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爰(당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9. 11. 03:34
(媛)미인원 (暖)따뜻할난 (煖)따뜻할난 (隱)숨을은 (穩)평온할 온 (媛)미인원은 여자 중 관심을 끌정도로 (暖)따뜻할난은 햇빛을 끌어당기면 (煖)따뜻할난은 불을 끌어당기면 (隱)숨을은은 언덕을 손톱처럼 손과 마음을 만들어 (穩)평온할 온은 곡식을 손톱처럼 손과 마음으로 만들면 1. 媛妃(원비,미인원,왕비비) 才媛(재원,재주재) 2. 暖氣(난기,따뜻할난,기운기) 暖流(난류,흐를류) 3. 煖爐(난로,따뜻할난,화로로) 煖房(난방,방방) 4. 隱居(은거,숨을은,살거) 隱退(은퇴,물러날퇴) 5. 不穩(불온,아니불,평온할온) 穩當(온당,당할당) 穩健(온건,튼튼할건)
-
瓜(오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9. 4. 03:44
(孤)외로울,부모없을고 (弧)굽을활호 (狐)여우호 (孵)알깔부 (乳)젖유 (孤)외로울,부모없을고는 말라진 오이처럼 부모가 없는 자식 (弧)굽을활호는 오이처럼 활이 굽은 (狐)여우호는 오이같이 꼬리를 가진 짐승인 (孵)알깔부는 알을 품어 기르면 (乳)젖유는 기를 때 꼭지로 먹이는 1. 孤兒(고아,부모없을고,아이아) 孤獨(고독,홀로독) 孤軍奮鬪(고군분투,떨칠분,싸울투) 2. 括弧(괄호,묶을괄,굽을활호) 3. 九尾狐(구미호,꼬리미,여우호) 狐假虎威(호가호위,거짓가,범호,위엄위) 4. 孵化(부화,알깰부,될화) 5. 乳酸菌(유산균,젖유,초산,버섯균) 乳兒(유아,아이아)
-
爭(다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8. 28. 03:23
(爭)다툴쟁 (錚)쇠소리쟁 (諍)간할쟁 (采)모양채 (採)캘채 (爭)다툴쟁은 손톱도 세우고 오른손에 갈고리에 들고 (錚)쇠소리쟁은 쇠가 다투듯 부딪치는 (諍)간할쟁은 말로 다투어 (采)모양채는 손으로 나무를 고르는 (採)캘채는 손으로 가려서 캐니 1. 爭取(쟁취,다툴쟁,취할취) 戰爭(전쟁,싸울전) 競爭(경쟁,겨룰경) 2. 錚盤(쟁반,쇳소리쟁,소반반) 3. 諫諍(간쟁,간할간,간할쟁) 4. 拍手喝采(박수갈채,칠박,손수,외칠갈,캘채) 風采(풍채,바람풍,모양채) 5. 採用(채용,캘채,쓸용) 採擇(채택,가릴택) 採點(채점,점점)
-
康(편안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8. 21. 04:00
(康)편안할강 (慷)슬쁠강 (糠)겨강 (虐)모질학 (謔)희롱할 학 (瘧)학질학 (康)편안할강은 집에서 손을 물에 씻는 (慷)슬쁠강은 마음이라도 편안하려고 하나 (糠)겨강은 쌀을 편안하게 감싸는 (虐)모질학은 범이 발톱으로 해치듯이 (謔)희롱할 학은 말을 모질게 하며 (瘧)학질학은 병 중에 사나운 1. 健康(건강,튼튼할건,편안할강) 2. 悲憤慷慨(비분강개,슬플비,성낼노,슬플강,분개개) 3. 糟糠之妻(조강지처,지게미조,쌀겨강,아내처) 4. 虐殺(학살,모질학,죽일살) 虐待(학대,대할대) 殘虐(잔학,해칠잔) 5. 諧謔(해학,화합할해,희롱할학) 6. 瘧疾(학질,말라리아학,병질)
-
淵(못)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8. 14. 03:22
(淵)못연 (肅)엄숙할숙 (繡)수놓을수 (簫)퉁소소 (淵)못연은 물이 고여있는 못을 본떠서 (肅)엄숙할숙은 손으로 노를 깊은 연못에서 저을떄처럼 (繡)수놓을수는 실로 엄숙하게 (簫)퉁소소는 대나무를 만들어 엄숙하게 부는 1. 淵源(연원,못연,근원원) 深淵(심연,깊을심) 2. 自肅(자숙,스스로자,엄숙할숙) 肅然(숙연,그러할연) 3. 刺繡(자수,찌를자,수놓을수) 錦繡江山(금수강산,비단금,강강,메산) 4. 短簫(단소,짧을단,퉁소소) 太平簫(태평소,클태,평평할평)
-
妻(아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8. 7. 04:00
(妻)아내처 (悽)슬플처 (凄)쓸쓸할처 (棲)깃들,살서 (妻)아내처는 많이 손써 주는 여자는 (悽)슬플처는 마음 고생이 많은 여자는 (凄)쓸쓸할처는 얼음처럼 아내가 차가우면 남편은 (棲)깃들,살서는 새도 나무 중 짝이 있는 곳에 1. 賢母良妻(현모양처,어질현,어미모,좋을양,아내처) 妻家(처가,집가) 2. 悽絶(처절,슬플처,끊어질절) 悽慘(처참,참혹할참) 3. 凄凉(처량,쓸쓸할처,서늘할량) 凄雨(처우,비우) 4. 兩棲類(양서류,두양,살서,무리류), 棲息(서식,숨쉴식)
-
建(세우다)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7. 31. 03:27
(建)세울건 (健)건강할건 (鍵)자물쇠건 (君)임금,남편군 (窘) 어려울군 (建)세울건은 붓으로 길게 써가며 계획을 (健)건강할건은 사람의 몸을 세우니 (鍵)자물쇠건은 쇠를 세워 채우는 (君)임금,남편군는 다스리는 입으로 명령하는 (窘) 어려울군은 구멍에 숨은 임금처럼 1. 建物(건물,세울건,물건건) 建設(건설,베풀설) 建立(건립,설립) 2. 健勝(건승,건강할건,이길승) 健全(건전,온전할전) 强健(강건,강할강) 3. 鍵盤(건반,자물쇠건,소반반) 關鍵(관건,비장관) 4. 君臣(군신,임금군,신하신) 郎君(낭군,사내랑,남편군) 5. 窘乏(군핍,어려울군,가난할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