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코로나로 힘든 시기에 싱어송라이터 '서기의 그네'를 감상해 보세요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악 2021. 6. 30. 15:33
https://youtu.be/ChcxeJp8D7g 오늘 목소리가 곱기도 하면서 보이시한 다양한 음색을 소유한 장래 싱어송라이터로 유능한 서기라는 친구를 소개하겠습니다. 이 친구는 저의 중학교 친구의 딸로서 장래가 촉망되는 가수로 직접 작사 및 작곡을 하는 멋진 친구입니다. 서기라는 친구는 지난해 제14회 경향실용음악콩쿠르에서 보컬 부문 고등학교 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직접 작사와 작곡을 하는 십대라는 믿기지 않은 실력과 매력적인 음색으로 음악팬들에게 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에는 자작곡‘그때’를 공개하며 음악적 성장을 멈추지 않았고 떠오르는‘차세대 싱어송라이터’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서기의 음악적 스승인 추대관 작곡가는 “처음 외모만 보고 남자 아이돌 준비하는 친구인 줄 알았다. 나이에 맞지..
-
티베트지역에서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이 자주 왜 일어났을까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6. 30. 03:23
중국과 인도는 20세기 초반까지 티베트가 중간에 위치하여 국경문제가 없다가 인도가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티베트 동단과 서단에 대해 국경문제로 소규모 충돌이 일어났다. 이는 영국의 일방적 내지 티베트와의 조약으로 임의적으로 국경을 설정하고 중국정부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토를 실효적으로 지배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했다. 티베트의 동단지역은 청나라가 멸망하고 1912년 신해혁명으로 쑨원의 중화민국이 들어섰는데 그들은 티베트에 깊이 신경을 쓰지 않았다. 티베트는 완전독립을 선언하고 인도를 차지하고 있는 영국도 티베트의 독립을 지원했다. 1913년 영국, 티베트, 중국이 국경선획정회담을 열었는데 영국령 인도 외교장관 헨리 맥마흔은 히말리야 산맥 남쪽지역 프라데시..
-
內(안)와 肉(고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30. 03:21
(內)안 내 (納)들일 납 (肉)고기 육 (丙)남쪽 병 (兩)두 량 (滿)찰 만 (內)안 내는 성안으로 들어간 (納)들일 납을 실을 안으로 (肉)고기 육는 고기덩어리에 근육모양 (丙)남쪽 병은 하늘에서는 안이 (兩)두 량는 하나의 성을 둘로 나누니 (滿)찰 만은 물이 풀처럼 양쪽에 1. 內容(내용,안내,담을용) 內科(내과,분과과) 外柔內剛(외유내강, 부드러울유,굳셀강) 2. 納付(납부,바칠(들일)납,줄부) 返納(반납,돌아올반) 納稅(납세,세금세) 3. 獸肉(수육,짐승수,고기육) 肉體(육체,몸육,몸체) 肉感(육감,느낄감) 4. 丙種(병종,천간병,갈래종) 丙子胡亂(병자호란, 병자년 오랑캐란) 5. 兩班(양반,두양,나눌반) 兩面(양면,면면) 兩立(양립,설립) 6. 滿期(만기,찰만,기간기) 圓滿(원만,둥글원,(..
-
흥선대원군는 왜 민비를 며누리로 삼았을까아들을 위한 인문학/한국사 2021. 6. 29. 05:04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1863년부터 10년간 권력을 잡고 고종이 22살에 왕위를 내주고 2선에 물러났으나 한때 임오군란과 갑오개혁때 잠시 권력을 잡았다. 흥선대원군은 19세기 안동김씨와 풍양조씨의 세도정치에 와신상담하면서 숨고르기를 하며 지내다가 권력을 잡으면서 안동김씨 일가를 숙청하고 양반들에도 군포를 내는 호폐법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왕위의 권위를 세우는 경북궁을 재건하는데 인플레이션 유발하는 당백전을 발행하는 실책을 하기도 하였다. 흥선대원군은 지지기반이 미약하여 인재등용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고종이 15살 되던 해에 흥선대원군은 처가쪽에 세력이 없는 초라한 여흥 민씨 집안 16살인 민비를 결혼시켰다. 그런데 고종은 유모인 이상국을 좋아하여 아들 완화군을 낳아서 민비는 절치부심하며 고심..
