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元(원래,으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8. 18. 02:44
(元)원래,으뜸원 (玩)놀완 (頑)완고할완 (寇)도둑구(元)원래,으뜸원은 하늘과 땅 사이에 사람이 원래 으뜸이니 (玩)놀완은 구슬 같은 으뜸가는 것을 구경하며 노니 (頑)완고할완은 자신만이 으뜸 가는 머리라며 완고하니 (寇)도둑구는 집에서 으뜸가는 물건을 치고 빼앗는 도둑이니 1. 元金(원금,원래원,금원), 復元(복원,돌아올복), 壯元(장원,씩씩할장,으뜸원) 2. 愛玩動物(애완동물,사랑애,놀완,움직일동,물건물) 3. 頑强(완강,완고할완,굳셀강), 頑固(완고,굳을고) 4. 倭寇(왜구,왜구왜,도둑구), 海寇(해구,바다해)
-
祭(제사,축제)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8. 11. 02:24
(祭)제사,축제제 (際)때, 사이, 사귈제 (察)살필찰 (擦)문지를찰(祭)제사,축제제는 고기를 손으로 신께 올리는 제사 (際)때, 사귈제는 언덕에서 제사를 지낼 때 (察)살필찰은 집에서 제사를 살피니 (擦)문지를찰은 손으로 살펴서 문지르니 1. 祭典(제사제,법(의식)전) 祭祀(제사,제사사) 2. 交際(교제,사귈교,사귈제), 國際(국제,국가국,사이제) 3. 診察(진찰,볼진,살필찰), 觀察(관찰,볼관), 警察(경찰,경계할경) 4. 摩擦(마찰,갈마,문지를찰), 擦過傷(찰과상,지날과,상처상)
-
宗(종가,으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8. 4. 02:12
(宗)종가,으뜸종(綜)모을종 (踪)발자취종 (崇)높을숭(宗)종가,으뜸종은 집에 조상의 신을 모시는 종가니(綜)모을종은 종가를 실로 모으니 (踪)발자취종은 종가가 발로 걸어온 발자취 (崇)높을숭은 산처럼 종가는 높으니 1. 宗廟社稷(종묘사직,종가종,사당묘,토지신사,기장직), 宗敎(종교,으뜸종,가르칠교) 2. 綜合檢診(종합검진,모을종,합할합,검사할검,볼진) 3. 失踪(실종,잃을실,발자취종) 4. 崇拜(숭배,높일숭,절배), 崇尙(숭상,바라볼상)
-
示(보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7. 28. 02:12
(示)보일시(奈)어찌나 (捺)누를날 (累)쌓을루 (螺)소라라(示)보일시는 하늘과 땅에 작은기미가 보이니(奈)어찌나는 커 보이니 어찌할까 (捺)누를날은 손으로 어찌할까를 생각하며 누르니 (累)쌓을루는 밭이나 실타래처럼 쌓이니 (螺)소라라는 벌레 중 껍질이 여러번 쌓여 도니 1. 示範(시범,보일시,법범), 明示(명시,밝을명) 示威(시위,위엄위) 2. 莫無可奈(막무가내,없을막,없을무,옳을가,어찌나) 3. 捺印(날인,누를날,도장인) 4. 累積(누적,쌓을누,쌓을적), 連累(연루,잇닿을연) 5. 螺絲(나사,소라나,실사)
-
賓(손님)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7. 21. 02:09
(賓)손님빈 (嬪)아내,궁녀빈 (殯)빈소빈 (繩)노끈승 (鼈)자라별(賓)손님빈은 하나집에 적은돈으로 물건을 사러온 사람 (嬪)궁녀,아내빈은 여자손님처럼 조신한 여자는 (殯)염할빈는 죽은 손님을 모셔 두는 곳은 (繩)노끈승은 실로 힘쓸 수 있게 만든 줄은 (鼈)자라별은 머리 뚫린 맹꽁이처럼 생긴 동물이 1. 迎賓館(영빈관,맞이할영,손님빈,객사관), 貴賓(귀빈,귀중할귀) 2. 嬪宮(빈궁,아내빈,집궁-왕세자아내), 嬪氏(빈씨,각시씨) 3. 殯所(빈소,염할빈,장소소), 殯殿(빈전,큰집전) 4. 捕繩(포승,사로잡을포,노끈승) 5. 鼈主簿傳(별주부전,자라별,주인주,장부부,전할전)
-
少(적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7. 14. 02:57
(紗)깁사 (沙)모래사 (娑)춤출사 (炒)볶을초 (渺)아득할묘(紗)깁사는 적을실로 짠 깁이니 (沙)모래사는 물로 인해 돌이 작아진 것 (娑)사바세상사는 모래 위 여자가 춤추는 세상 (炒)볶을초는 불로 적어지게 볶는 (渺)아득할묘는 눈물이 적게 흘러 아득하니 1. 紗窓(사창,깁사,창창) 2. 沙金(사금,모래사,금금) 沙上樓閣(사상누각,다락루,문설주각) 3. 娑婆世界(사바(파)세계,춤추는 할미, 음역으로 괴로움이 많은 세상) 4. 炒醬(초장,볶을초,젓갈장) 5. 渺然(묘연,아득할묘,그러할연)
-
僚(밝을,동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7. 7. 02:51
(僚)동료,관료료 (瞭)밝을료 (療)병고칠료 (遼)멀료 (隙)틈극(僚)동료,관료료는 사람 중 불 밝히고 함께 일하는 이는 (瞭)밝을료는 눈에 밝으니 (療)병고칠료는 눈을 밝게 고치니 (遼)멀료는 불을 밝히니 가는 길이 머니 (隙)틈극은 언덕에 조금한 해가 비치다가 조금한 틈이 1. 閣僚(각료,문설주각,동료료) 幕僚(막료,막막) 2. 明瞭(명료,밝을명,밝을료), 一目瞭然(일목요연,하나일,눈목,그러할연) 3. 診療(진료,볼진,병고칠료), 療養(요양,기를양) 4. 遼遠(요원,멀요,멀원) 5. 間隙(간극,사이간,틈극)
-
敞(높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5. 6. 30. 02:28
(敞)높을창 (廠)헛간창 (敝)해질폐 (斃)죽을폐 (瞥)슬쩍 볼 별(敞)넓을창은 높은 것을 쳐 버리면 더 높으니 (廠)헛간창은 집에서 높게 터진 헛간 (敝)해질폐는 작은 성은 조금만 쳐도 해치니 (斃)죽을폐는 깨져 죽으니 (瞥)슬쩍 볼 별은 깨진 틈으로 슬쩍 보니 1. 敞然(창연,높을창,그러할연) 2. 工廠(공창,장인공,헛간창) 3. 敝船(폐선,해질폐,배선) 4. 斃死率(폐사율,죽을폐,죽을사,비율율) 5. 瞥眼間(별안간,슬쩍볼별,눈안,사이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