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연방준비은행과 잉글랜드은행 등 중앙은행은 어떻게 등장했나 ?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6. 12. 04:51
달러는 1792년 주화법에 따라 미국의 정식화폐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은행이 출범한 것은 100년은 넘은 1914년에 이르러서다. 1863년까지는 무려 1600여개 달하는 민간 은행들이 금과 은 또는 주정부에 예치한 유가증권을 담보로 달러화를 자유롭게 발행했다. 그러나 은행들의 잦은 위기와 금융혼란으로 문제가 적지 않았다. 1863년에는 국가은행법이 제정되어 연방정부의 인가를 받은 은행들만 자본금을 근거로 달러화를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연준(FRB)의 등장은 1907년 세 번째 큰 신탁회사 니커보커가 투자실패로 인해 파산하고 미국 증권시장 폭락으로 금융위기가 터진 것이 계기였다. 돈을 떼일까봐 불안해진 예금자들이 은행과 신탁회사들로 몰려가 돈을 한꺼번에 인출하자 금융회사들의 파산 ..
-
公(공평)와 參(참여)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2. 04:41
(公)공평,여러,귀공자 공 (松)소나무 송 (訟)소송할 송 (頌)칭송할 송 (翁) 늙은이 옹 / (參)참여할 참 (慘)슬플 참 (公)공평,여러,귀공자 공 (松)소나무 송은 나무의 귀공자는 (訟)소송할 송는 여러에게 판정을 위해 말하는 (頌)칭송할 송은 여러이 머리를 들어 (翁) 늙은이 옹은 여러 깃이 난 이는 / (參)참여할 참 (慘)슬플 참은 마음으로 참여하면 1. 公平無私(공평무사,공평할공,평평할평,사사로울사) 公開(공개, 여러공,열개) 公園(공원,동산원) 2. 松林(송림,소나무송,수풀림) 松津(송진,끈끈할진) 靑松(청송) 3. 訴訟(소송,하소연할소,소송할송) 訟事(송사,일사) 4. 頌歌(송가,칭송할송,노래가) 讚頌(찬송,칭찬할찬) 5. 塞翁之馬(새옹지마,변방새,늙은이옹) 6. 參觀(참관,참여할참,볼..
-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역사는 무엇인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6. 11. 04:32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쓴 삼국유사의 단군신화가 나오는데 옛날 환인이 서자 환웅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했다. 아버지 환인이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을 내려다보니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라고 그런 단군신화는 역사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한다 물론 환단고기를 믿는 진보사학자들은 역사의 한부분으로 보기는 한다. 역사를 과거에 일어나는 사실을 그대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는 절대주의적 역사관과 여기에 자신의 주관이 들어가는 상대주의적 역사관이 있다. 절대주의 역사관은 독일의 역사학자 랑케가 있고 상대주의적 역사관은 이탈리아의 크로체가 있다. 실증주의자인 랑케는 역사는 실제로 증명할 수 있는 것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역사가의 임무는 오직 사실만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에 ..
-
台(기쁠)와 以(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1. 04:30
(怠)게으를 태 (殆)위태할,거의 태 (始)처음 시 (治)다스릴 치 / (以)써 이 (似)같을 사 (怠)게으를 태는 기쁜마음이 있으면 (殆)위태할,거의 태는 기뻐한 나머지 죽을 곳에 나아가면 (始)처음 시는 여자가 기뻐하는 이유는 남자와 (治)다스릴 치는 왕이 기쁜 마음으로 물을 / (以)써 이 (似)같을 사은 사람은 인간으로서 1. 怠慢(태만,게으를태,게으를만) 倦怠(권태,게으를권) 懶怠(나태, 게으를나) 2. 危殆(위태,위험할위,위태할위) 殆半(태반,거의태,반반) 3. 始動(시동,처음시,움직일동) 始作(시작) 始終一貫(시종일관, 마칠종,뚫을관) 4. 治安(치안,다스릴치,편안할안) 治療(치료,병고칠료) 完治(완치,완전할완) 5. 以後(이후,써이,뒤후) 以熱治熱(이열치열,열열,다스릴열) 6. 似而非(사이..
