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自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6. 01:41
(自)자기,스스로,부터 자에서 (息)쉴,자식 식, (臭)냄새 취, (鼻)코,비롯할 비, (邊) 끝,가장자리 변 (自)자기 자에서 (息)쉴 식에서 자신의 마음을 (臭)냄새 취로 자신의 개는 (鼻)코비는 자기밭에 받쳐서 우뚝 솟은 (邊)가장자리 변으로 스스로 구멍방향을 가며 이르는 1. 自初至終(자초지종,부터자,처음초,까지지,마칠종), 自白(자백,스스로자,말할백), 自首(자수,스스로자,머리수)스스로 몸을 맡김 2. 窒息(질식,막힐질,쉴식), 休息(휴식,쉴휴,쉴식), 自强不息(자강불식, 강할강), 子息(자식,아들자,자식자) 3. 體臭(체취,몸체,냄새취), 脫臭劑(탈취제,벗을탈,약제제), 惡臭(악취,나쁠악) 4. 鼻炎(비염,코비,염증염), 鼻音(비음,소리음), 鼻祖(비조,처음비, 조상조)원조 5. 海邊(해변,바..
-
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5. 04:07
(穴)구멍혈에서 (究)연구할 구, (空)빌,하늘공, (窓)창문 창, (突)갑자기,부딪힐 돌 (穴)구멍혈에서 (究)연구할 구로 굴을 아홉 개 파며 (空)빌,하늘 공으로 굴처럼 공사하니 (窓)창문 창으로 구멍을 사사로운 마음 으로 낸 (突)부딪힐,갑자기 돌은 굴로 개가 갑자기 들어와 부딪히는 1. 探究(탐구,찾을탐,연구할구)탐구생활, 究明(구명,밝힐명)진실 구명, 學究熱(학구열,배울학,열열) 2. 蒼空(창공,푸른창,하늘공), 空想(공상,빈공,생각상)빈(허된)생각 航空機(항공기,건널항,하늘공,틀(기계)기), 空白期(공백기,기간기) 3. 窓戶(창호,창문창,집호), 窓口(창구,입구)은행창구, 車窓(차창,수레차) 4. 突發(돌발,갑자기돌,일어날발)돌발사태, 突變(돌변,변할변), 突出(돌출,나올출)돌출행동, 衝突(충..
-
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4. 03:07
(先)먼저선에서 (洗)씻을 세, (贊)도울 찬, (讚)칭찬할 찬, (告) 알릴고, (浩)클호, (造)지을,이를 조 (先)먼저선에서 (洗)씻을 세로 먼저 물로 (贊)도울 찬로 먼저 2명이 재물로 (讚)칭찬할 찬으로 말로 도우니 (告)알릴 고로 먼저 말로 알리니 (浩)클호로 물을 크다고 알리니 (造)지을 조로 달려가서 만들었음을 알리니 1. 先拂(선불,먼저선,지불불)선불카드, 率先垂範(솔선수범,거느 닐솔,드리울수,모범범)먼저 나서서 사람을 거느리고 모범을 드리우다(보임) 先輩(선배,무리배) 2. 洗濯(세탁,씻을세,씻을탁), 洗禮(세례,예절례), 洗練(세련,익힐련)깨끗이 씻어 말끔하게 하고 열심히 익혀 능숙함(말끔하고 능숙함)- 세련된 언어와 세련된 옷 3. 贊助(찬조,도울찬,도울조)찬조금, 協贊(협찬,도울협..
-
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3. 03:10
(水)물수에서 (氷)얼음빙, (永)길영, (泳)헤엄칠영, (詠)읊을영 (水)물수에서 (氷)얼음빙으로 왼쪽부분 물이 얼어 (永)길영으로 윗부분 물이 길게 (泳)헤엄칠영은 기다란 물에 수영 (詠)읊을 영 길게 말을 하는 1. 冷水(냉수,찰냉,물수), 溫水(온수,따뜻할온), 食水(식수,먹을식) 2. 解氷(해빙,풀해,얼음빙), 氷菓類(빙과류,과자과,무리류)얼음과자 종류, 氷山(빙산)빙산의 일각 3. 永眠(영면,길영,잠잘면)죽음, 永住權(영주권,살주,권리권), 永續(영속,이을속) 4. 蝶泳(접영,나비접,헤어칠영), 背泳(배영,등배), 水泳(수영) 5. 詠歌(영가,읊을영,노래가)흑인영가, 詠嘆(영탄,감탄할탄)영탄법
-
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2. 04:39
(且)또차에서 (組)짤 조, (祖)조상 조, (租)세금 조, (助)도울 조, (査)조사할 사, (宜)마땅할 의 (且)또차에서 (組)짤 조로 또 실로 짜니 (祖)조상 조로 또 귀신으로 조상이 (租)세금 조로 또 벼로 내는 (助)도울 조로 또 힘으로 도울 (査)조사할 사로 나무를 또 보아 조사하니 (宜)마땅할 의로 지붕안에 또 살기에 마땅이 1. 組立(조립,짤조,설립)부품조립, 勞組(노조,일할노)노동조합, 組織(조직,짤직)행정조직 2. 元祖(원조,으뜸원,조상조)원조 순대국, 祖父(조부,아비부)할아버지 曾祖父(증조부,거듭증) 3. 租貢(조공,세금조,바칠공)조공무역, 租稅(조세,세금세)조세정책, 租借地(조차지,빌릴차,땅지)홍콩 조차지 4. 助演(조연,도울조,연기연)조연배우, 助役(조역,역할역), 助産員(조산원,..
