 (輩)무리 배는 어긋날 정도로 차에 탄 (罪)죄지을 죄는 법의 그물에 걸릴 정도로 어긋나 1. 非理(비리,아닐비,이치리) 是非(시비,옳을시,그릇비) 非常(비상,아닐비,항상상) 2. 悲歌(비가,슬플비,노래가) 悲觀(비관,볼관) 喜悲(희비,기쁠희) 3. 排他(배타,물리칠배,타인타) 排斥(배척,물리칠척) 4. 輩出(배출,무리배,날출) 先輩(선배,먼저선) 5. 犯罪(범죄,범할범,죄지을죄) 贖罪(속죄,속바칠속) 罪悚(죄송,두려워할송)
-
兆(조짐)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10. 05:06
(兆)조짐 조 (挑)돋을,끌어낼 도 (逃)달아날 도 (桃)복숭아 도 (跳)뛸 도 (兆)조짐 조는 거북 껍데기가 갈라지며 나타나는 (挑)돋을,끌어낼 도는 손으로 조짐을 보이며 (逃)달아날 도는 조짐을 알아차리고 뛰어 (桃)복숭아 도는 나무에 열리는 조자의 열매는 (跳)뛸 도는 발을 조자 모양으로 벌리며 1. 吉兆(길조,길할길,조짐조) 亡兆(망조,망할망) 2. 挑發(도발,돋을도,발생할발) 挑戰(도전,싸울전) 挑出(도출,날출) 3. 逃走(도주,달아날도,달릴주) 逃避(도피,피할피) 逃亡(도망,사라질망) 4. 黃桃(황도,누를황,복숭아도) 武陵桃源(무릉도원,굳셀무,언덕릉,수원원) 5. 跳躍(도약,뛸도,뛸약)
-
乖(어긋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6. 03:40
(乖)어긋날 괴 (乘)탈 승 (北)등질,달아날,북쪽 북 (背)등 배 (此)이 차 (紫)자주빛 자 (乖)어긋날 괴는 천번을 등져 (乘)탈 승은 두발을 어긋나게 디디며 (北)등질,달아날,북쪽 북은 두사람이 등지는 모습 (背)등 배는 등진 몸에서 (此)이 차는 멈추고 비수를 찌를 만한 가까운 (紫)자주빛 자는 이세상에서 아름다운 실의 색은 1. 乖離(괴리,어긋날괴,떨어질리) 乖愎(괴팍,어긋날 퍅) 2. 乘車(승차,탈승,차차) 加減乘除(가감승제,더할가,덜감,곱할승,나눌제) 3. 敗北(패배,패할패,달아날배) 北進(북진,북쪽북,나아갈진) 4. 背景(배경,등질배,경치경) 背囊(배낭,등배,주머니낭) 背叛(배반,배반할반) 5. 此後(차후,이차,뒤후) 於彼此(어피차,어조사어,저피) 6. 紫外線(자외선,자줏빛자,바깥외,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