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관계는 시작은 어떻게 되었으며 무역전쟁의 이유는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3. 23. 04:47
미국은 중국과 1978년 등소평을 통해 핑퐁외교로 닉슨은 중국의 개방정책에 도움을 주었다. 미국은 베트남전쟁에서 거의 패전(1976년 철수)하여 철수하고 경제적 돌파구로 소련의 공산주의와 다른 노선을 걷는 중국과 교역을 하게 되었다. 1980부터 경제발전을 거듭하여 2010년에는 GDP를 일본을 추월하여 2위로 부상하고 중국의 일대일로정책으로 130개국에 420조를 투자하여 미국 트럼프의 우선주의에 대조하여 리더로 패권국가를 주도하려고 하자 미국은 자국산업과 경제를 보호하고 세계주도권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미중무역전쟁을 전개하였다. 전쟁전까지 중국은 싼 물건을 미국에 팔므로써 미국은 물가가 안정화되어 서로가 윈윈한 상태이다가 미국은 더이상 중국을 방관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백인들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중국물건 의존도가 높아서 미국산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복관세를 부과하여 미국으로 수입을 통제하려고 하였으나 예상외로 중국이 견디니 지금은 화웨이를 공격하여 반도체공급을 중단하고 중국이 물건을 너무 많이 팔았다며 불공정무역을 미국이 주장하였다. 또한 미국이 이익을 볼 수 있는 인터넷시장과 금융시장을 개방하라고 압력을 놓고 있다. 일본도 예전에 1960-80년에 도요타등 자동차를 미국에 팔아서 엄청난 부에 대해 미국의 포드차 등이 어렵게 되자 1985년 일본과 미국 등 5개국이 프라자합의로 일본의 엔화를 절상하여 수출을 막게 하여 일본은 어려움 겪다가 일본버블경제의 원인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식 불황을 닮아가는 한국경제 (0) 2021.04.07 남북한 통일이 우리경제에 미칠 장단점 (4) 2021.04.01 화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화폐의 과거의 현재는 (1) 2021.03.22 부의 흐름인 패권이동의 역사 (1) 2021.03.18 세계중심인 유대인의 부의 흐름 (0) 202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