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2. 3. 금)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2. 3. 04:35
1927년 비오 11세 교황꼐서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성인을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하였다. 프란치스코는 프랑스 파리 대학에서 공부하던 중에 이냐시오 성인을 만나 삼십일 피정을 한 뒤 1534년 파리 몽마르트르에 있는 성당에서 이냐시오와 함께 예수회 회원으로 첫 서원을 한다. 1537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사제품을 받고 1540년에 예수회의 첫 번째 선교사로 임명되어 포르투갈 리스본을 거쳐 인도 고아에서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1545년부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뉴기니와 필리핀 인접 지역에서도 선교활동을 하였고 중국으로 가려고 입국허가를 기다리다 풍토병에 의해 선종하셨다. 프란치스코는 언제나 주님 저는 여기 있습니다. 당신꼐서는 제가 무엇을 하기를 원하십니까 ? 원하시는 곳이면 어디에나 저를 보내십시오..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2. 2. 목)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2. 2. 04:53
나에게 주님 주님 한다고 모두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라야 들어간다. 중요한 것은 행동이다. 주님이라는 호칭은 하느님의 주권을 의미한다.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분이 하느님이심을 믿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부르느 것만으로는 미사때마다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하고 부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주님이라는 고백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행동으로 옮길 때 완성된다. 그러면 아버지의 뜻은 무엇인가. 그것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깨닫는 것이다. 구원은 하늘나라에서 이루게 될 하느님과의 충만한 친교를 이룸으로써 아버지를 닮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사랑이시고 그 사랑을 나누시고자 인간을 만드시어 그 사랑을 인간에게 내어 주신다. 그래서 인간은 ..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2. 1. 수)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2. 1. 04:44
마태오 복음사가는 빵의 기적 이야기를 두 번이나 연달아 들려준다. 오천명을 먹이신 기적 이야기에서 빵 다섯 개와 오천명 그리고 열두 광주리는 이스라엘을 상징한다. 사천명을 먹이신 기적에 등장하는 빵 일곱 개와 일곱 바구니에서 일곱이라는 숫자는 가나안 땅 이방의 일곱 민족을 의미할 뿐 아니라 사람들이 배불리 먹고 남은 조각이 일곱 바구니에 가득 차 이 기적이 완전하였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천 명은 사방에서 몰려온 많은 이를 상징하면서 예수님께서 이방인을 주 대상으로 기적을 베푸셨음을 보여 준다. 이 기적들은 사람들을 가엾이 여기시는 예수님의 마음에서 비롯하였다. 예수님은 사람들을 가엾이 여기는 마음은 제자들에게 자신의 음식을 기꺼이 내어놓게 한다. 예수님꼐서 그들이 내어놓은 빵 일곱 개와 작은 물고기 몇 ..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1. 30. 화)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1. 30. 04:11
예수님의 성탄을 준비하는 우리의 기다림 또한 우리 자신의 가장 쓸모없고 버려진 마음, 너무 추악해서 들추어 보고 싶지 않는 자리를 바라보게 한다. 그곳에서 예수님꼐서 찾아오시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런 곳을 바라보고, 거기에 자리를 마련해 두어야지만 아기 예수님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예수님과 처음으로 만난 제자들도 그러한 자리를 마련한다. 어부에게 그물은 삶을 살아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그래서 그들은 그물에 집착하였고 크고 좋은 그물을 얻고자 사람들과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였다. 제배대오와 두 아들은 배와 아버지를 버렸다고 한다. 같은 어부였지만 그들은 더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었다. 호수로 나갈 수 있는 배를 가졌고 그런 배와 그물, 그리고 사람들을 고용하고 있는 아버지가 있었던 것이다...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1. 29. 월)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1. 29. 07:03
우리는 기다림의 시간이 행복하고 기대되는지의 여부는 누구를, 무엇을, 그리고 어떤 상황을 기다리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백인대장의 기다림은 예수님꼐서 아픈 종을 반드시 고쳐 주실 것이라는 희망과 믿음의 기다림이었다. 그는 그 기다림의 시간 동안 자신의 처지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들을 바라본다. 자신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예수님의 입장에서 예수님을 더 깊이 생각하고 배려한다. 그래서 그 기다림은 사랑의 기다림이다. 기다림의 시간이 지나고 예수님을 만나는 백인대장은 주님 제 종이 몹시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수님꼐 자신의 욕심과 바람만을 요구하지 않고 예수님의 배려와 사랑도 표현한다. 수고롭게 이방인인 저의 집에 오실 필요 없습니다. 그냥 한 말씀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주님 저는 당신의 종으로서 당신께..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1. 28. 일)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1. 28. 04:49
전례력으로 한해의 시작이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어떤 일에 열정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지를 계획하여 본다. 어떤일에는 더욱 집중하고, 어떤 일은 조금 내려놓기도 다짐한다. 그런데 우리는 자꾸 무엇을 하기만 원하는 것 같다. 일하기를, 놀기를, 행복해지기를 원한다. 그래서인지 자신이 무엇인가를 하기 원하는 만큼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요구하는 것 같다. 만약 그 일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실망하고 그를 괴롭힌다. 나도 이만큼 하니까 너도 이 정도는 해야 한다며 다그치기도 한다. 우리는 무엇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했는지를 먼저 바라보아야 한다. 그러면 내가 하지 못했던 것들을 더 자세히 바라볼 수 있다. 그래야 다른 사람을 다그치지 않고 내가 먼저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미래의 일을 알지 못한다...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1. 27. 토)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1. 27. 03:29
긴장감은 어쩌면 더 많이 준비하고 더 많이 생각하고 더 많이 고민하였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더 많이 준비하였기에 세밀한 부분까지 알고 있기에 평범하고 당연한 것도 평범하지 않을 수 있다. 오늘 복음에서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라고 말씀하신다. 방탕과 만취, 일상의 근심도 날마다 반복되면 습관이 된다. 습관이 되면 실수하는 것 또한 일상이 되어 버린다. 그 습관 때문에 누군가 상처받고 아파하지만 그 상처와 아픔조차 평범한 일이 되어 버린다. 한번의 실수에도 고민하고 반성한다면 긴장하며 일상을 살아갈 것이다. 또한 긴강감은 나의 약함을 바라보는 계기가 된다. 그렇게 많은 준비를 하고 반성을 하며 완벽해지려고 하지만 결과를 돌아보면 언..
-
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2021. 11. 26. 금)아들을 위한 오늘의 묵상 2021. 11. 26. 04:56
오늘 복음에서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전한다. 이에 대해 우리는 늘 오늘을 바라보며 살아가야 한다고 본다. 지금 나와 함께 있는 사람들, 그들과 나누고 있는 삶의 이야기, 그리고 우리 시대가 직면하여 있는 상황 속에 하느님께서 언제나 활동하시고 찾아오신다는 진리 때문이다. 시대의 징표를 보아야 한다. 시대정신을 고려해라 라는 말은 어쩌면 지금의 삶에 대한 충실함을 이야기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그 흐름을 쫓는 것이 힘들기도 하다. 그러나 그 안에서 변하지 않고 반드시 지켜야 할 것들이 있다는 사실도 분명하다.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만 집중해서 살지 않는 일이다. 자신의 것에만 집중하다 보면 주위를 둘러보지 못한다. 또한 자기 생각에 갇혀 여유롭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