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
저장수단으로 두 번 구운을 뜻하는 비스킷은 옛날 군인들의 식량이라고 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6. 2. 03:45
비스킷은 밀가루에다 지방, 우유, 버터, 달갈, 당분, 향료 등을 섞어 여러 모양이 틀에 구워 내는 바삭바삭한 과자를 말한다. 요즘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간식거리이지만 본래 장거리 여행자를 위한 식량이었다. 군인들의 비상 식량으로도 제공되었다 건빵 역시 비스킷의 일종이다. 이는 비스킷의 어원에도 잘 드러난다. 라틴어 비스콕투스에서 비스는 두 번이라는 뜻이고 콕투스는 구운이라는 뜻이다. 이둘을 합하면 두 번 구운이라는 뜻이 된다. 이 비스콕투스에;서 비스는 두 번이라는 뜻이 된다. 현대 영어에서 비스킷으로 되었다 그렇다면 두 번 구운 과자를 비상식량으로 사용했을까 ? 옛날 사람들에게는 식량 보존이 큰 걱정거리였다. 오랜 기간 썩지 않게 보존해줄 식기나 냉장고가 없었기 떄문이다. 특히 서양인들의 주식인 빵은 ..
-
중국 4천년 역사인 콩이 세계 대공황 위기를 극복하게 해준 식물이라고 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3. 23. 03:22
대두는 영어로 Soybean이다. 소이는 간장을 의미하고 소이빈은 간장을 담그는 콩이라는 뜻이다. 대두는 중국이 원산지인 작물로 오랜 세월 아시아를 중심으로 재배가 이루어졌다 5대 작물하면 옥수수, 밀, 쌀, 감자하고 그 다음이 대두이다. 대두 생산량은 많은 것은 미국이고 그 다음은 브라질이다. 따라서 아메리카 대륙이 대두의 85%를 차지한다. 인간이 식량으로 삼는 작물 중에는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인 작물이 많다. 특히 옥수수, 감자, 토마토가 대표적이다. 그런 반면 대두는 원산지가 아시아인 중국이다 인류 4대 문명은 주요 작물과 관계가 깊다.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에는 보리와 밀 등의 맥류가 있다. 그리고 인더스 문명에는 벼가 중국 문명에는 대두가 있다. 아즈텍 문명과 마야 문명이 있던 중미..
-
아시아에서 밀보다 벼가 주식으로 재배되고 화폐의 기능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3. 15. 03:00
고대일본인은 벼농사 하기 전에 토란을 주식으로 먹었다. 토란은 오늘날에도 동남아시아나 폴리네시아, 오세아시아 등 태평양지역 일대에서 주식으로 애용된다. 일본은 토란은 지금 반찬이나 간식으로 먹고 있으나 주식으로의 흔적이 남아있어 설날에 찹쌀로 만든 떡에 토란이 빠지면 왠지 섭섭해 하는 것이 있다. 또한 낫토, 떡, 갈아서 먹는 마, 진액이 묻어나는 버섯 등 모든 일본인이 즐겨 먹는 식품인데 이는 모든 끈적끈적한 식감에 익숙해서다 이는 토란의 성분에서 나오는 끈적함이 무의적 기억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일본은 당대에 지역적 편차가 심했는데 동일본은 풍요로운 낙엽수림이 펼쳐져 인구를 부양할 식량이 충분했던 반면 서일본은 환경이 척박해서 늘 식량이 부족했다. 그러나 벼농사는 척박한 서일본이 널리..
