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敝(해질,깨질)와 攸(아득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3. 14. 03:57
(弊)폐단 폐 (幣)돈,폐백 폐 (蔽)가릴,덮을 폐 (悠)멀 유 (修)닦을 수 (條)가지,조목 조
(弊)폐단 폐는 깨져서 아래를 받쳐야 하는 (幣)돈,폐백 폐는 해진 수건 같은 모양의 (蔽)가릴,덮을 폐는 풀로 해진 것을 (悠)한가할, 멀 유는 아득한 먼날을 생각하며 (修)닦을 수는 아득히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듯이 마음을 (條)가지,조목 조는 아득히 나무에서 뻗어가는
1. 弊習(폐습,폐단폐,익힐습) 弊害(폐해,해할해) 惡弊(악폐,악할악)
2. 僞幣(위폐,거짓위,돈폐) 造幣(조폐,만들조) 貨幣(화폐,재물화)
3. 隱蔽(은폐,숨길은,가릴폐) 建蔽率(건폐율,세울건,비율율)
4. 悠悠自適(유유자적,한가할유,다닐적) 悠久(유구,멀유,오래구)
5. 修鍊(수련,닦을수,익힐련) 修女(수녀) 修繕(수선,고칠수,기울선)
6. 鐵條網(철조망,쇠철,가지조,그물망) 條約(조약,조목조,묶을약) 金科玉條(금과옥조,과목과,구슬옥)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양)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21 井(우물)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17 攵(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10 悤(바쁠,밝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07 㚆(돌아올,거듭)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