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監(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3. 25. 03:04
(監)볼감 (鑑)살필감 (艦)큰배함 (濫)넘칠람 (籃)바구니람 (覽)볼람 (監)볼감은 엎드려 물있는 그릇에 비쳐 (鑑)거울,살필감은 쇠를 갈아 잘 보이도록 만든 (艦)큰배함은 적의 배를 감시하며 싸울 수 있도록 만든 (濫)넘칠람은 물이 밖으로 보이게 (籃)바구니람은 대로 속이 보이게 만든 (覽)볼람은 보고 또 보니 1. 監査(감사,볼감,조사할사), 監視(감시,볼시), 監禁(감금,금할금) 2. 鑑定(감정,살필감,정할정), 鑑賞(감상,맛볼상) 3. 艦船(함선,싸움배함,배선) 驅逐艦(구축함,몰구,쫓을축) 巡洋艦(순양함,돌순,큰바다양) 4. 氾濫(범람,넘칠범,넘칠람) 猥濫(외람,함부로외) 濫發(남발,발급할발) 5. 藍輿(남여,바구니남,수레여) 搖籃(요람,흔들릴요) 6. 展覽會(전람회,펼전,볼람,모일회) 博覽(박..
-
區(나눌,구역)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3. 11. 03:16
(區)나눌,구역구 (嘔)토할구 (嶇)험할구 (軀)몸구 (歐)때릴구 (樞)지도리추 (區)나눌,구역구는 감추려고 물건을 나누니 (嘔)토할구는 입으로 어떤 구역에 (嶇)험할구는 산으로 된 구역은 (軀)몸구은 나누어진 부분의 몸은 (毆)때릴구는 몸의 어떤부분을 때리니 (樞)지도리추는 나무의 중요구역에 다는 1. 區域(구역,나눌구,지경역) 區劃(구획,그을획) 2. 嘔吐(구토,토할구,토할토) 3. 崎嶇(기구.험할기,험할구) 4. 體軀(체구,몸체,몸구) 巨軀(거구,클거) 5. 毆打(구타,때릴구,칠타) 毆縛(구박,묶을박) 6. 中樞(중추,가운데중,지도리추) 樞機卿(추기경,틀기,벼슬경)
-
吳(큰소리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3. 4. 03:36
(誤)그릇칠오 (娛)즐거워할오 (虞)염려할우 (考)살필,생각할고 (拷)칠고 (誤)그릇칠오는 말로 큰소리로쳐 (娛)즐거워할오는 여자가 큰소리치며 (虞)염려할우은 범이 큰소리치며 (考)살필,생각할고는 노인처럼 크게 (拷)칠고는 손으로 살펴서 1. 誤報(오보,그릇칠오,보도(갚을)보) 誤謬(오류,그릇할류) 誤發(오발,쏠발) 2. 娛樂室(오락실,즐거워할오,즐거워할락,집실) 3. 虞犯地帶(우범지대,염려할우,범할범,땅지,띠대) 4. 考慮(고려,살필고,생각할려) 考察(고찰,살필찰) 5. 拷問(고문,칠고,물을문)
-
署(관청,서명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2. 26. 03:15
(署)관청,쓸서 (曙)새벽서 (奢)사치할사 (著)지을,드러날저/붙을착 (躇)머뭇거릴저 (署)관청,서명할서는그물로 사람을 다스리는 곳인 (曙)새벽서는 햇살이 그물처럼 사람에 뻗어오는 (奢)사치할사는 크게 사람이 꾸며 (著)지을,드러날저/붙을착는 초야에 묻혀있는 사람이 글을 (躇)머뭇거릴저 /건너뛸 착는 발이 드러나게 천천히 걷다가 1. 官署(관서,벼슬관,관청서) 署名(서명,쓸서,이름명) 2. 曙光(서광,새벽서,빛광) 3. 豪奢(호사,호걸호,사치할사) 4. 著者(저자,글지을저,놈자) 着服(착복,붙을착,옷복) 5. 躊躇(주저,머뭇거릴주,머뭇거릴저)
-
者(놈,것)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2. 19. 03:32
(者)놈,것자 (堵)담도 (睹)볼도 (賭)도박도 (煮)삶을자 (者)놈,것자는 노인을 낮추어 말하는 (堵)담도는 흙으로 사람이 쌓은 (睹)볼도는 눈으로 사람이 (賭)도박도는 돈을 걸고 사람이 내기 (煮)삶을자는 물건 아래 불을 때서 1. 强者(강자,강할강,놈자) 仁者無敵(인자무적,인자할인,없을무,원수적) 2. 堵列(도열,담도,벌릴열) 安堵感(안도감,편안한안,느낄감) 3. 目睹(목도,눈목,볼도) 4. 賭博(도박,내기도,넓은박) 5. 煮醬麵(자장면,삶을자,젓갈장,밀가루면)
-
老(늙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2. 13. 03:01
(老)늙을노 (耆)늙을기 (嗜)즐길기 (哮)성낼효 (酵)효모효 (老)늙을노는 흙안에 지팡이처럼 생긴 비수를 든 (耆)늙을기는 날을 보내는 늙은 (嗜)즐길기는 늙은이 입에 (哮)성낼효는 효자도 입에서 (酵)효모효은 술을 발효시킬 때 효자 노릇을 하는 1. 老益壯(노익장,늙을노,더할익,씩씩할장) 元老(원로,으뜸원) 偕老(해로,모두해) 2. 耆年(기년,늙은기,해년 -60세) 3. 嗜好食品(기호식품,즐길기,좋을호,먹을식,물건품) 4. 咆哮(포효,으르렁할포,성낼효) 5. 醱酵(발효,술괼발,효모효) 酵素(효소,흰색(요소)소) 酵母菌(효모균,어미모,버섯균)
-
眞(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2. 5. 03:18
(眞)참진 (嗔)성낼진 (塡)채울전 (顚)넘어질,꼭대기전 (癲)미칠전 (眞)참진은 비수처럼 눈을 뜨고 감추어진 것을 나눈 것이 (嗔)성낼진은 입으로 참되라고 (塡)채울전은 흙으로 참되게 (顚)넘어질전은 참된 머리는 쉽게 (癲)미칠전은 병걸려 넘어지면서 1. 眞理(진리,참진,이치리) 寫眞(사진,베낄사) 眞價(진가,값가) 2. 嗔責(진책,성낼진,꾸짖을책) 3. 補塡(전보,기울보,채울전) 裝塡(장전,꾸밀장) 4. 顚覆(전복,넘어질전,뒤집힐복) 顚末(전말,꼭대기전,끝말) 5. 癲疾(전질,미칠전,병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