-
조선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 ‘미인도’ 신윤복아들을 위한 인문학/미술 2021. 6. 10. 06:51
신윤복은 신숙주의 방계 후손으로 화공가문 출신의 도화서 화원 신한평의 아들로 산수화와 풍속화를 그렸으며 주로 양반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과 여성들의 자유연애와 애환의 생활상을 그려내서 김홍도, 김득신, 장승업과 함께 조선 4대 풍속화가로 평가된다. 아버지 신한평은 영조의 어진을 두 번이나 그릴정도로 실력이 인정받았고 신윤복도 아버지를 이어서 화원으로 첨정이라는 벼슬에 올랐다. 그의 그림은 주로 남녀간의 사랑이나 여성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그렸고 화려한 색을 사용하여 기생이나 무당의 그림을 즐겨 그렸으며 시골 주막의 서민적인 풍속 또한 날카로운 화필로 잘 그렸다. 이러한 그림은 양반사회를 풍자하여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신윤복의 풍속화는 소재 선정부터 구성, 인물의 표현방법에서 김홍도와는 큰..
-
禾(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0. 06:51
(稻)벼 도 (稱)일컬을 칭 (菌)버섯,세균 균 / (爲)될 위 (僞)거짓 위 / (辭)말씀,물러날 사 (亂)어지러울 란 (稻)벼 도는 절구안에 벼는 (稱)일컬을 칭은 벼를 땅속에 들어 손으로 (菌)버섯,세균 균은 풀창고에 벼가 썩어 생긴 / (爲)될 위 (僞)거짓 위은 사람이 꾸며서 하는 / (辭)말씀,물러날 사은 세상에 매서운 것은 (亂)어지러울 란는 새가 세상을 1. 稻作(도작,벼도,지을작) 稻熱病(도열병,열열) 立稻先賣(입도선매) 2. 稱頌(칭송,칭할칭,기릴송) 稱號(칭호,부를호) 稱讚(칭찬,기릴찬) 3. 滅菌(멸균,멸할멸,세균균) 抗菌(항균,막을항) 殺菌(살균,죽일살) 4. 當爲(당위,마땅할당,될위) 爲民(위민,위할위) 5. 僞證(위증,거짓위,증거증) 僞善(위선,착할선) 眞僞(진위,참진) 6. ..
-
파스타의 본고장이 이탈리아가 아니라 중국이라고 ?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1. 6. 9. 05:54
파스타의 어원은 그리스어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보리죽을 의미하고 라틴어로는 밀가루 반죽을 의미한다. 파스타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긴 파스타는 스파게티이고 짧은 파스타는 마카로니라고 한다. 여기서 스파게티는 끈이나 실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스파고의 작은말 스파게토의 복수형이니,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작은 끈들정도라 될 것 같다. 마카로니는 16세기 말경 이탈리아 남부지방 방언 마카로니에서 나온 말이다. 이들은 본래 남부지방 음식이었는데 주로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먹었다. 그럼 파스타의 본고장은 어디인가 ? 얼핏 보면 이탈리아 같지만 사실은 중국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국수를 다이어트 음식으로 먹어왔다. 중국 신장 투루판에 한 무덤에서 만두의 잔여물로 보이는 것이 출토되었다. 그럼 누가 파스타..
-
爰(당길)와 受(받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9. 05:51
(援)도울원 (緩)느릴완 (暖)따뜻할 난 / (受)받을 수 (授)줄 수 (愛)사랑 애 (援)도울원은 손으로 당겨 (緩)느슨한 완은 실을 당겨 (暖)따뜻할 난은 햇빛을 당기면 / (受)받을 수은 손톱처럼 덮은 손으로 (授)줄 수는 손으로 받도록 (愛)사랑 애는 받는 마음을 1. 援軍(원군,도울원,군사군) 援助(원조,도울조) 援護(원호,보호할호) 2. 緩急(완급,느슨할완,급할급) 緩慢(완만,게으를만) 緩衝(완충, 부딪힐충) 緩行(완행) 3. 溫暖(온난,따뜻할온,따뜻할난) 暖帶(난대,띠대) 暖流(난류,흐를류) 4. 授受(수수,줄수,받을수) 受容(수용,담을용) 受精(수정,정자정) 5. 授乳(수유,줄수,젖유) 敎授(교수,가르칠교) 授與(수여,줄여) 6. 愛憎(애증,사랑애,싫어할증) 愛着(애착,붙을착) 愛讀(애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