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專(오로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2. 05:45
(專)오로지 전 (傳)전할 전 (轉)구를 전 (團)모일 단 (州)고을 주 (洲)물가,섬 주 (專)오로지 전 (傳)전할 전는 오로지 사람은 자기 마음을 (轉)구를 전는 오로지 수레바퀴가 (團)모일 단은 오로지 에워쌓여 (州)고을 주는 내천 사이에 점처럼 집이 모여 (洲)물가,섬 주는 물로 둘러싸인 고을은 1. 專攻(전공,오로지전,칠공) 專念(전념,생각념) 專屬(전속,속할속) 2. 傳達(전달,전할전,도달할달) 傳承(전승,이을승) 訛傳(와전,그릇될와) 3. 轉勤(전근,구를전,일할근) 轉禍爲福(전화위복,화화,복복) 轉科(전과,과목과) 4. 集團(집단,모일집,모일단) 團合(단합,합할합) 團結(단결,맺을결) 5. 州郡(주군,고을주,고을군) 全州(전주,온전할전) 6. 三角洲(삼각주,뿔각,물가주) 六大洲(육대주,섬주)
-
강남에 위치한 구룡산·대모산과 탄천·양재천 15.6km 트래킹 코스 도전해 보세요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1. 7. 31. 04:18
개암약수터 > 지하철 3호선 매봉역 4번 출구로 나와 바로 정면에 보이는 강남수도사업소의 표지판을 따라서 가면 양재천으로 향하는 길이 나온다. 양재천 산책로에 깔린 우레탄을 밟는 순간 폭신함을 느끼며 발걸음이 가벼워진다. 양재천 산책로를 잠시 걸어 영동3교로 빠져 나온다. 영동 3교를 지나면서 펼쳐지는 양재천변의 모습은 걷기 전용으로 하천변에 옹기종기 자라는 각종 식생들이 도심의 자연을 풍요롭게 수놓는다. 영동3교 방향으로 돌아선 다음부터 구룡터널 방향으로 계속 직진하다 보면 구룡산 입구에 다다르게 된다. 산입구 초반부의 나무계단의 다소 힘겨울 수 있으나 개암약수터까지 500m정도만 걸으며 시원한 약수 한 모금이 기다린다 대모산 -> 수서역 > 구룡산과 대모산을 거쳐서 수..
-
結草報恩(결초보은)와 頃筐倒篋(경광도협)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1. 7. 31. 04:16
結草報恩(결초보은) - 맺을 결, 풀초, 갚을보, 은혜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말로 죽어서라도 은혜를 저버리지 않고 보답함을 가리킨다. 刻骨難忘(각골난망)이라고도 한다 에 나오는데 춘추시대 진나라에 위무자라는 이가 살았는데, 그의 애첩이 하나 있었다. 위무자는 병에 걸린 지 얼마 안 되어 아들 과에게 명령하여 말했다. 반드시 개가시키는 것이 옳다. 그러나 병이 아주 위독해지자, 위무자는 다시 과를 불러 이렇게 말을 바꾸었다. 반드시 순장시키도록 해라. 그리고 나서 며칠 뒤 위무자가 죽었다. 과는 아버지의 마지막 유언대로 자기 서모를 순장시키지 않고 처음 한말에 따라 개가시켰다. 서모는 과가 아버지 유언대로 하지 않은 것이 의아하여 그 까닭을 물었다. 질병이 있으면 정신이 혼란하므로 저는 병이 다스려..
-
머피의 법칙은 이 세상에 대해 무리한 요구였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아들을 위한 인문학/과학 2021. 7. 30. 05:48
살다 보면 되는 일도 있고 안 되는 일도 있다지만 곰곰이 따져보면 안 되는 일이 더 많다. 슈퍼마켓에서 줄을 서면 꼭 다른 줄이 먼저 줄어들고, 소풍날이면 어김없이 봄비가 내리는 것이다. 이때 생각나는 것이 머피의 법칙으로 잘될 수 있고 잘못될 수도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는 것이다. 세상이 우리에게 얼마나 가혹한지 정리해놓은 이 법칙은 불행하게도 중요한 순간엔 어김없이 들어맞는다. 나는 왜 이렇게 재수가 없는 걸까 하고 낙담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사람들도당신만큼 재수가 없다. 머피의 법칙에 대해 과학자들은 그동안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들은 머피의 법칙은 단지 우스갯소리일뿐 종종 들어맞는 사실조차 우연이나 착각으로 여겨왔다. 머피의 법칙을 반박할 때 그들이 즐겨 사용하는 용어가 있는데 바로..
