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
동물의 탈을 쓴 신 불곰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5. 9. 23. 01:49
곰은 다수의 문화권에서 경배와 사랑 그리고 존경을 받는다. 곰은 여덟 종이 있다. 나무를 잘 타고 수영을 잘하고 후각이 예민하고 악력이 강하고 호기심이 많다. 안데스의 안경곰을 제외하고 모두 북반구에 서식한다. 흰곰이 어슬렁대며 돌아다니는 북극권 한계선에서부터 말레이곰의 고향인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 숲에 산다. 가장 널리 퍼진 종은 불곰으로 에스파냐에서부터 유라시아를 거쳐 일본 북부 지방에까지 분포한다. 회색곰으로 알려진 불곰의 아종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서식한다. 식물, 동물, 무생물, 자연물에도 영혼이 깃들여 있다는 애니미즘은 전 세계에 걸쳐 종교적 믿음 체계를 일으켰다. 이들 문화권에서는 대개 물리적 세계와 영적 세계를 엄격히 구분하지 않으며 두 세계는 오갈 수 있..
-
고양이 숭배가 이집트를 몰락시킨 이유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5. 7. 31. 02:03
고양이는 호랑이, 치타, 사자 등을 포함한 37종의 고양잇과 동물 중 몸집이 가장 작다. 고양이는 약 9500년 동안 인간과 함께 살았다. 처음으로 사육된 곳은 서아시아 지역이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작된 농업혁명으로 농경을 하는 마을이 조성되자, 작은 설치류와 새가 식량을 얻기 위해 들과 창고를 노리고 찾아들었다. 이들은 인근 정착민 주변에서 혹은 정착민과 함께 살기 시작한 육식성 야생 고양이의 먹잇감이 되었다. 세대를 거쳐 내려오면서 야생 고양이는 점차 길들여지다가 마침내 인간의 집안으로 들어와 살게 된다. 하지만 야생의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거친 사냥 본능을 계속 살아남았다. 고양이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동물을 통제하는 데 이상적인 습성을 지녔다. 후각, 청각, 시각이 예민하고 민첩하고 균형감각..
-
반려동물의 목줄의 기원은 어떻게 되는가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5. 5. 20. 03:00
1839년 발자크의 소설 베아트릭스에는 기사 알가가 등장한다. 소설 속 게랑드 사람들은 암캐 티스베와 함께 다니는 알가를 우스꽝스러운 인물로 여긴다. 알가는 티스베에게 심하게 들이대는 수캐들을 쫓아내기 위해 금 지팡이로 무장하고 티스베에게 목줄을 채워 산책시킨다. 당시 사람들은 개란 본디 자유로우며 도시에 있는 개들은 길을 잃거나 떠돌던 개지, 반려동물이 아니라 생각했다. 유럽귀족들은 16세기부터 성에서 동물을 키우고 산책시키기 위해 목줄을 사용했다. 영국의 귀족과 부르주아는 훌륭한 반려견을 충직하고 예민한 친구로 받아들여 이들과 주고받는 애정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 특히 18세기에는 개, 원숭이, 어린 맹수, 이국적인 고양이 같은 희귀하고 비싼 동물을 키웠고 이런 이색적인 동물들은 주인의 지위를 상징..
-
오스트레일리아 군대를 이긴 에뮤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5. 4. 17. 03:00
인간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동물에게 폭력을 자행했다. 1932년 오스트레일리아 군대는 군 역사상 가장 기이한 전쟁을 벌였다. 이들은 완전 무장을 하고 에뮤 수천 마리를 제거하려 접근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3500만년 이상 타 대륙과 떨어져 있었다. 그 덕에 캥거루, 퀴카, 바늘두더지, 코알라, 주머니곰과 같이 지구상에서 독특한 동물이 서식하게 되었다. 에뮤 역시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으로 현존하는 새로는 두 번째로 거대하다. 키는 1.7m 내외로 무게는 45kg가 넘는다. 20㎝ 길이의 작은 날개가 있지만 날지는 못한다. 대신 달리는 능력이 우월한데 시속 50km정도까지 속력을 낼 수 있다. 수천 마리가 떼를 지어 오스트레일리아 대자연을 가로질러 다니면서 먹잇감인 과일, 씨앗, 새순, 작은 동물을 찾아다..