-
同(같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9. 05:03
(同)같을 동 (銅)구리 동 (洞)마을,동굴 동, 밝을 통 (足)발 넉넉할 족 (促)재촉할 촉 (捉)잡을 착 (同)같을 동은 성안에서 하나의 출입구로 (銅)구리 동은 금과 같은 색의 금속은 (洞)마을,동굴,밝을 동와 밝을 통은 물을 같이 쓰는 (足)발,넉넉할 족는 무릎부터 발까지 본떠 (促)재촉할 촉은 사람이 발까지 구루며 (捉)잡을 착은 손으로 발목을 1. 表裏不同(표리부동,겉표,속리,같을동) 同苦同樂(동고동락,괴로울고) 2. 銅鏡(동경,구리동,거울경) 銅錢(동전,돈전) 3. 洞里(동리,마을동,마을리) 洞窟(동굴,동굴동,굴굴) 洞察(통찰,밝을통,살필찰) 4. 手足(수족,손수,발족) 滿足(만족,찰만,넉넉할족) 安分知足(안분지족, 편안할안,분수분,알지) 5. 促求(촉구,재촉할촉,구할구) 促迫(촉박,닥칠박)..
-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공산당선언은 어떤 배경에서 나왔나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6. 28. 05:08
마르크스는 19세기초반에 중산층 법률가에서 태어나서 22세에 철학박사을 따고 그 당시 독일의 전신인 프로이센를 비판하여 교수는 못되고 라임신문사 편집인으로 활동하였다. 프랑스로 이주하여 1789년 프랑스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사상을 생각하게 되었고 다시 영국으로 이주하여 산업혁명의 병폐를 깨달고 엥겔스에 의해 그의 유고작 자본론이 나오게 되었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총 3부로 나누어 1부는 자본생성과정으로 자본축적과 잉여가치에 대해 말하고 2부는 자본유통과정으로 자본의 순환과 비용을 말하고 3부는 자본생산의 총과정으로 이윤추구를 설명하고 있다. 자본주의에 내재된 2가지 요소가 자본과 노동인데 노동자는 자본가의 소유가 되는 상품에 소외가 되고 자신노동에 통제를 못함으로 두 계급간의 불균형이 생기므로 프롤레타..
-
是(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8. 05:06
(是)옳을 시 (提)끌 제 (堤)제방 제 (題)제목,문제 제 (楚)회초리 초 (礎)주춧돌 초 (是)옳을 시은 해처럼 밝고 바르면 (提)끌 제는 손으로 옳은 것을 (堤)제방 제는 흙으로 물이 옳게 흐르게 쌓은 (題)제목,문제 제은 내용을 옳게 알수 있는 글의 머리 (楚)회초리 초는 수풀속에서 발을 때리는 (礎)주춧돌 초는 회초리로 돌로 때려도 흔들리지 않은 튼튼한 1. 是非(시비,옳을시,아닐비) 是認(시인,인정할인) 2. 提高(제고,끌제,높일고) 提示(제시,보일시) 提供(제공,바칠공) 3. 防波堤(방파제,막을방,물결파,제방제) 堤堰(제언,둑언) 4. 題目(제목,제목제,항목목) 主題(주제,주될주) 宿題(숙제,오랠숙,문제제) 5. 苦楚(고초,괴로울고,회초리초) 淸楚(청초,맑을청,고울초) 6. 礎石(초석,주춧돌..
-
세계2차 대전의 전초전이고 리허설이라고 하는 스페인내전 어떤것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6. 26. 07:30
스페인 내전은 1936년 우파 군부세력이 공화국에 반란을 일으키며 시작으로 1939년에 종결된 4년 가까이 공화정과 파시즘의 대결구도로 여기에 공화정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고 파시즘은 독일 히틀러와 이태리 무솔린의 도움을 내전이지만 국제전의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 스페인 내전전에도 19세기부터 정치적 혼란상태로 쿠테타가 수시로 발생하여 내전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고 1926년에는 리베라는 군부가 쿠테타로 당시 왕인 알폰소 13세 밑에서 신정부를 수립하였으나 1929년 경제대공황으로 군부세력은 물러나가 1931년 총선거를 실시하여 왕정시대는 물러가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공화파 정부가 수립되자 정치군인을 좌천시켜 훗날 내전으로 40년간 독재를 하였던 프랑코도 아프리카쪽으로 좌천되었다. 여기에 우파정치인이 암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