-
자기 정체를 숨기는 가면과 복면의 어감 차이를 아시나요아들을 위한 인문학/우리말 어감 2021. 7. 30. 05:47
가면은 얼굴을 가리는 도구다. 왜 얼굴을 가리는가. 타인의 시선을 거부하고 자신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서다. 얼굴은 공공연한 이름표이고, 그것은 행동의 당위를 요구한다. 그러한 요구는 때로 마음속의 내밀한 욕망을 억압한다. 따라서 얼굴을 가면으로 가린다는 것은 뭇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고 억압되었던 욕망의 고삐를 풀어놓는 일이다. 베네치아의 카니발을 비롯한 축제 행렬에 어김없이 화려한 가면이 등장하는 것도 그 같은 해방의 욕망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정체를 감춤으로써 숨은 욕망을 해방하는 것은 가면의 부분적 기능에 지나지 않는다. 가면을 쓰는 보다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불완전하고 미약한 존재인 인간은 아득한 옛날부터 힘 있는 존재가 되기를 꿈꾸어 왔는데 가면은 그러한 변신의 욕망을..
-
17세기 루이 14세가 베르사유 궁전은 왜 만들었으며 어떤 건축으로 만들어졌나아들을 위한 인문학/건축 2021. 7. 29. 05:40
파리의 남서쪽에 있는 베르사유 궁전은 루이 14세가 만든 절대권력의 상징이다. 궁전 안에는 헤라클레스방, 예배당, 그리고 풍요의 방, 비너스 방 등등 다양한 이름의 방들이 있는데 거울의 방은 그중 가장 인상적인 곳이다. 베르사유에 담겨 있는 권력의 위세는 아름다운 정원에 여전히 스며들들어 있다. 루이 14세가 베르사유 궁전을 지은 이유는 귀족의 반란으로 혼쭐이 나서 다시는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견제할 필요을 통감했다. 귀족들을 한자리에 불러 모아 관리하기 위해 궁전을 지었다고 한다. 또 다른 부수적인 이유로 당시 막강한 권력을 누리던 재무장관 니콜라 푸케 때문이라고 한다. 푸케 장관은 훌륭한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었고 예술가를 후원했기 때문에 그의 주..
-
犬免之爭(견토지쟁)와 見小曰明(견소왈명)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1. 7. 29. 05:36
犬免之爭(견토지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말로 쓸데없는 다툼을 뜻하기도 하고 양자의 싸움에서 제삼자가 이익을 보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어부지리와 비슷하다 유향이 180년간 영웅들의 무용과 책사들의 활약상을 그린 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전국시대 제나라의 세객 순우곤은 재치있는 변론으로 유명하다. 그가 제나라 선왕에게 중용되었을 때 일이다 하루는 선왕이 위나라를 공격하려는 뜻을 비치자, 손우곤이 이런 비유를 들어 그 뜻을 거두라고 간언했다. 한자로는 천하의 빠른 개다. 동곽준은 천하의 교활한 토끼이다. 한자로가 동곽준을 쫓느라 산기슭을 세 바퀴나 돌고 산을 다섯 번이나 오르는 바람에 지쳐서 토끼는 앞에서 힘이 다하고 개는 뒤에서 쓰러져 개와 토끼가 다 그곳에서 죽고 말았다. 때 마침 그곳을 지나가던..
-
똑같은 세포핵 DNA를 가진 복제 동물 아기 양 둘리의 탄생 비밀은아들을 위한 인문학/의학 2021. 7. 28. 05:02
1997년 아기 양 둘리의 탄생과 함께 생식적 복제가 세상에 소개되었다. 둘리는 엄마 양과 똑같은 세포핵 DNA를 가진 복제 동물이다. 다시 말해 둘리와 둘리엄마는 동일한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다. 여러 세대 떨어져서 자란 일란성 쌍둥이와 같다. 영국 스코틀랜드 로슬린연구소 과학자들은 핵 이식이라는 과정을 통해 둘리를 만들어냈다. 핵 이식은 수정이 안 된 난자에서 유전물질을 제거한 후 어른 양의 세포에서 채취한 유전물질을 주입하는 것이다. 둘리의 경우, 6년생 암컷 핀도어셋 양의 젖샘세포를 공여 세포로 이용했다. 과학자들이 핵을 이식한 난자에 전기 충격을 가하자 난자는 세포분열을 일으키기 시작했고 배아가 형성되었다. 둘리의 탄생이 그야말로 놀라운 과학적 성과인 이유는 특정 부위에서 채취한 세포로 완전한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