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比(나란할,견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1. 3. 03:00
(比)나란할,견줄 비 (批)비평할 비 (皆)다 개 (階)계단,계급 계 (混)섞일 혼 (鹿)사슴 록 (麗)고울 려 (比)나란할,견줄 비는 칼 두 개가 나란히 (批)비평할 비는 손으로 견주어 (皆)다 개는 나란히 말하는 이는 (階)계단,계급 계 모든 언덕에 설치된 (混)섞일 혼은 물과 해가 나란히 (鹿)사슴 록은 사슴 모양을 본떠 (麗)고울 려는 사슴처럼 아름답고 1. 比較(비교,견줄비,견줄교) 比喩(비유,고할유) 比率(비율,값율) 2. 批判(비판,비평할비,판단할판) 批准(비준,승인할준) 3. 皆勤(개근,다개,일할근) 皆兵制(개병제,병사병,제도제) 4. 階層(계층,계단계,층층) 階級(계급,등급급) 5. 混用(혼용,섞일혼,쓸용) 混濁(혼탁,흐릴탁) 混同(혼동,한가지동) 6. 鹿茸(녹용,사슴록,뿔용) 7. 秀麗..
-
辰(별,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27. 04:27
(辰)별,날 진 (振)떨칠 진 (辱)욕될 욕 (脣)입술 순 (晨)새벽 신(震)벼락, 진동할 진 (農)농사 농 (辰)별,날 진은 전갈자리 별자리 모양 (振)떨칠 진은 손으로 만든 물건이 별처럼 아름다움을 (辱)욕될 욕은 별에다 시기 한마디를 (脣)입술 순은 별처럼 몸에서 붉게 빛나는 (晨)새벽 신은 해뜨기전 별이 있는 (震)벼락, 진동할 진은 별처럼 번쩍 빛나는 (農)농사 농은 별이 있는 새벽에 허리를 굽히며 1. 生辰(생신,날생,날신) 2. 振興(진흥,떨칠진,흥할흥) 振動(진동,움직일동) 振作(진작,만들작) 3. 辱說(욕설,욕할욕,말씀설) 榮辱(영욕,영화영) 恥辱(치욕,부끄러울치) 4. 脣亡齒寒(순망치한,입술순,없을망,이치,추울한) 丹脣皓齒(단순호치,붉을단,흰호) 5. 晨明(신명,새벽신,밝을명) 晨出夜歸..
-
列(벌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23. 04:46
(列)벌일 렬 (烈)사나울 렬 (裂)찢어질 렬 (例)법식 례 (死)죽을 사 (葬)장사지낼 장 (列)벌일 렬은 짐승을 죽여 칼로 잘라 (烈)사나울 렬은 벌리면 타는 타는 불처럼 (裂)찢어질 렬은 옷이 벌어져 (例)법식 례는 사람이 벌려놓은 (死)죽을 사는 죽은 것을 또 비수로 (葬)장사지낼 장은 풀로 죽은 사람을 받쳐 들며 1. 列擧(열거,벌일렬,들거) 列車(열차,차차) 系列(계열,맬계) 2. 强烈(강렬,강할강,사나울렬) 熾烈(치열,불사를치) 痛烈(통렬,아플통) 3. 分裂(분열,나눌분,찢어질렬) 決裂(결렬,터질결) 龜裂(균열,갈라질균) 4. 例示(예시,법식례,보일시) 例外(예외,바깥외) 條例(조례,조목조) 5. 死境(사경,죽을사,지경경) 決死(결사,결정할결) 6. 埋葬(매장,묻을매,장사지낼장) 葬禮(장례,..
-
長(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20. 04:29
(長)길 장 (張)벌릴 장 (帳)장막,장부 장 (而)어조사 이 (耐)견딜 내 (需)구할, 쓸 수 (儒)선비 유 (長)길 장은 입 위아래로 긴 수염을 본떠 (張)벌릴 장은 활을 길게 (帳)장막,장부 장은 수건같은 천으로 길게 두른 (而)말이을, 어조사 이 (耐)견딜 내는 이어지는 고통도 법도 따라 (需)구할, 쓸 수는 비가 이어져 내리면 (儒)선비 유는 사람에게 쓰이는 도를 공부하는 1. 長短(장단,길장,짧을단) 校長(교장,학교교,우두머리장) 2. 擴張(확장,넓힐확,벌릴장) 張力(장력,당길장) 誇張(과장,자랑할과) 3. 布帳馬車(포장마차,펼포,장막장) 通帳(통장,통할통,장부장) 元帳(원장,으뜸원) 4. 似而非(사이비,같을사,어조사이,아닐비) 5. 耐震(내진,견딜내,흔들진) 耐久性(내구성,오랠구,성질성) 耐..
