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간의 경제학의 중심에 세운 게리 베커의 1964년에 쓴 인적 자본
    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4. 2. 13. 03:36

     

    게리 베커는 시카고 대학에서 1955년 차별의 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시카고 학파인 밀턴 프리드먼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또한 노동경제학자 루이스와 농업경제학자 슐츠, 법경제학자 디렉터, 수학자 새비지 등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전통적인 경제학 주제를 확장하여 기존의 사회학에서 다루던 결혼, 출산, 범죄, 중독 행위 등의 주제를 경제학적 사고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베커는 인적 자본의 경제학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한 선구자다. 인간의 노동력을 자본화한다를 인력이 생산을 위해 투자되는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받아들여졌다. 1950년 이전에는 노동자의 임금이 상이한 이유가 단순히 좋거나 나쁜 직업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베커는 여기에 새로운 시각으로 기계와 공장과 같은 다른 생산 요인으로 교육이나 훈련과 같은 개인적 투자를 통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베커의 인적 자본론의 핵심은 인간이 가진 노동력이 단순히 고용되는 숫자나 쓰이는 시간으로 계산돼서는 안 되며 고용된 사람이 어떤 수준의 교육이나 훈련을 받았는지에 따라 생산효율과 그의 소득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교육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투자이며 교육으로 인한 노동의 질적 증가가 바로 자본이 된다. 노동 자본이 거래되는 노동시장은 민간이 주도하고 고용과 해고가 자유롭도록 유연성이 높아야 한다. 1960년대 드디어 노동경제학에도 신자유주의의 물결이 일기 시작한 것이다 베커는 직업 트레이닝과 학교 교육 같은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수익률을 분석한다. 1939년과 1949년의 대학 교육의 수익률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나이와 소득 그리고 나이와 부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책은 굉장히 많고 창의적인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만, 핵심 내용은 간단하다. 인적 자본도 물적 자본과 마찬가지로 투자를 통해 축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인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투자 또한 편익 분석을 활용한 의사결정에 기반한다. 인적 자본은 이러한 편익 분석이 맞벌이, 사형 제도, 사회 복지, 마약 규제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맞벌이는 경제적 판단이다. 만약 여성의 임금 수준이 높다면 여성은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일하는 쪽을 선택할 것이다. 맞벌이를 통해 수입이 늘어나면 그 만큼 아이에게 투자할 수 있는 자원이 많아진다. 이는 자녀의 인적 자본을 증가시켜 가계 경제를 확장한다. 즉 맞벌이와 육아에 대한 의사결정은 경제적 맥락에서 편익 분석을 활용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인적 자본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과 훈련 그리고 가정이다. 가정과 교육은 밀접하고 인간의 경제적 가치와 그 성장의 기본이다 즉 인간 노동력의 경제적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교육과 가정이고 기업과 같은 맥락에서 분석해야 한다. 국가에 이 부분에서 투자를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견인할 수 있다

     

    인적 자본은 인간을 경제학의 중심에 세웠다. 합리성을 강조하는 경제학에서 인간의 개인적 특성과 선택은 주요 분석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라고 주장하며 합리성에 기반한 전통 경제학이 다루지 않는 인간을 고찰한 것이다. 베커의 인적 자본은 인간을 주제로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행동경제학과 일맥 상통하나 합리성을 근거한 전통적인 경제학적 사고 안에서 인간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결이 다르다. 그리고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많은 실증 근거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의 시도는 혁신적이었다. 베커는 2008년 한국을 방문하여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강화하여 시장의 효율성을 높여 고용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정부는 대내외적인 사회 안정 도모,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사회 안전망 제공 그리고 반독점 규제 등 최소한 규제라고도 조언했다 그의 인적자본은 사회학, 인구학, 범죄학과 같은 다른 사회과학들과 경제학 간의 융합적 연구를 촉발한 시발점 중 하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