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襄(도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24. 03:03
(讓)사양할,겸손할 양 (壤)흙,땅 양 (孃)아가씨 양 (釀)빚을 양 (攘)물리칠 양 (讓)사양할,겸손할 양은 말한마디로 도움이 되게 (壤)흙,땅 양은 도움이 되는 흙 자체 (孃)아가씨 양은 도움을 주는 여자를 (釀)빚을 양은 술에 도움을 주게 (攘)물리칠 양은 손의 도움으로 1. 讓步(양보,사양할양,걸을보) 讓位(양위,자리위) 讓渡(양도,넘겨줄양,건넬도) 2. 土壤(토양,흙토,흙양) 天壤之差(천양지차,하늘천,어긋날차) 3. 金孃(김양,아가씨양) 4. 釀造場(양조장,술빚을양,지을조,마당장) 5. 尊王攘夷(존왕양이, 높을존, 물리칠양, 오랭캐이)
-
羊(양)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21. 03:17
(羊)양 양 (洋)큰 바다 양 (祥)상서로울,조짐 상 (詳)자상할,자세할 상 (樣)모양 양 (達)이를 달 (羊)양 양은 양을 본떠 (洋)큰바다 양은 물결이 수만마리 양처럼 (祥)상서로울,조짐 상은 보이는 양은 (詳)자상할,자세할 상은 말을 양처럼 (樣)모양 양는 나무 옆에 양떼가 길게 늘어선 (達)이를 달은 흙에만 살던 양도 뛰어 풀발에 1. 羊毛(양모,양양,털모) 羊頭狗肉(양두구육,머리두,개두,고기육) 2. 太平洋(태평양,클태,평화로울평,큰바다양) 洋酒(양주,술주) 3. 吉祥(길상,좋을길,상서로울상) 不祥事(불상사) 發祥地(발상지,일어날발) 4. 詳細(상세,자세할상,가늘세) 詳述(상술,서술할술) 未詳(미상,아닐미) 5. 多樣(다양,많을다,모양양) 各樣各色(각양각색,각각,빛색) 6. 達成(달성,이를달,이..
-
井(우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17. 03:09
(井)우물 정 (耕)밭갈 경 (形)모습 형 (刑)형벌 형 (寒)찰 한 (塞)막을 색, 변방 새 (井)우물 정은 우물 모양을 (耕)밭갈 경은 가래로 우물을 파듯 (形)모습 형은 우물에 머리털이 비친 (刑)형벌 형은 우물같은 형틀에 칼로 치는 (寒)찰 한은 집우물 하나에서 나누어진 얼음은 (塞)막을 색, 변방 새는 집우물 하나에서 나누어진 흙으로 1. 井華水(정화수,우물정,꽃화) 油井(유정,기름유) 坐井觀天(좌정관천,앉을좌,볼관) 2. 耕作(경작,밭갈경,지을작) 休耕(휴경,쉴휴) 晝耕夜讀(주경야독,낮주,밤야,읽을독) 3. 形狀(형상,모양형,모양상) 形式(형식,의식식) 成形(성형,이룰성) 4. 刑期(형기,형벌형,기간기) 減刑(감형,덜감) 刑法(형법,법법) 5. 寒氣(한기,찰한,기운기) 酷寒(혹한,심할혹) 脣亡..
-
敝(해질,깨질)와 攸(아득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14. 03:57
(弊)폐단 폐 (幣)돈,폐백 폐 (蔽)가릴,덮을 폐 (悠)멀 유 (修)닦을 수 (條)가지,조목 조 (弊)폐단 폐는 깨져서 아래를 받쳐야 하는 (幣)돈,폐백 폐는 해진 수건 같은 모양의 (蔽)가릴,덮을 폐는 풀로 해진 것을 (悠)한가할, 멀 유는 아득한 먼날을 생각하며 (修)닦을 수는 아득히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듯이 마음을 (條)가지,조목 조는 아득히 나무에서 뻗어가는 1. 弊習(폐습,폐단폐,익힐습) 弊害(폐해,해할해) 惡弊(악폐,악할악) 2. 僞幣(위폐,거짓위,돈폐) 造幣(조폐,만들조) 貨幣(화폐,재물화) 3. 隱蔽(은폐,숨길은,가릴폐) 建蔽率(건폐율,세울건,비율율) 4. 悠悠自適(유유자적,한가할유,다닐적) 悠久(유구,멀유,오래구) 5. 修鍊(수련,닦을수,익힐련) 修女(수녀) 修繕(수선,고칠수,기울선)..