-
食(먹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16. 04:35
(食)먹을 식 (飢)굶주릴 기 (飮)마실 음 (飯)밥 반 (飾)꾸밀 식 (食)먹을 식은 사람이 좋은 것을 (飢)굶주릴 기는 먹지 못하고 책상에 기대어 (飮)마실 음은 하품하듯이 입을 벌려 먹는 것은 (飯)밥 반은 혀를 뒤집으며 먹는 것은 (飾)꾸밀 식은 밥먹을 때 사람은 수건같은 천으로 1. 食堂(식당,먹을식,집당). 飮食(음식,마실음) 2. 虛飢(허기,빌허,굶주릴기) 飢餓(기아,굶주릴아) 飢渴(기갈,목마를갈) 3. 飮酒(음주,술주) 過飮(과음,지나칠과) 米飮(미음,쌀미) 4. 飯酒(반주,밥반,술주) 飯饌(반찬,반찬찬) 飯店(반점,가게점) 5. 假飾(가식,거짓가,꾸밀식) 裝飾(장식,꾸밀장) 虛禮虛飾(허례허식,빌허,예의예)
-
良(어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13. 04:48
(良)어질,좋을 량 (娘)아가씨 낭 (浪)물결,함부로 랑 (朗)밝을 랑 (郞)사내 랑 (廊)행랑 랑 (良)어질,좋을 량은 점처럼 작은 잘못도 그치면 (娘)아가씨 낭은 어진 여자를 (浪)물결,함부로 랑은 바다에 이는 좋은 물은 (朗)밝을 랑은 좋은 달의 빛은 (郞)사내 랑은 어진 마을에는 뛰어난 (廊)행랑 랑은 집에서 사내가 거처하는 곳은 1. 良質(양질,좋을양,바탕질) 改良(개량,고칠개) 良心(양심) 2. 娘子(낭자,아가씨낭,접미사자) 3. 風浪(풍랑,바람풍,물결랑) 流浪(유랑,흐를유) 浪費(낭비,함부로낭,쓸비) 4. 朗讀(낭독,밝을낭,읽을독) 明朗(명랑,밝을명) 朗誦(낭송,외울송) 5. 新郞(신랑,새신,사내랑) 花郞(화랑,꽃화) 郎君(낭군,사내군) 6. 舍廊房(사랑방,집사,행랑랑,방방) 畵廊(화랑,그림화)
-
艮(머무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9. 03:39
(恨)한탄할 한 (限)한계 한 (根)뿌리 근 (銀)은 은 (退)물러날 퇴 (恨)한탄할 한은 마음에 항상 머물러 있는 (限)한계 한은 언덕에 막혀 머물러 있는 (根)뿌리 근은 나무의 성장을 멈추게 하는 (銀)은 은은 금 다음으로 머무는 금속은 (退)물러날 퇴는 머물다가 뒤로 나아가는 것은 1. 恨歎(한탄,한탄할한,탄식할탄) 怨恨(원한,미워할원) 2. 時限(시한,때시,한계한) 限定(한정,정할정) 局限(국한,판국) 3. 根幹(근간,뿌리근,줄기간) 根據(근거,의지할거) 根本(근본,뿌리본) 4. 銀塊(은괴,은은,덩어리괴) 銀河水(은하수,물하,물수) 銀賞(은상,상줄상) 5. 退勤(퇴근,물러날퇴,일할근) 勇退(용퇴,용감할용) 早退(조퇴,이를조)
-
能(능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6. 04:15
(能)능할 능 (態)모양 태 (罷)파할 파 (環)고리,두를 환 (還)돌아올 환 (化)될 화 (花)꽃 화 (貨)재물 화 (能)능할 능은 주둥이와 몸뚱이와 네발로 재주 부림이 (態)모양 태는 능히 할 수 있다는 마음이 얼굴에 나타나는 (罷)파할 파는 능한 사람도 그물에 걸리면 (環)고리,두를 환은 옥으로 눈 휘둥그러지듯이 둥글게 만든 (還)돌아올 환은 눈 휘둥그레졌다가 다시 제 위치로 (化)될 화는 사람이 비수를 가지면 안되는 일도 (花)꽃 화는 풀이 변하여 되는 (貨)재물 화는 돈이 변화해야 되는 1. 能動(능동,능할능,움직일동) 能力(능력,힘력) 有能(유능,있을유) 2. 動態(동태,움직일동,모양태) 世態(세태,세상세) 姿態(자태,맵씨자) 3. 罷免(파면,파할파,면제할면) 罷業(파업,업업) 罷場(파장,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