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韋(가죽,어길)와 朝(아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31. 05:07
(偉)클 위 (緯)씨실 위 (違)어길 위 (圍)둘레 위 / (朝)아침 조 (潮)조수 조 (廟)사당 묘
(偉)클 위은 일반사람과 어긋나서 (緯)씨실 위는 실중에서 날실과 어긋나는 (違)어길 위는 가는 곳이 맞지 않는 (圍)둘레 위는 가죽을 쌓은 (朝)아침 조 (潮)조수 조는 물이 아침에 나가는 것이 (廟)사당 묘은 집안에 아침에 제사 지내는 곳을
1. 偉人(위인,클위) 偉大(위대)
2. 緯度(위도,가로(씨실같은)위,정도도) 經緯(경위,세로(날실)경)
3. 非違(비위,아닐비,어긋날위) 違約(위약,약속(묶을)약) 違反(위반)
4. 周圍(주위,두루주,둘레위) 包圍(포위,쌀포,둘러쌀위)
5. 朝刊(조간,아침조,책펴낼간) 朝會(조회,아침조,모일회) 朝食(조식) 朝廷(조정, 뵐조,관청정)
6. 潮流(조류,조수조,흐를류) 滿潮(만조,찰만)
7. 宗廟(종묘,마루(왕실)종,사당묘)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石(돌)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2 行(다닐)와 幹(줄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1 皮(가죽)와 取(가질)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9 叔(아저씨)와 害(해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8 夆(만날), 射(쏠), 壽(목숨)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