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코끼리)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4. 4. 03:05
(象)코끼리,모양 상 (像)모양상 (豫)미리예 (馬)말마 (篤)두터울 독
(象)코끼리상는 코끼리 모양을 본떠 (像)모양상은 사람이 코끼리 모습을 본떠 그리니 (豫)미리예는 자기코끼리는 미리 아니 (馬)말마는 서 있는 말을 본떠서 (篤)두터울독은 대나무말을 타던 정이
1. 象牙(상아,코끼리상,어금리아) 象徵(상징,모양상, 밝힐징) 印象(인상,새길인)
2. 佛像(불상,부처불,모양상) 自畵像(자화상,그림화) 銅像(동상,구리동)
3. 豫告(예고,미리예,알릴고) 豫報(예보,알릴보) 豫想(예상,생각할상)
4. 乘馬(승마,탈승,말마) 馬術(마술,기술술) 走馬看山(주마간산,달릴주,볼간)
5. 篤實(독실,두터울독,참될실) 危篤(위독,위태로울위) 篤志家(독지가,뜻지,사람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虍(범)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4.11 牙(어금니)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4.07 豕(돼지)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31 義(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28 襄(도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