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亨(형통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1. 18. 03:07
(亨)형통할형 (享)누릴향 (淳)순박할순 (醇)진한술순 (敦)도타울돈(亨)형통할형은 높은 학문을 마치면 형통하니 (享)누릴향은 높은 학문을 배운 아들이 행복을 누리니 (淳)순박할순은 물로도 행복을 누리니 사람은 순박하니 (醇)진한술순은 술의 참맛을 누릴 수 있는 진한 술이니 (敦)도타울돈은 행복을 누리도록 치면서 도타우니 1. 萬事亨通(만사형통,만만,일사,형통할형,통할통) 2. 享樂(향락,누릴향,즐길락) 享年(향년,해년) 3. 淳朴(순박,순박할순,후박나무박) 4. 醇化(순화,진한술(순수할)순,될화) 5. 敦篤(돈독,도타울돈,도타울독)
-
高(높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1. 4. 03:27
(高)높을고 (稿)볏집,원고고 (敲)두들릴고 (膏)기름고 (嚆)울효(高)높을고는 지붕과 창틀과 몸체와 출입구가 높이 있는 (稿)볏집,원고고는 벼를 수확하고 높이 쌓아둔 볏집 (敲)두들릴고는 높이 손들어 두들기니 (膏)기름고는 높은 비율로 고기에 들어있는 기름이니 (嚆)울효는 입에 밥은 안 주고 쑥만 먹으라면 우니 1. 高價(고가,높을고,값가), 高喊(고함,소리함), 提高(제고,끌제) 2. 投稿(투고,던질투,원고고), 遺稿(유고,남길유) 3. 推敲(퇴고,옮길퇴,두둘릴고) 4. 軟膏(연고,부드러울연,기름고) 膏藥(고약,약약) 5. 嚆矢(효시,울효,화살시)
-
卒(마칠,갑자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0. 28. 03:14
(卒)마칠,갑자기졸 (猝)갑자기졸 (碎)부술쇄 (粹)순수할수 (萃)모을췌(卒)마칠,갑자기졸은 우두머리 밑에 모인 많은 사람이 일을 마치니 (猝)갑자기졸은 개가 갑자기 짓는 (碎)부술쇄는 돌을 갑자기 부수니 (粹)순수할 수는 쌀을 정성을 다하는 모습이 순수해 (萃)모을췌는 풀 작업을 마치어 모으니 1. 卒業(졸업,마칠졸,업업), 卒倒(졸도,갑자기졸,넘어질도) 2. 猝富(졸부,갑자기졸,넉넉할부) 3. 粉碎(분쇄,가루분,부술쇄), 破碎(파쇄,깨뜨릴파) 4. 純粹(순수,생사순,순수할순) 5. 拔萃案(발췌안,뺄발,모을췌,책상안)
-
衣(옷)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0. 21. 02:44
(衣)옷의 (哀)슬플애 (衷)속마음충 (衰)쇠할쇠 (猿)원숭이원(衣)옷의는 저고리를 본떠서 (哀)슬플애는 옷으로 입을 가리고 우는 (衷)속마음충은 옷 가운데 우러나오는 (衰)쇠할쇠는 슬픈 일에 한번 빠지면 기운이 쇠하여 (猿)원숭이원은 짐승 중 옷 챙겨 입는 것은 1. 衣裳(의상,옷의,치마상), 衣服(의복,옷복) 好衣好食(호의호식,좋을호,먹을식) 2. 哀悼(애도,슬플애,슬퍼할도) 哀歡(애환,기뻐할환) 喜怒哀樂(희노애락, 기쁠희,노할노,즐거울락) 3. 衷誠(충성,속마음충,정성성) 苦衷(고충,쓸고) 衷情(충정,뜻정) 4. 衰弱(쇠약,쇠할쇠,약할약) 興亡盛衰(흥망성쉬,흥할흥,망할망,성할성) 5. 類人猿(유인원,무리유,사람인,원숭이원), 犬猿之間(견원지간,개견,갈지,사이간)
-
發(쏠, 일어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0. 14. 03:12
(發)쏠,일어날발 (撥)다스릴,뒤집을발 (潑)뿌릴발 (醱)술괼발 (登)오를,기재할등 (澄)맑을징(發)쏠,일어날발은 걸어가 활과 창을 쏘며 싸움이 일어나 (撥)다스릴,뒤집을발은 손으로 일어나는 것을 다스려 뒤집으니 (潑)뿌릴발은 물을 쏘듯이 활발하게 뿌리니 (醱)술괼발은 술을 담그면 거품이 일어나며 괴니 (登)오를,기재할등은 걸어서 제기에 있는 곳에 오르니 (澄)맑을징은 높이 있는 물은 맑으니 1. 發射(발사,쏠발,쏠사), 發動(발동,일어날발,움직일동) 發效(발효,효혐할효) 2. 擺撥馬(파발마,열릴파,다스릴발,말마), 反撥(반발,되돌릴반,뒤집을발) 3. 潑剌(뿌릴발,어지러울랄) 4. 醱酵乳(발효유,술괼발,술밑효,젖유) 5. 登壇(등단,오를등,단단), 登錄(등록,기재할등,기록할록) 6. 明澄(명징,밝을명,맑..
-
豆(콩,제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10. 7. 03:36
(豆)콩두 (痘)천연두두 (壹)한일 (凱)승전가개 (商)장사할상 (嫡)본마누라적(豆)콩두는 제기처럼 생긴 둥근 콩 (痘)천연두두는 콩같은 부스럼이 생기는 병 (壹)한일은 선비가 덮어 싸 놓은 제기 하나 (凱)승전가개는 콩을 갖고 산의 안석에 오르며 부르는 노래 (商)장사할상은 머리에 물건을 이고 다니며 성 안에서 사람이 말하며 장사하는 (嫡)본마누라적은 여자 중 밑동으로 삼는 사람 1. 豆腐(두부,콩두,썩을부) 豆乳(두유,젖유) 2. 種痘法(종두법,씨종,천연두두,법법) 3. 壹是(일시,한일,옳을시) 4. 凱旋門(개선문,승전가개,돌선,문문) 5. 商社(상사,장사할상,모일(회사)사), 協商(협상,화합할협) 6. 嫡子(적자,정실적,아들자) 嫡庶(적서,여러(서자)서)
-
僕(무더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4. 9. 30. 03:12
(僕)종복 (撲)두드릴박 (業)업,일업 (對)대할대 (叢)모을총 (鑿)뚫을착(僕)종복은 무더기로 일하는 사람 (撲)두드릴박은 손으로 무더기를 두드리니 (業)업,일업은 풀무성한 곳에 나무를 심는 업이 (對)대할대는 풀무성한 곳에 법도에 따라 상대하니 (叢)모을총은 풀무성한 곳을 취하여 모으니 (鑿)뚫을착은 풀 무성하듯 많이 절구를 치듯이 쇠로쳐 뚫으니 1. 公僕(공복,공적공,종복) 忠僕(충복,충성충) 2. 撲滅(박멸,두드릴박,멸망할멸) 打撲(타박,칠타) 撲殺(박살,죽일살) 3. 業報(업보,업업,갚을보) 就業(취업,이를취) 4. 對決(대결,대할대,터질결) 對話(대화,말씀화) 對立(대립,설립) 5. 叢書(총서,모을총,글서) 叢論(총론,논할론) 6. 掘鑿機(굴착기,팔굴,뚫을착,틀기) 穿鑿(천착,뚫을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