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
(논밭식물 - 6) 미나리, 메밀, 무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4. 28. 03:02
미나리는 개울가나 도랑가처럼 물기 많은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잎줄기채소이다. 우물가나 논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줄기는 털이 없어 매끈하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나온다. 줄기는 모가 난 기둥꼴이다. 줄기 속은 비었고 잎은 어긋나게 붙고 긴 잎자루가 있다. 여름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희고 작은 꽃이 우산꼴로 모여서 피어난다. 미나리는 씨로도 퍼지지만 땅속으로 뻗는 기는줄기 마디에서 새 줄기가 돋아나 퍼지기도 한다 가을에 미나리를 적당히 잘라서 논에 흩어 놓으면 겨울 동안 새순이 돋아난다. 이렇게 미나리를 기르는 논을 미나리꽝이라고 부른다. 미나리는 추위를 잘 견뎌서 얼음이 덮인 물에서도 잘 얼어 죽지 않는다.겨우내 기른 미나리는 정월 대보름쯤 뜯어 먹기 시작해서 못자리할 때까지..
-
( 논밭식물 - 5 ) 마늘, 땅콩, 딸기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4. 14. 03:35
마늘은 논이나 밭에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단군 이야기에도 마늘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아주 옛날부터 길러 먹었던 것이다.우리가 먹는 것은 비늘줄기이다. 비늘줄기는 연한 밤색이 나는 얇은 껍질에 싸여 있는데 그 속에 비늘쪽이 대여섯개 들어 있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는 50㎝쯤 된다. 잎은 어긋나게 붙는데 끈처럼 생겼고 나란히맥이다. 7월쯤 잎 사이에서 꽃대가 나오고 그 끝에 연보라색 꽃이 동그랗게 모여서 핀다. 온 몸에서 강한 냄새가 난다.마늘은 반찬을 만들 때 흔히 쓰는 양념 가운데 하나다. 양념을 쓸 때는 마른 겉껍질을 벗겨 내고 빻아서 쓴다. 비늘줄기뿐 아니라 어린 잎이나 줄기나 꽃대도 좋은 반찬거리가 된다. 꽃대는 마늘종이라고도 하는데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 장아찌로도 만들..
-
( 논밭식물 - 4 ) 강낭콩, 녹두, 들깨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4. 7. 03:48
강낭콩은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 열매채소이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지만 세계 여러나라에서 기른다. 덩굴식물로 옥수수처럼 키가 큰 식물 옆에 많이 심는다. 덩굴을 타고 올라가라고 대나무 따위를 받침대로 세워주기도 한다. 씨앗은 콩보다 조금 크고 갸름하다. 보통 흰색에 붉은 무늬가 있다. 줄기는 덩굴로 길게 뻗고 잎에는 짧고 보드라운 털이 덮여 있다. 6월쯤 희거나 연한 자주색 꽃이 피고 가늘고 긴 꼬투리가 달린다. 꼬투리 안에는 갸름한 열매가 대여섯 개씩 들어 있는데 8월쯤 되면 단단하게 여문다. 강낭콩 뿌리를 보면 혹처럼 생긴 작고 동그란 알갱이들이 수없이 달려 있다. 그 속에는 뿌리혹 박테리아가 같이 살아서 공기 속에 있는 질소를 강낭콩이 필요한 양분으로 바꾸어 준다 그래서 거름기가 없는 ..
-
(논밭식물-3) 도라지,대추나무,당근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3. 31. 03:15
도라지는 산에서 저절로 자라거나 밭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 뿌리채소다. 햇빛이 잘 드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잘 자란다. 모래가 좀 섞인 땅이면 더욱 잘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50센티 안팎으로 곧게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잎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오톨도톨하다. 마주나게 붙거나 돌려나게 붙는 것도 더러 있다. 잎 앞쪽은 연두색이고 뒤쪽은 희끄무레하다. 여름에는 보라색이나 흰색 꽃이 핀다. 꽃봉오리가 둥글둥글하니 공같이 부풀어오르다가 꽃잎을 탁 펼친다. 꽃잎은 넓은 종처럼 생겼고 끝이 다석갈래가 갈라졌다. 뿌리는 굵고 자르면 젖 같은 흰 즙이 나온다. 우리가 먹는 것은 뿌리이다. 어린 잎과 줄기도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뿌리만큼 많이 쓰지는 않다. 대개 심은지 3년쯤 지난 것을 캐서..
