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眞(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2. 2. 04:38
(眞)참 진 (鎭)누를 진 (愼)삼갈할 신 (匕)비수 비 (旨)뜻 지 (指)손가락,가리킬 지 (眞)참 진은 비수처럼 눈뜨고 보는 (鎭)누를 진은 쇠로 참된 것을 (愼)삼갈할 신은 마음을 참되게 하려고 (匕)비수 비는 단칼을 본떠 (旨)뜻 지는 비수를 햇빛에 비추는 (指)손가락,가리킬 지는 손으로 뜻을 1. 寫眞(사진,베낄사,참진) 眞價(진가,가격가) 眞善美(진선미,선할선,아름다울미) 2. 鎭痛劑(진통제,누를진,아플통,약제) 鎭魂(진혼,넋혼) 鎭火(진화,불화) 3. 愼重(신중,삼가할신,무거울중) 勤愼(근신,삼가할근,삼가할신) 4. 匕首(비수,비수비,머리두) 5. 趣旨(취지,뜻지,뜻지) 論旨(논지,논할논) 要旨(요지,중요할요) 6. 指壓(지압,손가락지,누를압) 指導(지도,가리킬지,인도할도), 指示(지시,보일시)
-
放(놓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29. 04:38
(放)놓을 방 (倣)본뜰할 방 (傲)거만할 오 (激)격할 격 (疑)의심할 의 (凝)엉길 응 (放)놓을 방은 어떤 방향으로 가도록 쳐 (倣)본뜰할 방은 사람이 주체성을 놓아두고 (傲)거만할 오은 사람을 흙바닥에 놓고 대하니 (激)격할 격은 하얀 물결이 일어나도록 놓아두니 (疑)의심할 의은 사람이 비수와 화살과 창으로 무장하니 (凝)엉길 응은 얼음인가 의심할 정도로 1. 放牧(방목,놓을방,기를목) 放置(방치,둘치) 釋放(석방,풀석) 2. 模倣(모방,본뜰모,본뜰방) 3. 傲氣(오기,거만할오,기운기) 傲慢(오만,건방질만) 4. 激突(격돌,격할격,충돌할돌) 激烈(격렬,매울렬) 激勵(격려,힘쓸려) 5. 疑惑(의혹,의심할의,홀릴혹) 疑懼(의구,두려워할구) 疑問(의문,물을문) 6. 凝結(응결,엉길응,맺을결) 凝視(응시..
-
方(모,방향)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25. 04:33
(方)모,방향 방 (訪)찾을,방문할 방 (防)둑,막을 방 (妨)방해할 방 (芳)꽃다울 방 (房)방 방 (方)모,방향 방은 쟁기로 밭가는 모양을 본떠 (訪)찾을,방문할 방은 말씀 방향으로 (防)둑,막을 방은 언덕방향으로 쌓은 (妨)방해할 방은 여자방향은 일하는데 (芳)꽃다울 방은 풀향기 방향으로 퍼지면 (房)방 방은 집방향으로 설치된 1. 雙方(쌍방,둘쌍,모방) 處方(처방,처리할처,방법방) 2. 巡訪(순방,돌순,방문할방) 探訪(탐방,찾을탐,물을방) 訪問(방문,찾을방,물을문) 3. 堤防(제방,둑제,둑방) 防犯(방범,막을방,범할범) 防禦(방어,막을어) 4. 妨害(방해,방배할방,해할해) 5. 芳年(방년,꽃다울방,해년) 芳香(방향,향기향) 6. 煖房(난방,따뜻할난,방방) 獨房(독방,홀로독) 廚房(주방,부엌주)
-
加(더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22. 05:07
(加)더할 가 (架)꾸밀,시렁 가 (賀)축하할 하 (協)도울 협 (脅)협박할 협 (劣)못날 렬 (努)힘쓸 노 (加)더할 가는 힘써 말하며 용기를 (架)꾸밀,시렁 가는 더하여 나무로 꾸밈 (賀)축하할 하는 재물을 더하여 주며 (協)도울 협은 많은 힘을 합하여 (脅)협박할 협은 힘 합하여 몸을 으르고 (劣)못날 렬는 적은 힘이면 (努)힘쓸 노는 종처럼 힘쓰니 1. 加減(가감,더할가,덜감) 加重(가중,중할중) 雪上加霜(설상가상,눈설,서리상) 2. 架空(가공,꾸밀가,빌공) 架橋(가교,시렁가,다리교) 書架(서가,책서) 3. 賀客(하객,축하할하,손님객) 賀禮(하례,예절예) 謹賀(근하,삼가할근) 4. 妥協(타협,온당할타,협의할협) 農協(농협,농사할농,도울협) 協助(협조,도울조) 5. 威脅(위협,두려워할위,협박할협) ..
