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旨(맛,뜻)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 22. 03:39
(旨)맛,뜻지 (脂)기름지 (指)손가락,가리킬지 (詣)이를예 (旨)맛,뜻지는 햇빛에 비춘 비수에 곶은 과일을 (脂)기름지는 고기에서 맛을 내는 곳은 (指)손가락,가리킬지는 손으로 맛을 볼 때 쓰는 (詣)이를예는 말로 뜻을 전하려고 1. 論旨(논지,논할논,뜻지) 要旨(요지,중요할요) 趣旨(취지,나아갈취) 2. 脂肪(지방,기름지,기름방) 3. 指壓(지압,손가락지,누를압) 指導(지도,가르킬지,이끌도) 指示(지시,보일시) 4. 造詣(조예,지을조,이를예)
-
化(되다)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 15. 03:32
(化)될화 (花)꽃화 (貨)재물화 (靴)가죽신화 (訛)그릇될와 (化)될화는 사람이 비수같은 마음이 (花)꽃화는 풀이 변화가 되어 (貨)재물화는 조개가 변하여 되는 (靴)가죽신화는 가죽으로 된 (訛)그릇될와는 말이 변하게 되면 1. 變化(변화,변할변,될화) 開化(개화,열개,될화) 馴化(순화,길들일순) 2. 花壇(화단,꽃화,단단) 花盆(화분,동이분) 3. 貨幣(화폐,재물화,비단폐) 雜貨(잡화,섞일잡) 鑄貨(주화,쇠붓을주) 4. 製靴社(제화사,만들제,가죽신화,회사사) 軍靴(군화,군사군) 5. 訛傳(와전,그릇될와,전할전)
-
匕(비수)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 8. 03:06
(匕)비수비 (叱)꾸질을질 (尼)여승니 (慈)사랑자 (滋)붙을자 (嗞)자석자 (匕)비수비는 비수를 본떠서 (叱)꾸질을질은 비수같이 입으로 말하니 (尼)여승니은 몸의 머리털을 비수로 깍은 (慈)사랑자는 검게 타도 변하지 않는 마음을 (滋)붙을자는 검은물이 몸에 (嗞)자석자는 검은돌처럼 생긴 것 1. 匕首(비수,비수비,머리수) 2. 叱責(질책,꾸질을질,꾸질을책) 叱咤(질타,꾸질을타) 3. 比丘尼(비구니,견줄비,언덕구,여승니) 4. 慈悲(자비,사랑자,슬플비) 仁慈(인자,어질인) 慈親(자친,어머니자,친할친) 5. 滋養分(자양분,붙을자,기를양,나눌분) 6. 磁石(자석,자석자,돌석) 磁極(자극,다할극)
-
鄕(시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2. 18. 03:25
(鄕)시골향 (響)울릴향 (嚮)향할향 (饗)잔치향 (鄕)시골향은 어린시절 흰 쌀밥을 숟가락으로 먹던 고을 (響)울릴향은 시골에서 소리치면 산에서 (嚮)향할향은 마음은 고향으로 (饗)잔치향은 고향에서 음식을 차려 놓고 1. 故鄕(고향,옛고,시골향) 鄕愁(향수,시름수) 愛鄕心(애향심,사랑애,마음심) 2. 音響(음향,소리음,울릴향) 交響曲(교향곡,서로교,노래곡), 影響(영향,비출영) 3. 嚮導(향도,향할향,이끌도) 4. 饗宴(향연,잔치향,잔치연) 饗應(향응,응할응)
-
擁(머리작은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12. 11. 03:57
(擁)안을옹 (壅)막을옹 (甕)독옹 (機)틀기 (饑)주릴기 (擁)안을옹을 머리작은새를 손으로 (壅)막을옹은 머리작은새를 흙으로 (甕)독옹은 머리작은새를 기와에 새기어 (機)틀기는 사람이 작은 창으로 나무를 만든 (饑)기아기는 작은창을 든 사람이 밥이 없어 1. 抱擁(포옹,안을포,안을옹) 擁立(옹립,세울립) 擁壁(옹벽,벽벽) 2. 擁拙(옹졸,막힐옹,못날졸) 壅塞(옹색,막힐색) 壅固執(옹고집,굳을고,잡을집) 3. 甕器(옹기,독옹,그릇기) 鐵甕城(철옹성,철철,성성) 4. 機械(기계,틀기,형틀계) 5. 饑餓(기아,주릴기,주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