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正(바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6. 07:23
(正)바를 정 (征)칠 정 (政)다스릴 정 (整)가지런할 정 (症)병세 증 (定)정할 정 (正)바를 정은 하나에 그치면 (征)칠 정은 가서 바로 잡으려고 (政)다스릴 정은 바르도록 치면서 (整)가지런할 정은 묶어 양끝을 쳐서 바르게 하면 (症)병세 증은 병을 바르게 진단한 (定)정할 정은 집안에 물건을 바르게 1. 正義(정의,바를정,뜻의) 正直(정직,곧을직) 2. 征伐(정벌,칠정,칠벌) 征服(정복,따를복) 遠征(원정,멀원) 3. 政府(정부,다스릴정,관청부) 政治(정치,다스릴치) 政派(정파,물갈래파) 4. 整理(정리,가지런할정,다듬을리) 整頓(정돈,조아릴돈) 調整(조정,고를조) 5. 渴症(갈증,목마를갈,병세증) 痛症(통증,아플통) 症狀(증상,상태상) 6. 定價(정가,정할정,값가) 定着(정착,붙을착) 安定(..
-
순천과 보성하면 선암사, 태백산맥, 무진기행을 생각하게 하는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1. 6. 25. 04:25
법정스님이 반했다는 선암사는 삼국시대인 6세기경에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 전란과 한국전쟁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불자들의 신심을 꺾지는 못하는 곳이다. 한편 대웅전을 바라보면 대웅전의 처마 끝과 산 자락이 하나로 이어지는 모습을 가져서 정면에서 선암사 대웅전은 자연 풍경 속에 완전히 녹아들어 있다. 선암사에는 3월에 피는 300년이 넘는 백매화와 홍매화로 유명하고 천연기념물 488호로 지정되어있다. 무소유의 법정스님은 ‘텅빈 충만’이라는 수필집에는 매화나무의 애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선암사 경내에 들어서자 양지바른 돌담 아래 여기저기 매화가 허옇게 피어있었다 (........)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아야 꿈같은 정경이다 - 법정스님 (텅빈 충만) 선암사에서 태고종은 불교의 한종파로 결혼을 하고 자식을 두..
-
走(달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5. 04:23
(走)달릴 주 (起)일어날 기 (越)넘을 월 (徒)무리 도 (武)군사,무기 무 (賦)세금거둘,줄 부 (走)달릴 주 (起)일어날 기는 달릴려고 몸을 (越)넘을 월는 도끼로 달려가 담을 (徒)무리 도는 걷거나 달리는 (武)군사,무기 무 (賦)세금거둘,줄 부는 군사로 재물을 1. 走行(주행,달릴주,다닐행) 滑走路(활주로,미끄러울활,길로) 逃走(도주,도망할도) 2. 起床(기상,일어날기,평상상) 起工式(기공식,공사공,의식식) 3. 越權(월권,넘을월,권리권) 移越(이월,옮길이) 追越(추월,따를추) 4. 信徒(신도,믿을신,무리도) 徒步(도보,걸을도,걸을보) 5. 武功(무공,군사무,공공) 武力(무력) 武裝(무장,무기무,갖출장) 6. 賦課(부과,세금거둘부,매길과) 賦與(부여,줄부,줄여) 天賦(천부,줄부)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중세사회에는 통하지 않았다고아들을 위한 인문학/일반상식 2021. 6. 24. 05:17
중세 유럽은 넓은 원시림으로 덮여 있었다. 하지만 근대로 넘어오면서 타국과 교류할 필요성 때문에 원시림의 나무를 잘라내고 강제로 길을 연 것이다. 길을 나타나는 route는 라틴어 룸페레에 의미로 깨부수다라고 한다. 과거 길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 태초부터 인간이 두발로 움직이는 자리에는 자연히 길이 생겼다 때로는 특수한 목적으로 길을 만들기도 했다. 소금을 운반하기 위해서 만들거나 상거래를 위해서 만든 silk road가 있다. 병사들이 움직일 때는 가장 큰 길이 만들어진다. 고대 로마 제국이 병사 이동을 위해 만든 길 덕분에‘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표현까지 생겨났다. 중세에 들어오면서 길의 운명은 달라졌다. 중세 유럽은 자급자족의 장원을 기초로 한 지방 분권 사회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가는 ..
