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麥舟(맥주)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3. 3. 22. 03:31
麥舟(맥주) - 보리맥, 배주
보래 배라는 말로 물품을 주어 사람들의 상을 돕는 것을 뜻한다 즉 부의다
혜홍의 냉재야화와 맥주조상에 나오는 내용이다. 북송의 재상 범중엄은 두 살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는 개가했다. 그는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자랐으나 학문에 정진하여 지식과 백성에게 엄격하면서도 인자한 아버지요 관리가 되었다. 범중일에게는 요부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고향 고소에 아들을 남겨두고 보리 500섬을 가져오게 했다. 요부가 보리를 싣고 탄 배가 단양에 정박했을 때 친구 석만경을 만나게 되었다. 만경은 부모님과 아내를 잃었으므로 침통한 얼굴로 그에게 이렇게 말했다
삼년상인데도 천토에 있어 북으로 가서 상례를 치르려고 하는데 논의할 사람이 없네 요부는 곧바로 싣고 온 보리배를 그에게 주고 집으로 돌아왔다. 범종엄이 물었다. 고소에서 친구들은 만났느냐. 만경이 부모님과 아내를 잃고 장례도 치르지 못해 채 단양에 있었습니다. 어찌하여 보리배를 그에게 주지 않았느냐 ? 이미 그것을 주었습니다. 이렇듯 상사에 부조금을 주는 것은 상부상조의 오랜 미덕이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盲人瞎馬(맹인할마)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4.05 孟母斷機(맹모단기)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3.29 麥秀之嘆(맥수지탄)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1) 2023.03.15 麥丘邑人(맥구읍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1) 2023.03.08 梅妻鶴子(매처학자)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1)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