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升(오르다,쌀을 푸는 되)와 气(기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25. 01:45
(昇)오를 승 (飛)날 비 (飜)뒤집을 번 (汽)김 기 (氣)기운 기 (昇)오를 승은 해가 떠오르듯이 (飛)날 비는 새가 날개 치며 오르며 (飜)뒤집을 번은 차례로 날아 (汽)김 기는 물이 끓어 기운이 차서 나는 (氣)기운 기는 쌀을 먹고 나는 기운 1. 昇降機(승강기,오를승,내릴강,기계기), 昇天(승천) 昇進(승진,나아갈진) 2. 飛躍(비약,날비,뛸약) 雄飛(웅비,수컷웅) 飛距離(비거리) 3. 飜覆(번복,뒤집을번,뒤집을복) 飜譯(번역,옮길역) 飜案(번안,생각안) 4. 汽車(기차,김기,차차) 汽笛(기적,기차기,피리적) 汽船(기선,배선)) 5. 氣力(기운,기운기) 氣稟(기품,받을품) 感氣(감기,느낄감) 氣象(기상,대기기,모양상)
-
卷(책)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21. 02:46
(卷)책권 (券)문서 권 (拳)주먹 권 (勝)이길,나을 승 (騰)오를 등 (卷)책권은 구부리고 꿇고 앉아 있는 (券)문서 권는 구부려서 앉아 칼로 새겨 만든 (拳)주먹 권은 구부려 손가락을 말아 쥔 (勝)이길,나을 승은 몸을 구부려 힘이 써서 (騰)오를 등는 몸을 구부려 말에 뛰어 1. 壓卷(압권,누를압,책권) 手不釋卷(수불석권,손수,풀석,책권) 2. 旅券(여권,나그네여,문서권) 食券(식권,먹을식) 福券(복권,복복) 3. 拳鬪(권투,주먹권, 다툴투) 跆拳(태권,밟을태) 4. 勝利(승리,이길승,이로울리) 絶勝(절승,빼어날절,뛰어날승) 5. 暴騰(폭등,사나울폭,오를등) 反騰(반등,돌이킬반) 沸騰(비등,끓을비)
-
也(또한,어조사)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18. 02:43
(地)땅,처지 지 (池)연못 지 (他)다를 타 (據)의지할 거 (劇)심할,연극 극 (地)땅 지는 흙 또한 온 누리에 깔린 (池)연못 지는 물 또한 넓게 고인(他)다를 타는 사람 또한 모두 (據)의지할 거는 손으로 범이나 돼지를 잡으려고 도구에(劇)심할,연극 극은 범과 돼지를 잡으려고 칼로 찌르는 것이 1. 地球(지구,땅지,공구) 易地思之(역지사지,바꿀역,처지지,생각사,그것지) 2. 貯水池(저수지,쌓을저,연못지) 乾電池(건전지,마를건,전기전) 3. 依他心(의타심,의지할의,타인타) 他鄕(타향,다를타,고향향) 排他(배타,물리칠배) 4. 據點都市(거점도시,의지할의,점점,도읍도,시장시) 論據(논거,논할논) 占據(점거,차지할점,근거할거) 5. 劇藥(극약,심할극,약약) 劇場(극장,연극극,장소장) 悲劇(비극,슬플비)
-
虍(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11. 03:00
(虎)범 호 (號)부르짖을 호 (遞)전할 체 (慮)생각할 려 (盧)밥그릇로 (爐)화로 로 (虎)범 호는 범이 발이 붙어 (號)부르짖을,이름,부호 호는 입을 크게 벌리고 범처럼 (遞)전할 체는 언덕을 범이 왔다갔다 하듯 (慮)생각할, 염려할 려는 범처럼 불안을 생각하니 (盧)밥그릇로은 범처럼 입이 크고 밭처럼 넓은 그릇 (爐)화로 로는 불 담은 그릇 같은 1. 猛虎(맹호,사나울맹,범호) 虎死留皮(호사유피,남길유,가죽피) 2. 號令(호령,부를호,명령령) 國號(국호,이름호) 番號(번호,차례번,부호호) 暗號(암호,몰래암) 3. 遞信(체신,전할체,신호신) 郵遞局(우체국,우송할우,관청국) 4. 念慮(염려,생각할염,염려할려) 考慮(고려,살필고,생각할려) 憂慮(우려,걱정할우) 5. 毘盧峯(비로봉,비로자나불로 광명 의미..