-
(논밭식물 - 2) 귤나무, 고추, 고구마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3. 24. 03:41
귤나무는 열매를 먹으려고 심어 기르는 늘푸른나무이다. 원산지는 중국인데 세계 여러나라에서 기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제주도가 귤이 많이 나는 곳으로 이름이 났다. 귤나무는 보통 높이가 5m쯤 되도록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짧은 잎자루가 있다. 잎 모양은 끝이 뽀쪽한 넓은 타원형이다. 6월쯤 되면 가지 끝에서 꽃대가 나오고 그 끝에 흰색 꽃이 하나씩 핀다. 동글납작한 열매는 처음에는 진한 초록색이다가 익으면서 주황색으로 바뀐다. 열매는 몇 조각의 살로 나뉘고 그 속에는 씨앗이 들어있다. 우리가 먹는 씨 없는 귤은 먹기 편하라고종자를 개량한 것이다. 귤열매는 늦가을부터 익기 시작하기 때문에 겨울철에 많이 먹는다. 요즘에는 온상에서 길러 내어 여름에도 귤을 먹을 수 있다. 말린 귤 껍..
-
<논밭식물 1> 가지, 감나무, 감자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3. 10. 03:47
가지는 밭에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 열매채소다. 원산지는 인도이고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원산지인 인도나 열대 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추위에 약해서 겨울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한해 밖에 못 산다. 대개 이른 봄에 온상에서 모종을 길러 밭에다 옮겨 심는다. 도시에서는 화분에 심기도 한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고 물만 잘 주면 기르기 쉽고 여름에 열매를 따 먹을 수 있다. 보라색 가지꽃은 한꽃 안에 암술과 수술을 함께 갖추고 있다. 게다가 제꽃가루받이를 하므로 헛꽃이 거의 없이 꽃이 핀 자리마다 열매가 열린다. 여름부터 늦가을까지 길쭉한 달걀꼴의 자주색 열매가 계속 주렁주렁 달린다. 품종에 따라 노란 열매가 달리는 것도 있지만 진한 자주색 열매가 여는 것이 대부분이다. 약으로 ..
-
( 식물도감 1 ) 식물에 대해서 알아보는 코너입니다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3. 1. 27. 03:53
꽃은 동백나무처럼 아름다운 것도 있고 밤나무처럼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벼나 소나무 꽃은 언제 피었다가 지는지도 모르게 피고 진다. 이런 식물들도 다 꽃이 피고 가루받이를 한다. 배추꽃이나 호박꽃은 벌이나 나비의 도움으로 가루받이를 한다. 이러한 꽃들은 보통 화려한 꽃잎이 있고 꿀이 많아서 곤충들이 좋아한다. 소나무와 벼는 바람의 도움으로 가루받이를 한다. 동백나무는 너무 이른 봄에 꽃이 피기 때문에 곤충의 도움을 받을 수가 없다. 그래서 몸집이 작은 동박새의 도움을 받는다. 동박새는 동백꽃을 따 먹고 동백나무는 가루받이를 할 수 있으니 서로 돕는 셈이다. 가지처럼 제꽃가루받이를 하는 식물도 있다. 다른 꽃들과 달리 한 꽃 안에서 꽃가루가 암꽃의 암술..
-
식물의 뿌리, 줄기, 잎의 종류 및 모양새에 대해서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식물 2022. 12. 29. 03:26
꽃이 피는 식물의 몸은 뿌리와 줄기와 잎과 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밭에서 기르는 무와 당근은 굵고 둥근 뿌리가 흙속에 곧게 박혀 있다. 이렇게 곧은 뿌리를 원뿌리라고 한다. 원뿌리의 옆과 밑에서는 여러 가닥의 가느다란 뿌리가 얼기설기 뻗어 나온다. 이런 뿌리를 곁뿌리다. 무와 당근을 힘껏 쑥 뽑으면 가느다란 곁뿌리는 모두 끊기고 원뿌리만 뽑힌다. 풀밭에서 자라는 엉겅퀴나 명아주도 원뿌리와 곁뿌리를 갖은 식물이다. 겉씨식물과 쌍떡잎식물은 보통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한편 파는 할아버지의 수염과 같은 수많은 하얀색 뿌리가 한곳에서 줄줄이 뻗어 있다. 이런 뿌리를 수염뿌리라고 한다. 마늘이나 양파나 들에서 자라는 강아지풀은 모두 수염뿌리가 있는 식물이다. 보통 외떡잎식물은 수염뿌리를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