-
谷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0. 23:35
(谷)골짜기곡에서 (俗)저속할 속, (裕)넉넉할 유, (容)얼굴,받아 들일 용, (浴)목욕할 욕, (欲)바랄 욕, (慾)욕심 욕 (谷)골짜기곡에서 (俗)저속할,풍속 속으로 골짜기에 있는 평민은 (裕)넉넉할 유로 옷이 골짜기에 넉넉하게 (容)얼굴용으로 집안일로 골짜기처럼 주름진 얼굴 (浴)목욕할 욕으로 골짜기 물에 목욕을 (欲)바랄 욕으로 골짜기에서 하품하며 잠자기 바라며 (慾)욕심 욕은 바라는 마음이 많은 1. 溪谷(계곡,시내계,골짜기곡), 進退維谷(진퇴유곡,나아갈진, 물러날퇴,오직유) 2. 俗世(속세,저속할속,세상세), 低俗(저속,낮을저) 美風良俗 (미풍 양속,아름다울미,풍속풍,좋을양,풍속풍) 3. 富裕(부유,넉넉할부,넉넉할유), 裕福(유복,복복)유복한 가정, 餘裕(여유,남을여)여유로운 삶 4. 容貌(..
-
山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20. 05:50
(山)메산에서 (仙)신선 선, (出)나갈 출, (拙)못날 졸, (屈)굽을 굴 에서 (仙)신선 선으로 산에 있는 사람 (出)나갈 출로 산에 산이 나아가고 (拙)못날 졸로 손이 나가면 못나니 (屈)굽을 굴로 몸이 나가려니 굽어서 1. 山脈(산맥, 줄기맥)태백산맥, 山林(산림,수풀림)산림청 2. 仙人掌(선인장,신선선,손바닥장)신선의 손바닥처럼 생긴 꽃 仙境(선경,지경경)신선이 사는 지역, 仙藥(선약,약약)신선이 먹는 약 3. 出世(출세,나갈출,세상세), 家出(가출,집가), 出嫁(출가,시집갈가) 4. 拙速(졸속,못날졸,빠를속)졸속행정, 拙丈夫(졸장부,장인장,남편부)못난 사나이, 拙作(졸작,지을작)못난 작품 5. 屈曲(굴곡,굽을굴,굽을곡)인생굴곡, 屈伏(굴복,엎드릴복)미국에 굴복, 百折不屈(백전불굴,끊을절)백번 ..
-
白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 19. 04:43
(白)흰백과 관련하여 (伯) 맏백, (拍) 칠박 (泊)배댈 박, 묵을 박 (迫)닥칠 박 (白)희고,깨끗하고,아뢸 백이고 (伯)우두머리백으로 흰 사람이 우두머리 (拍)칠박으로 흰손으로 치는 (泊)배댈박, 묵을박으로 흰배가 물에 대다 (迫)닥칠박은 흰사람이 달려서 닥치는 1. 潔白(결백,깨끗할결,깨끗할백)죄가 결백, 告白(고백,알릴고,알뢸백) 죄를 고백, 白色(백색,흰백,색깔색), 明白(명백,밝을명,밝을백)명백한 증거, 2. 伯父(백부,우두머리백, 아버지부)큰아버지, 伯仲之勢 (백중지세,첫째 백,둘째중,갈지,세력세)첫째와 둘째가 비슷한 세력 3. 拍手 (박수,칠박,손수), 拍掌大笑(박장대소,손바닥장,웃음소)손바닥을 치며 크게 웃음, 拍車(박차,수레차)말을 달리게 하기 위해 구두뒤에 톱니 쇠 4. 碇泊(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