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各(각각)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3. 31. 09:53
(各)각각 (恪)삼갈각 (烙)지질락 (絡)이을락 (酪)진한유즙락 (各)각각은 이름명의 변형 (恪)삼갈각은 마음으로 각자 (烙)지질락은 불로 각부분을 (絡)이을락은 실로 각각 (酪)진한유즙락은 술 담그듯 소젖을 각각 발효시킨 1. 各種(각종,각각,씨종) 各人各色(각인각색) 2. 恪別(각별,삼가할각,특별할별) 3. 烙印(낙인,지질락,도장인) 烙刑(낙형,형벌형) 4. 經絡(경락,날경,이을락) 脈絡(맥락,맥맥) 連絡(연락,이을연) 5. 酪農業(낙농업,진한유즙락,농사농,업업)
-
肙(작은벌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3. 27. 03:46
(捐)버릴연 (絹)비단견 (鵑)두견새견 (脊)등성마루척 (瘠)여윌척 (捐)버릴연은 손으로 작은벌레를 잡아서 (絹)비단견은 작은 벌레로 나온 실로 짠 (鵑)두견새견은 작은벌레 같은 새 (脊)등뼈척은 양쪽 똑같이 사람 몸을 나누는 (瘠)여윌척은 등뼈처럼 생긴 병으로 1. 義捐金(의연금,의로울의,버릴연) 出捐金(출연금,날출,돈금) 2. 絹絲(견사,비단견,실사) 絹織物(견직물,짤직,물건물) 3. 杜鵑酒(두견주,밭배나무두,두견새견,술주) 4. 脊髓(척수,등뼈척,골수수) 脊椎(척추,망치추) 5. 瘠薄(척박,메마를척,얇은박)
-
朝(아침,조정,뵐)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3. 20. 03:33
(朝)아침,조정,뵐조 (嘲)조롱할조 (翰)붓,편지한 (幹)간부,줄기간 (朝)아침,조정,뵐조는 해가 뜨는데 달도 있는 (嘲)조롱할조은 입으로 아침부터 (翰)붓,편지한은 해 돋으면 사람이 깃을 묶은 만든 (幹)줄기간은 해가 돋으면 사람과 방패를 관리하는 1. 朝食(조식,아침조,먹을식) 朝廷(조정,조정조,관청정) 朝會(조회,아침조,모일회) 2. 嘲笑(조소,비웃을조,웃을소) 自嘲(자조,스스로자,조롱할조) 3. 翰林(한림,글한,무리림) 書翰(서한,쓸서,편지한) 4. 幹部(간부,간부부,거늘릴부) 基幹産業(기간산업,기초기,줄기간,만들산,업업)
-
朋(벗,무리)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3. 13. 03:22
(朋)벗,무리붕 (棚)선반붕 (鵬)붕새붕 (崩)무너질붕 (繃)묶을붕 (朋)벗,무리붕은 몸과 몸이 비슷한 (棚)선반붕은 나무로 똑같은 무리를 지은 (鵬)붕새붕은 무리로 큰새를 (崩)무너질붕은 산처럼 무거운 것이 무리를 누르면 (繃)묶을붕은 실로 무너지지 않도록 묶으니 1. 朋黨(붕당,벗붕,무리당) 朋友有信(붕우유신,벗우,믿을신) 2. 大陸棚(대륙붕,뭍륙,선반붕) 3. 鵬程萬里(붕정만리,붕새붕,정도정,만만,거리리) 4. 崩壞(붕괴,무너질붕,무너질괴) 崩城之痛(붕성지통,성성,아플통) 5. 繃帶(붕대,묶을붕,띠대)
-
諂(아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3. 6. 03:01
(諂)아첨할첨 (陷)빠질함 (焰)불꽃염 (閻)마을문염 (諂)아첨할첨은 사람을 절구에 빠뜨릴 정도로 말을 달콤하게 하는 (陷)빠질함은 사람을 절구같은 언덕에 (焰)불꽃염은 사람을 절구안에 불의 (閻)마을문염은 사람의 절구 찧는 듯한 문 1. 阿諂(아첨아,아첨할첨) 2. 陷穽(함정,빠질함,허방다리정) 謀陷(모함,꾀할모) 陷沒(함몰,가라앉을몰) 3. 氣焰(기염,기운기,불꽃염) 火焰甁(화염병,불화,병병) 4. 閻羅大王(염라대왕,마을문염,새그물라) 閻魔(염마,마귀마)
-
白(흰,아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2. 27. 03:36
(白)흰,아뢸백 (珀)호박박 (舶)배박 (泊)묵을,산뜻할박 (箔)박박 (白)흰,아뢸백은 빛나는 해는 (珀)호박박은 구슬처럼 밝게 빛나는 (舶)배박은 배 중에서 흰 돛을 단 (泊)묵을,산뜻할박은 물이 하얗게 보이게 배가 (箔)발,박박은 대나무로 만들어 문에 대고 치는 1. 白色(백색,흰백,빛색) 潔白(결백,깨끗할결) 告白(고백,알릴고,아뢸백) 2. 琥珀色(호박색,호박호,호박박,빛색) 3. 船舶(선박,배선,큰배박) 4. 碇泊(정박,닻정,배댈박) 宿泊(숙박,묵을숙,묵을박) 淡泊(담박,묽을담,산뜻할박) 5. 金箔(금박,쇠금,박박)
-
更(고칠,다시)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3. 2. 20. 03:14
(更)고칠경,다시갱 (梗)곧을경 (便)편할편,똥오줌변 (鞭)채찍편 (更)고칠경,다시갱은 한번 말하면 사람들은 고치니 (梗)곧을경은 나무처럼 고쳐 (便)편할편,똥오줌변은 사람이 잘못을 고치면 (鞭)채찍편은 막대에 가죽끈을 달아 편하게 치는 1. 更迭(경질,고칠경,갈마들질) 變更(변경,변할변) 更生(갱생,다시갱,날생) 2. 梗塞(경색,곧을경,막힐색) 强硬(강경,강할강,곧을경=梗) 3. 簡便(간편,대쪽간,편할편) 便利(편리,이로울리) 小便(소변,작을소,오줌변) 4. 敎鞭(교편,가르칠교,채찍편) 鞭撻(편달,매질할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