-
延(끌)와 廷(관청)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4. 05:16
(延)끌 연 (誕)태어날 탄 (廷)관청정 (庭)뜰 정 (步)걸음 보 (涉)건널,관여할 섭 (延)끌 연 (誕)태어날 탄은 울음말을 늘리며 (廷)관청정은 임무를 맡고 걸어가는 곳은 (庭)뜰 정은 집안에 관청처럼 가꾼 (步)걸음 보는 그치다가 조금씩 (涉)건널,관여할 섭은 강물위를 걸어서 1. 延期(연기,늦출연,기간기) 遲延(지연,늦을지) 延長(연장,길장) 2. 聖誕(성탄,거룩할성,태어날탄) 誕生(탄생,날생) 3. 宮廷(궁정,궁궐궁,관청정) 法廷(법정,법법) 開廷(개정,열개) 4. 庭園(정원,뜰정,동산원) 家庭(가정,집가) 校庭(교정,학교교) 親庭(친정,어버이친) 5. 步幅(보폭,걸음보,넓이폭) 進步(진보,나아갈진) 速步(속보, 빠를속) 步行(보행,다닐행) 6. 涉外(섭외,관여할섭) 干涉(간섭,막을간) 交涉(..
-
개가 된 디오게네스의 견유학파는 본능에 충실한 행위예술가라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철학 2021. 6. 23. 06:19
서양철학의 전통은 기원전 5세기 아테네에서 시작되어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졌다. 이들은 도시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든가 사회를 위해 인간이 가져야 할 덕목은 무엇인가를 중요하게 여겼다. 당시 도시국가의 시민은 몇천명정도 밖에 안되는 작은 규모로써 그런지 공동체를 무척 중요시했다. 그러다가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더 대왕이 대제국을 건설하면서 작은 공동체에 살던 사람들이 알렉산드리아라는 대도시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들은 자유로운 개별적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여기에서 나타난 인물이 견유학파로 디오게네스가 있다. 그는 라파엘로의 그림 을 보면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이야기하며 철학적 배틀을 하..
-
止(그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3. 06:17
(止)그칠 지 (企)꾀할 기 (肯)긍정할 긍 (齒)이 치 / (占)점령할,점칠 점 (店)가게 점 (止)그칠 지는 두발이 서있는 모습 (企)꾀할 기는 사람이 일을 그치고 (肯)긍정할 긍은 일을 그치고 몸을 쉬니 마음이 (齒)이 치는 씹기를 그치고 아랫이와 윗이가 입벌린 속의 모양의 (占)점령할,점칠 점 (店)가게 점은 집안에 물건이 점한 곳은 1. 止血(지혈,그칠지,피혈) 防止(방지,막을방) 停止(정지,머물정) 2. 企業(기업,꾀할기,업업) 企劃(기획,그을획) 企圖(기도,도모할도) 3. 首肯(수긍,머리수,긍정할긍) 肯定(긍정,정할정) 4. 齒牙(치아,이치,어금이아) 蟲齒(충치,벌레충) 齒藥(치약,약약) 5. 占術(점술,점칠점,재주술) 占卦(점괘,걸괘) 占據(점거,점령할점, 근거할근) 獨占(독점,홀로독) 6..
-
청일전쟁에서 청이 패한 진짜 이유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6. 22. 06:04
동학군을 막지 못한 조선은 청군을 요청하고 텐진조약에 근거해 일본도 군대를 파견하나 동학군은 외세개입을 피하기 위해 전주화약을 체결하였으나 일본은 철병을 거부하고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일전쟁을 일으켰다. 일본군은 안산근처의 풍도해전에 청 함선을 침몰시키고 아산에서 육군을 패하게 하고 평양전투에서도 일본이 승리하였다. 청의 군대는 오합지졸로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조선을 약탈하기도 하였으나 일본군은 훈련과 군기가 확립되고 국방비를 50%로 투입하는 등 막강하였다. 일본군은 산둥반도 근처 황해해전에서 풍양함대를 박살내고 여순대련의 요동지역을 점령하고 일본의 청일전쟁 승리로 시모노세키조약으로 청의 예산 2년치의 2억량 배상을 요구하고 대만과 요동을 할양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 합하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