-
노르망디 작전에서 활약한 전서구(傳書鳩)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4. 11. 28. 03:00
1870년 9월 프러시아 군대가 동맹인 독일군과 함께 파리를 포위했다. 도시가 에워싸이고 도주로를 차단당하고 구원군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채로 파리 시민은 길고 배고픈 겨울을 맞이했다. 구원군에게 전보를 보낼 전선은 잘려, 파리에서 외부와 접촉할 주요 통로는 우편물을 실은 열기구뿐이었다. 이때 수천년 동안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어준 동물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바로 전서구로 활약한 비둘기였다. 프랑스인은 비둘기가 독일군 전선 밖에 내려앉으면 비둘기에게 메시지를 달아서 포위 중인 수도로 돌려 보냈다. 이때 메시지를 전달하는 물건은 최신 제품인 마이크로필름이었다. 수신인은 비둘기에게서 필름을 떼어내 환등기를 이용해 비춰본 뒤 내용을 기록하여 전달했다. 360마리의 비둘기 중 1/6만이 파..
-
잉카제국의 수호신인 라마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4. 8. 20. 03:16
잉카제국은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전까지 아메리카 대륙에 등장한 가장 큰 세력이었다. 14세기초 잉카는 안데스의 고산도시 쿠스코를 넘어 인근 지역을 정복하며 확장에 나갔다. 16세기 초에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을 따라 4천km에 이르는 영토와 1천만명의 인구 통치했다. 행정부와 사회기반 시설이 잘 갖추어진 고도로 조직화된 국가였다. 잉카 그리고 초기 안데스 국가들의 힘은 바로 라마라는 동물이 지닌 능력에서 왔다. 라마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축화된 동물 중 가장 몸집이 크다. 라마는 낙타과 포유류이지만 친척뻘인 낙타와 달리 등에 혹이 없다. 4천만 년 전 북미에 나타난 라마의 선조는 약 300만년 전에 남미 대륙으로 이동했고 다른 동물보다 적혈구 수가 많아서 혈액 속에 산소를 다량 운반할 수 있는 데다 폐활..
-
고대문자인 갑골문자를 새긴 가장 오래 산다는 거북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4. 6. 27. 03:42
중국의 문자 체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할뿐만 아니라 가장 오래되기도 했다. 수천가지의 형태로 음성과 개념을 나타내는 한자는 동아시아의 다른 문자 체계, 특히나 한국이나 일본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최초의 문자는 그 역사가 기원전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바로 거북의 등딱지에 새겨진 문자다. 거북은 356종이 속한 파충류과로 뼈로 이루어진 껍질 안으로 몸을 집어넣을 수 있다 이 껍질은 갈비뼈와 척추뼈에 붙어 있는 신체의 일부로 탈피하지 않는다. 대다수의 거북이 수생생물이거나 반수생생물로 생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낸다. 그래서 등딱지는 유선형으로 진화했으며 일부 종은 수영하는데 도움이 되는 갈퀴를 지녔다. 바다에 서식하는 일곱 종의 거북이는 여기에 해당하는데 이들 종은 수심 900m까지 잠수할..
-
알렉산더 대왕에 맞선 코끼리 부대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4. 4. 2. 03:18
현존하는 가장 큰 육상동물은 코끼리다. 힘과 지혜, 권위의 상징이다. 코끼리는 코를 이용해 물건을 집고 앞니가 자라 생겨난 엄니는 방어, 땅파기 등에 쓰이며 커다란 두 귀는 신체의 열을 발산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존하는 코끼리는 세 종이 있다. 가장 큰 녀석은 아프리카코끼리로 몸무게가 6톤에 달하며, 어깨까지 키가 3m가 넘는다. 2010년 개별 종으로 분류된 아프리카둥근귀코끼리는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약간 작다. 아시아 코끼리는 대개 4톤 가량의 몸무게에 인도아대륙 및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기원전 3000년대 말 인도아대륙 북동부에서 발원한 인더스문명에서 인간이 코끼를 길들인 최초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다. 코끼리는 지능이 높아 훈련이 가능하다. 하지만 코끼리는 가축화하기는 힘들다. 임신기간이 22개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