-
召(부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18. 04:24
(召)부를 소 (昭)밝을 소 (照)비출 조 (招)부를 초 (超)넘을 초(忍)참을,잔인할 인 (認)알, 인정할 인 (召)부를 소는 칼같은 입으로 (昭)밝을 소는 해를 불러 온 듯 (照)비출 조는 밝게 불을 (招)부를 초는 손짓하며 부르고 (超)넘을 초는 달려가며 급히 부르며 고개를 (忍)참을,잔인할 인은 위협에 칼날같은 마음으로 (認)알, 인정할 인은 남의 말을 참고 들어 1. 召集(소집,부를소,모을집) 召喚(소환,부를환) 2. 昭明(소명,밝을소,밝을명) 昭詳(소상,자세할상) 3. 照明(조명,비출조,밝을명) 照度(조도,정도도) 觀照(관조,볼관) 4. 招請(초청,부를청,청할청) 招魂(초혼,넋혼) 招來(초래,올래) 5. 超過(초과,넘을초,지날과) 超越(초월,넘을월) 超人(초인) 6. 忍耐(인내,참을인,견딜내)..
-
病(병들,근심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15. 05:38
(病)병들,근심할 병 (疾)병,빠를 질 (痛)아플 통 (搖)흔들 요 (遙)멀 요 (謠)노래 요 (病)병들,근심할 병은 병들어 밤새 불 밝히며 (疾)병,빠를 질은 병 중에서 화살처럼 번지는 (痛)아플 통은 병기운이 솟은 듯 (搖)흔들 요은 손으로 질그릇을 (遙)멀 요는 질그릇을 사러 가는 곳이 (謠)노래 요는 말하듯 질그릇 술잔을 돌리며 1. 病歷(병력,병들병,지낼력) 病魔(병마,마귀마) 鬪病(투병,싸울투) 2. 疾病(질병,병질,병들병) 疾患(질환,근심환) 疾走(질주,빠를질,달릴주) 3. 痛症(통증,아플통,병증) 痛感(통감,느낄감) 痛哭(통곡,울곡) 4. 搖動(요동,흔들요,움직일동) 搖亂(요란,어지러울란) 搖之不動(요지부동) 5. 遙遠(요원,멀요,멀원) 逍遙(소요,거닐소,거닐요) 6. 歌謠(가요,노래가,노..
-
壯(굳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12. 04:21
(壯)굳셀 장 (裝)꾸밀 장 (莊)장엄할,별장 장 (狀)모습 상,문서장 (將)장수,나아갈 장 (獎)장려할 장 (壯)굳셀 장은 나무조각을 선비가 싸우는 모습이 (裝)꾸밀 장은 굳센 옷으로 (莊)장엄할,별장 장은 풀로 꾸민 굳센 모양이 (狀)모습 상,문서장은 나무조각에 새긴 개의 (將)장수,나아갈 장은 나무조각에 고기를 쌓아놓고 법도에 따르는 (獎)장려할 장은 장수가 큰 승리를 1. 壯士(장사,굳셀장,선비사) 壯元(장원,으뜸원) 雄壯(웅장,뛰어날웅) 2. 裝飾(장식,꾸밀장,꾸밀식) 裝塡(장전,메울전) 扮裝(분장,꾸밀분) 3. 莊園(장원,장엄할장,동산원) 山莊(산장,별장장) 4. 症狀(증상,병증,모양상) 案內狀(안내장,생각안,문서장) 答狀(답장,답할답) 5. 將兵(장병,장수장,병사병) 日就月將(일취월장,이룰취..
-
矢(화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8. 05:07
(矢)화살 시 (失)잃을 실 (知)알 지 (智)지혜 지 (侯)과녁 후(候)기후, 염탐할 후 (喉)목구멍 후 (矢)화살 시는 화살을 본따 (失)잃을 실은 화살을 쏘아 (知)알 지는 화살처럼 말할정도로 (智)지혜 지는 아는 것처럼 해처럼 비추는 (侯)과녁,제후 후는 사람이 만들어 화살을 쏘는(候)기후, 염탐할 후는 과녁에 화살을 쏠 때 살피는 (喉)목구멍 후는 과녁에 쏜 화살이 입을 지나 1. 嚆矢(효시,울릴효,화살시), 弓矢(궁시,활궁) 2. 失業(실업,잃을실,직업업) 失望(실망,바랄망) 喪失(상실,잃을상) 3. 知性(지성,알지,성질성) 知覺(지각,깨달을각) 親知(친지,친할친) 4. 智略(지략,지혜지,계략략) 奇智(기지,기이할기) 衆智(중지,무리중) 5. 王侯將相(왕후장상,임금왕,제후후,장수장,정승상)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