-
씨앗 한 톨에서 문명을 탄생시킨 인큐베이터 밀 등 볏과 식물은 어떻게 진화했나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2. 25. 04:04
식물은 크게 나무와 풀로 구분할 수 있다. 나무와 풀 중 더 진화한 형태는 나무이다. 양치식물에서 종자식물로 진화한 식물은 여기서 진화의 속도를 늦추지 않고 목본식물(나무)로 한 단계 더 진화했다. 고대 지구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주된 이유는 기후가 온난하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기 때문이었다. 식물은 자라면 자랄수록 다른 경쟁자에 비해 광합성을 하는데 유리해진다. 다른 식물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 식물은 햇빛을 마음껏 사냥하며 더욱 거대한 나무로 자랐다. 그 거대한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탄탄한 껍질을 가진 나무로 진화해갔다. 그러나 한덩어리였던 대륙이 여러개의 대륙으로 갈라지는 백악기에 들어가자 동식물은 각자 생존에 적합한 땅을 찾아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
-
영국에서 홍차가 산업혁명시대 노동력 증대를 위해 대중화가 되었다고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1. 22. 03:15
홍차하면 사람들은 가장 먼저 영국을 떠오른다. 영국에서는 호텔에 가면 오후 4시에서 5시사이에 애프터눈티를 시켜 홍차와 우유, 예쁜 과자들을 먹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영국은 포트넘 앤 메이슨과 요크셔 티와 같은 수많은 홍차회사가 있을 정도로 차 문화가 매우 발달한 나라이다. 국민 대부분이 평균 일곱잔의 홍차를 마신다고 한다. 하지만 유럽에서 가장 먼저 차를 받아들인 나라는 네덜란드였다. 그것도 일본을 통해서이다 17세기 네덜란드가 일본과 주로 무역을 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중국 청나라의 광저우로부터 차를 수입하면서 본격적으로 유럽에 차 문화가 전파되었다. 그래서 당시 영국에서는 중국의 광동어 차를 그대로 받아들여 티를 차라고 불렀다고 한다. 처음 유럽으로 전해진 차는 색..
-
인류의 재앙 노예무역을 부른 달콤하고 위험한 맛의 사탕수수의 모든 것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1. 10. 05:19
인간은 단맛을 몹시 좋아한다. 단맛은 당 성분으로 우리가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과거 인류의 선조는 숲을 보금자리로 삼고 식물의 열매를 먹고 살던 유인원이었다. 식물의 열매는 다 익으면 단맛이 난다. 즉 단맛은 식물이 익은 맛이다. 숲과 초원을 다니며 유인원은 달착지근한 냄새와 달콤한 맛을 귀신같이 골라낸다. 그것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인공감미료가 넘쳐나는 21세기 현대사회에 단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해 심각한 문제가 되지만 자연계의 관점에서 단맛은 위험의 대상이 아니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귀중한 식량이다. 인류가 본능적으로 단맛에 환호하는 데는 그런 이유가 있다 인류 최초의 단맛을 맛본 것은 벌꿀로 추정하고 있다. 놀랍게도 기원전 2500년 무렵 인류가 이미 ..
-
세계사를 바꾼 두 전쟁의 촉매제인 차는 어떻게 영향을 끼쳤나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1. 12. 27. 04:48
진시황제가 늙지도 죽지도 않는 신비한 효과가 있다고 믿고 복용한 약이었다. 고대 중국 농업의 신인 신농은 지천으로 널리 흔한 초목의 약효를 직접 복용하며 시험했다. 그는 치명적인 독에 중독되어 목숨이 위태로울 때마다 그 약의 힘으로 살아났다. 당나라에 어느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첫 모금은 목과 입을 넉넉히 적시고, 두 번째 모금은 외로움을 말끔히 녹여주고, 세 번째 모금은 시심을 깨워주고, 네 번째 모금과 다섯 번째 모금은 일상의 불평불만을 깨끗이 씻어내 주고 몸을 정화해준다. 그리고 여섯 번째는 신선의 경지에서 노닐게 된다 차는 중국 남부가 원산지인 식물이다. 먼 옛날에는 차를 갖고 다니며 마시도록 고형으로 굳힌 병차(둥근떡모양으로 납작한 떡차)형태로 만들었다, 이 병차는 단차의 일종으로 필요할 ..
-
크루아상에는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의 전쟁을 통해 전해졌다고 하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1. 12. 16. 04:45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프랑스 빵은 단연 바게트이다. 그 다음은 크루아상일거다. 이빵들이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이유는 즐겨 먹어서보다 거리의 간판 때문일거다. 크루아상이라는 이름은 빵의 형태와 관련이 있다. 프랑스어의 크루아상은 형용사로 점점 커지는 이라는 뜻이고, 명사로는 초승달, 이슬람교의 깃발, 터키 제국을 의미한다. 누구나 알다시피 초승달은 점점 커져서 반달이 되고 반달은 점점 커져서 보름달이 된다. 크루아상이라는 이름은 빵의 모양이 초승달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1683년 7월 중순 오스만 제국(터키 제국의 옛말)의 재상 카라 무스타파는 20만 군대를 이끌고 빈을 포위했다.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동 로마 제국을 정복하고 유럽에 여러 차례 위협을 가하고 있었다. 당시 강대국이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