-
牙(어금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7. 03:11
(牙)어금니 아 (芽)싹 아 (雅)맑을, 아담할 아 (邪)간사할 사 (訝)의심할 아 (牙)어금니 아는 코끼리 어금니를 본떠서 (芽)싹 아는 풀로 어금니처럼 돋아나는 (雅)맑을, 아담할 아는 새의 어금니로 나는 (邪)간사할 사는 어금니와 마을에 숨어서 나쁘고 (訝)의심할 아는 어금니에서 나온 말은 1. 齒牙(치아,이치,어금니아) 象牙塔(상아탑,코끼리상,탑탑) 2. 發芽(발아,필발,싹아) 麥芽(맥아,보리맥) 萌芽(맹아,싹맹) 3. 淸雅(청아,맑을청,맑을아) 優雅(우아,넉넉할우,고울아) 4. 邪惡(사악,간사할사,악할악) 破邪顯正(파사현정,깨뜨릴파,드러낼현,바를정) 5. 疑訝(의아,의심할의,의심할아)
-
象(코끼리)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4. 03:05
(象)코끼리,모양 상 (像)모양상 (豫)미리예 (馬)말마 (篤)두터울 독 (象)코끼리상는 코끼리 모양을 본떠 (像)모양상은 사람이 코끼리 모습을 본떠 그리니 (豫)미리예는 자기코끼리는 미리 아니 (馬)말마는 서 있는 말을 본떠서 (篤)두터울독은 대나무말을 타던 정이 1. 象牙(상아,코끼리상,어금리아) 象徵(상징,모양상, 밝힐징) 印象(인상,새길인) 2. 佛像(불상,부처불,모양상) 自畵像(자화상,그림화) 銅像(동상,구리동) 3. 豫告(예고,미리예,알릴고) 豫報(예보,알릴보) 豫想(예상,생각할상) 4. 乘馬(승마,탈승,말마) 馬術(마술,기술술) 走馬看山(주마간산,달릴주,볼간) 5. 篤實(독실,두터울독,참될실) 危篤(위독,위태로울위) 篤志家(독지가,뜻지,사람가)
-
豕(돼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31. 03:30
(豚)돼지돈 (家)집가 (逐)쫓을 축 (隊)무리대 (遂)이룰수 (蒙)어리석을 몽 (豚)돼지돈은 살이 많은 돼지니 (家)집가는 지붕 아래 돼지를 기르며 살던 (逐)쫓을 축는 멧돼지가 뛰어가며 (隊)무리대는 언덕 위에 여덟 돼지가 모인 (遂)이룰수는 팔방으로 쫓아 다니며 (蒙)어리석을 몽은 풀에 덮인 한 마리 돼지처럼 1. 養豚(양돈,기를양,돼지돈) 豚舍(돈사,집사) 2. 家庭(가정,집가,뜰정) 作家(작가,지을작) 3. 逐出(축출,쫓을축,나아갈출) 角逐(각축,뿔각) 驅逐艦(구축함,몰구,싸움배함) 4. 除隊(제대,덜제,무리대) 入隊(입대) 隊員(대원,인원원) 5. 遂行(수행,이룰수,행할행) 完遂(완수,완전할완) 未遂(미수,아닐미) 6. 啓蒙(계몽,열계,어리석을몽) 無知蒙昧(무지몽매,어두울매)
-
義(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28. 03:31
(義)옳을 의 (議)의논할 의 (儀)거동,법도 의 (我)나 아 (餓)굶주릴 아 (義)옳을 의는 양처럼 순하면 내자신이 (議)의논할 의는 말로 옳게 하도록 (儀)거동,법도 의는 사람이 의롭게 행하는 (我)나 아는 손과 창으로 지켜야 할 대상은 (餓)굶주릴 아는 나의 밥이 없으면 1. 正義(정의,바를정,옳을의) 義理(의리,이치리) 義擧(의거,들거) 2. 議決(의결,의논할의,결정할결) 會議(회의,모일회) 謀議(모의,꾀할모) 3. 儀典(의전,의식의,의식전) 儀仗隊(의장대,지팡이장,무리대) 4. 我執(아집,나아,잡을집) 沒我(몰아,빠질몰) 我軍(아군,군사군) 5. 飢餓(기아,굶주릴기,굶주질아) 餓死(아사,죽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