-
攵(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10. 03:29
(故)연고,옛 고 (散)흩어질 산 (敗)패할 패 (敎)가르칠 교 (牧)기를 목 (故)연고,옛 고는 오래된 일을 치고 가면 (散)흩어질 산은 풀흙에 고기를 놓고 치면 (敗)패할 패는 재물를 놓고 치면 (敎)가르칠 교는 어진 많은 자식을 치며 (牧)기를 목은 소를 치며 1. 緣故(연고,인연인,연고고) 故鄕(고향,옛고,시골향) 故意(고의,뜻의) 2. 散髮(산발,흩어질산,머리털발) 散發(산발,쏘을발) 離散(이산,떨어질이) 3. 敗亡(패망,패할패,망할망) 敗北(패배,달아날배) 失敗(실패,잃을실) 4. 敎育(교육,가르칠교,기를육) 說敎(설교,말씀설) 布敎(포교,펼포) 5. 牧童(목동,기를목,아이동) 牧畜(목축,가축축) 牧場(목장,마당장)
-
悤(바쁠,밝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7. 03:53
(總)모두,거느릴 총 (聰)총명할 총 (憂)근심 우 (優)배우,뛰어날,머뭇거릴 우 (總)모두,거느릴 총은 바쁘게 실로 복잡한 것들을 (聰)총명할 총은 귀가 밝아 (憂)근심 우는 머릿속 마음에 천천히 걸으며 (優)배우 우는 슬쁜 상황을 근심하는 사람은 1. 總計(총계,모두총,셈할계) 總括(총괄,묶을괄) 總督(총독,거느릴총,살필독) 2. 聰氣(총기,총명할총,기운기) 聰明(총명,밝을명) 3. 憂慮(우려,근심할우,걱정할려) 憂愁(우수,걱정할수) 憂鬱(우울,답답할울) 4. 優秀(우수,뛰어날우,빼어날 수) 優柔不斷(우유부단,머뭇거릴우,부드러울유,끊을단) 俳優(배우,광대배)
-
㚆(돌아올,거듭)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3. 02:36
(復)돌아올복, 다시부 (腹)배 복 (複)겹칠 복 (覆)뒤집힐 복 (履)밟을 리 (復)돌아올복, 다시부은 걸어서 다시 돌아오니 (腹)배 복은 몸에 거듭 포개진 부분인 (複)겹칠 복은 옷을 거듭 입어 (覆)뒤집힐 복은 다시 덮어서 (履)밟을 리은 몸아래 발로 다시 1. 復舊(복구,돌아올복,옛구) 回復(회복,돌아올회) 復興(부흥,다시부,흥할흥) 2. 腹痛(복통,배복,아플통) 腹案(복안,생각안) 空腹(공복,빌공) 3. 複雜(복잡,겹칠복,섞일잡) 複寫(복사,베낄사) 複線(복선,줄선) 4. 覆蓋(복개,뒤집힐복,덮을개) 顚覆(전복,넘어질전) 飜覆(번복,뒤집을번) 5. 履行(이행,밟을리,행할행) 履歷書(이력서,지낼력)
-
令(명령)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2. 28. 03:33
(令)명령 령 (冷)찰 랭 (領)거리릴,우두머리 령 (嶺)고개 령 (令)명령 령은 사람에게 하나같이 무릎꿇게 (冷)찰 랭은 얼음처럼 상관의 명령은 (領)거리릴,우두머리 령는 우두머리가 명령을 하며 (嶺)고개 령는 산을 거느리는 1. 命令(명령,명령할명,명령할령) 待令(대령,기다릴대) 指令(지령,가르킬지) 2. 冷氣(냉기,찰냉,기운기) 冷戰(냉전,싸울전) 冷情(냉정,정정) 3. 領導(영도,거느릴령,인도할도) 首領(수령,머리수,우두머리령) 占領(점령,차지할점) 4. 分水嶺(분수령,나눌분,고개령) 大關嶺(대관령,빗장(관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