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牙(어금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7. 03:11
(牙)어금니 아 (芽)싹 아 (雅)맑을, 아담할 아 (邪)간사할 사 (訝)의심할 아
(牙)어금니 아는 코끼리 어금니를 본떠서 (芽)싹 아는 풀로 어금니처럼 돋아나는 (雅)맑을, 아담할 아는 새의 어금니로 나는 (邪)간사할 사는 어금니와 마을에 숨어서 나쁘고 (訝)의심할 아는 어금니에서 나온 말은
1. 齒牙(치아,이치,어금니아) 象牙塔(상아탑,코끼리상,탑탑)
2. 發芽(발아,필발,싹아) 麥芽(맥아,보리맥) 萌芽(맹아,싹맹)
3. 淸雅(청아,맑을청,맑을아) 優雅(우아,넉넉할우,고울아)
4. 邪惡(사악,간사할사,악할악) 破邪顯正(파사현정,깨뜨릴파,드러낼현,바를정)
5. 疑訝(의아,의심할의,의심할아)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也(또한,어조사)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4.18 虍(범)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4.11 象(코끼리)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4.04 豕(돼지)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31 義(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