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回(돌다)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5. 20. 03:04
(回)돌회 (蛔)회충회 (廻)돌회 (稟)줄품 (凜)찰름(回)돌회는 돌아가는 모양 (蛔)회충회은 벌레 중 도는 모양의 것은 (廻)돌회는 돌아서 길게 걸어 (稟)줄품은 머리를 돌려 벼를 얼마나 줄지를 (凜)찰름은 얼음처럼 찬 날씨에도 줄 수 있는 1. 回顧(회고,돌회,돌아볼고) 回信(회신,믿을(신호)신) 2. 蛔蟲(회충,회충회,벌레충) 3. 輪廻(윤회,바뀌윤,돌윤) 廻風(회풍,바람풍) 4. 稟議(품의,줄품,의논할의) 稟性(품성,성품성) 5. 凜凜(늠름,찰(늠름할)름)
-
因(말미암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5. 13. 03:16
(因)말미암을인 (咽)목메열 (囚)죄인수 (溫)따뜻할 온(因)말미암을인은 크게 에워싸여 (咽)목구멍인,목멜열은 입에 의지하고 있는 (囚)죄인수는 에워싸여 갇혀 있는 (溫)따뜻할 온은 물을 죄수에게도 그릇에 주는 마음이 1. 因習(인습,말미암을(인할인),익힐(습관)습) 敗因(패인,패할패) 2. 咽喉炎(인후염,목구멍인,목구멍후,염증염) 嗚咽(오열,탄식소리오,목멜열) 3. 囚衣(수의,죄인수,옷의) 罪囚(죄수,형벌죄) 4. 溫情(온정,따뜻할온,정정) 溫氣(온기,기운기)
-
中(가운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5. 7. 03:23
(串)땅이름곶 (患)근심환 (貴)귀할귀 (潰)무너질궤 (遺)남길,잃을유(串)땅이름곶은 조개를 꿰어 길게 나온 육지 (患)근심,병환은 가운데 가운데 마음은 (貴)귀할귀는 가운데 있는 하나의 재물처럼 (潰)무너질궤는 귀중한 것을 물로 쓸어 (遺)남길,잃을유는 귀한 것이 가니 뒤에 1. 長山串(장산곶,길장,메산,땅이름곶) 2. 憂患(우환,근심할우,근심환), 患者(환자,병환,놈자) 3. 富貴榮華(부귀영화,부유할부,귀할귀,빛날영,꽃화) 貴賤(귀천,천할천) 4. 潰滅(궤멸,무너질궤,멸망할멸) 潰瘍(궤양,종기양) 5. 遺産(유산,남길유,재산산) 遺失(유실,잃을유,잃을실)
-
襄(도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4. 22. 03:23
(壤)땅양 (孃)아가씨양 (攘)물리칠양 (釀)빚을양 (讓)사양할양 (囊)주머니,자루낭 (壤)땅양은 흙이 도와주어 만든 (孃)아가씨양은 일을 도와주는 여자가 (攘)물리칠양은 손으로 돕아서 (釀)빚을양은 술을 빚는데 도와주는 (讓)사양할양은 말로 도움을 주며 (囊)주머니,자루낭은 옷가운데를 도와서 만든 1. 土壤(토양,흙토,땅양) 天壤之差(천양지차,하늘천,땅양,갈지,어긋날차) 2. 令孃(영양,좋을영,아가씨양) 3. 攘夷(양이,물리칠양,오랑캐이) 4. 釀造場(양조장,빚을양,만들조,마당장) 5. 讓步(양보,사양할양,걸음보) 讓渡(양도,건널도) 讓位(양위,자리위) 6. 寢囊(침낭,잠잘침,주머니낭) 背囊(배낭,등배)
-
井(우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4. 15. 03:32
(井)우물정 (穽)함정정 (構)얽을구 (購)살구 (寒)찰한 (塞)막을,변방색 (井)우물정은 우물틀의 모양이(穽)함정정은 구멍을 우물처럼 파서 (構)얽을구은 나무를 거듭 쌓아서(購)살구는 거듭 쌓인 조개를(寒)찰한은 집 우물안이 얼음처럼(塞)막을,변방색은 집 우물안을 흙으로 1. 井華水(정화수,우물정,꽃화,물수) 油井(유정,기름유) 2. 陷穽(함정,빠질함) 3. 構築(구축,얽을구,쌓을축) 構造(구조,지을조) 4. 購讀(구독,살구,읽을독) 購買(구매,살구,살매) 購販場(구판장,팔매,마당장) 5. 酷寒(혹한,독할혹,찰한) 寒氣(한기,기운기) 6. 梗塞(경색,대개경,막힐색) 窮塞(궁색,궁할궁) 要塞(요새,중요할요,변방새)
-
亞(다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4. 1. 03:30
(亞)다음아 (啞)벙어리아 (堊)백토악 (惡)악할악, 미워할오 (亞)다음아은 부족한 두 곱사등을 본따 (啞)벙어리아는 입이 정상인이 아닌 다음의 (堊)백토악는 다음 가는 흙이 (惡)악할악, 미워할오는 다음을 생각하는 마음이면 1. 亞流(아류,다음아,흐를류) 亞熱帶(아열대,더울열,띠대) 2. 聾啞(농아,귀먹어리농,벙어리아) 啞然失色(아연실색,그러할연,잃을실,빛색) 3. 白堊館(백악관,흰백,백토악,객사관) 4. 惡童(악동,악할악,아이동) 惡用(악용,쓸용) 憎惡(증오,미워할증,미워할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