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羽(날개)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1. 20. 03:33
(羽)날개우 (翌)다음날익 (翔)날상 (診)진찰할진 (珍)보배진 (疹)열병진 (羽)날개우가 새가 양날개를 본떠 (翌)다음날익은 깃을 세운 다음날에 (翔)날상은 양깃처럼 치며서 (診)진찰할진은 말로써 사람의 털 모습도 (珍)보배진은 옥으로 사람의 머릿결처럼 다듬어진 (疹)열병진은 병이 사람의 털에 붉게 되는 1. 羽化登仙(우화등선,깃우,될화,오를등,신선선) 2. 翌日(익일,다음날익,날일) 翌年(익년,해년) 3. 飛翔(비상,날비,날상) 4. 診斷(진단,진찰할진,판단할판) 診脈(진맥,맥맥) 特診(특진,특별할특) 5. 珍羞盛饌(진수성찬,보배진,드릴수,성할성,반찬찬) 6. 濕疹(습진,축축할습,열병진) 發疹(발진,생길발)
-
參(참여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1. 13. 03:33
(參)참여할참 (慘)슬플참 (滲)적실삼 (蔘)인삼삼 (參)참여할참은 장식품을 사람이 머리에 꽂고 행사에 (慘)슬플참은 마음으로만 참여하며 (滲)적실삼은 물에 참여하듯 (蔘)인삼삼은 밭에 있는 몸에 좋은 풀로 1. 參加(참가,참여할참,더할가) 持參(지참,가질지) 參席(참석,자리석) 2. 慘變(참변,슬플참,변할변) 悲慘(비참,슬플비) 慘憺(참담,암담할담) 3. 滲透壓(삼투압,적실삼,뚫을투,누를압) 4. 紅蔘(홍삼,붉을홍,인삼삼) 蔘鷄湯(삼계탕,닭계,끓일탕)
-
育(기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1. 6. 03:59
(育)기를육 (撤)거둘철 (轍)바퀴자국철 (徹)통할철 (育)기를육은 말하며 자기몸을 (撤)거둘철은 손으로 길러 쳐 (轍)바퀴자국철은 수레 끄는 말을 기르듯 쳐 달릴 때 생긴 (徹)통할철은 걸을때부터 기르기를 치며 1. 育兒(육아,기를육,아이아) 育成(육성,이룰성) 2. 撤收(철수,거둘철,거둘수) 撤軍(철군,군사군), 撤去(철거,갈거) 3. 前轍(전철,앞전,바퀴자국철) 4. 徹底(철저,통할철,밑저), 貫徹(관철,꿸관) 透徹(투철,통할투) 徹夜(철야,밤야)
-
台(별,기쁠,누각)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0. 30. 03:37
(冶)단련할,불릴야 (胎)아이밸태 (跆)밟을태 (颱)태풍태 (笞)매질태 (冶)단련할야는 찬물로 기쁘게 몸을 (胎)아이밸태는 몸에 별처럼 작은 생명이 (跆)밟을태는 발로 기뻐하며 (颱)태풍태는 바람이 누각을 흔드는 (笞)매질태는 대나무로 누각 같은 대에 올려 1. 冶金術(야금술,불릴야,쇠금,꾀술) 陶冶(도야,질그릇도) 2. 胎敎(태교,아이밸태,가르칠교) 受胎(수태,받을수) 胎動(태동,움직일동) 3. 跆拳道(태권도,밟을태,주먹권,길도) 4. 颱風(태풍,태풍태,바람풍) 5. 笞刑(태형,매질할태,형벌형)
-
去(가다)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0. 23. 03:40
(去)갈거 (怯)겁낼겁 (劫)위협할, 긴시간겁 (宏)클굉 (肱)팔뚝굉 (去)갈거는 땅으로 사사로이 가니 (怯)겁낼겁은 마음이 먼저 도망갈 정도로 (劫)위협할, 긴시간겁은 가서 힘으로 (宏)클굉은 집에서 많은 사사로이 크니 (肱)팔뚝굉은 몸에서 많이 구부리는 것은 1. 去取(거취,갈거,취할취) 去來(거래,올래) 除去(제거,덜제) 2. 怯弱(겁약,겁낼겁,약할약) 卑怯(비겁,낮출비) 虛怯(허겁,빌허) 3. 劫奪(겁탈,위협할겁,빼앗을탈) 永劫(영겁,길영,긴시간겁) 4. 宏壯(굉장,클굉,씩씩할장) 5. 股肱之臣(고굉지신,넓적다리고,팔뚝굉,어조사지,신하신)
-
峻(의젓하게 가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0. 16. 03:14
(峻)높을준 (悛)고칠전 (酸)실,초산 (唆)부추길사 (竣)마칠준 (峻)높을준은 산이 의젓한 모습으로 (悛)고칠전은 마음을 의젓하게 마음먹고 (酸)실산은 발효시킨 술이 시간이 가면 (唆)부추길사는 입으로 가도록 (竣)마칠준은 서서 의젓하게 가 일을 1. 險峻(험준,험할험,높을준) 峻嚴(준엄,엄할엄) 2. 改悛(개전,고칠개,고칠전) 3. 炭酸(탄산,숯탄,초산) 酸素(산소,흴소) 4. 敎唆(교사,가르칠교,부추길사) 示唆(시사,보일시) 5. 竣工式(준공식,마칠준,공사(장인)공,의식(법)식)
-
兄(형)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0. 10. 03:11
(兄)형형 (呪)빌주 (兌)바꿀태 (屋)집옥 (握)잡을악 (兄)형형은 동생을 입으로 지도하는 사람은 (呪)빌주는 입으로 형이 말하는 것이 (兌)바꿀태는 나루어 생각하여 형이 바꾸니 (屋)집옥은 몸이 이르러 쉬는 곳은 (握)잡을악은 손으로 집안일을 1. 難兄難弟(난형난제,어려울난,형형,아우제) 呼兄呼弟(호형호제,부를호) 2. 呪術(주술,빌주,꾀술) 詛呪(저주,저주할저) 呪文(주문,글월문/ 注文(주문,물댈주) 3. 兌換紙幣(태환지폐,바꿀태,바꿀환,종이지,비단폐) 4. 洋屋(양옥,바다양,집옥) 屋上(옥상,윗상) 5. 握力(악력,잡을악,힘력) 掌握(장악,손바닥장) 把握(파악,잡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