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에서 밀보다 벼가 주식으로 재배되고 화폐의 기능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2. 3. 15. 03:00
고대일본인은 벼농사 하기 전에 토란을 주식으로 먹었다. 토란은 오늘날에도 동남아시아나 폴리네시아, 오세아시아 등 태평양지역 일대에서 주식으로 애용된다. 일본은 토란은 지금 반찬이나 간식으로 먹고 있으나 주식으로의 흔적이 남아있어 설날에 찹쌀로 만든 떡에 토란이 빠지면 왠지 섭섭해 하는 것이 있다. 또한 낫토, 떡, 갈아서 먹는 마, 진액이 묻어나는 버섯 등 모든 일본인이 즐겨 먹는 식품인데 이는 모든 끈적끈적한 식감에 익숙해서다 이는 토란의 성분에서 나오는 끈적함이 무의적 기억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일본은 당대에 지역적 편차가 심했는데 동일본은 풍요로운 낙엽수림이 펼쳐져 인구를 부양할 식량이 충분했던 반면 서일본은 환경이 척박해서 늘 식량이 부족했다. 그러나 벼농사는 척박한 서일본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농업의 역사는 오래 되었고 부의 차이를 낳았다. 자연이 내주는 것을 받아먹는 식의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하는 세계에서는 빈부 격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식량을 저장할 수 없고 주위 사람들에게 나누어준다. 부의 저장방법이 없었다. 농업은 이와 달리 저장이 가능하여 부를 창출하게 되어 빈부의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부를 축적한 사람은 권력을 가지게 되었고 마을과 도시 그리고 국가를 만들었다. 부와 권력을 보장해주는 농사를 제대로 짓기 위해서는 논과 밭으로 물을 끌어오는 관개 시설과 농경에 필요한 기구가 필수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들 기술은 전쟁을 위한 요새를 짓고 무기를 만드는 기술이 밑바탕이 되었다
벼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다. 오늘날 쌀은 동양인의 주식이며 종교 의례나 계절 행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대사회에서도 달력에 농사와 관련된 구분한 절기가 표시하여 그것을 지키며 산다. 한편 먹을거리가 풍부한 열대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벼재배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별로 느끼지 않는다. 인류 최초의 농민들은 밀과 보리보다 벼를 선호하여 재배한 이유는 우선 그 생산력이 뛰어난 점이 있다. 볍씨 한톨에 900톨의 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종자 대비 130배의 수확량을 얻지만 밀은 20배 정도의 수확량이 얻는 정도이다. 영양적으로도 쌀은 탄수화물뿐 아니라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균형잡힌 식품으로 인정받고 단지 염기성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이신이 부족한데 이는 콩으로 만든 된장국으로 채우고 있다. 서양에서는 빵과 파스타의 원료인 밀은 쌀만큼 영양적으로 부족하고 특히 단백질를 섭취하기 위해 육류를 섭취한다. 따라서 쌀과 달리 밀은 주식으로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아시아는 벼농사에 적합한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벼를 재배하는데 많은 물이 필요한데 다행히도 아시아에는 연중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 아시아 남쪽의 인도부터 동남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 걸친 지역은 몬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비가 많이 내린다. 5월 무렵 아시아 대륙이 따뜻해지고 저기압이 발생하면 인도양 상공의 고기압 영향으로 대륙을 향해 바람이 부는데 이것이 바로 몬순이다. 몬순이 대륙의 히말라야산맥에 부딪히면 진로를 동쪽으로 변경한다. 이때 습기를 머금은 축축한 바람이 비를 몰고 오면서 아시아 각 나라는 우기에 접어든다. 몬순의 영향으로 형성된 고온다습한 아시아의 여름 기후는 벼를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비가 많이 내려도 이를 저장해 둘 공간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논 만들기가 필요하다. 우선 산에서 흐르는 물을 끌어와 물길을 만들고 논 곳곳에 물길이 두루 미치도록 물을 대야한다. 그런 다음 큰 강에서 작은 개울로 물을 끌어오고 작은 개울에서 논으로 물을 끌어와 논에 물을 채워야 한다. 그러면 산에 내린 비가 삽시간에 바다로 가지 않고 지면을 적시면서 천천히 흘러간다. 사람들은 엄청난 노력과 시간을 들여 강의 범람원을 논으로 바꿔놓았다.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어느 나라에서든 거친 물의 흐름을 다스리기 위해 치수가 대대적인 국가사업으로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논은 일종의 댐역할을 담당하여 물을 저장하거나 하천의 급격한 흐름을 완화하고 조절해 천천히 흐르면서 대지를 적시고 지하수를 채우도록 돕는다.
쌀은 인간의 생존과 생활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식량원이다. 그 외도 화페기능도 한다. 그러므로 초기 농경사회에서 인류가 논을 만들어 벼 모종을 심고 쌀을 생산하는 것이 돈을 찍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돈은 쌀을 표시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리고 쌀은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어 장거리 운반도 가능하여 화폐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화폐로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쌀 생산량이 증가하면 쌀이 남아돌고 가치가 떨어지므로 그 한계가 있다. 16세기에 유럽은 삼포식 농업으로 3년마다 밀을 재배하므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드넓은 밭이 필요했다 그러나 아시아의 마을간의 간격은 좁다. 이는 벼농사로 이모작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마을간의 간격이 좁고 많은 인구를 가지게 되었다. 물론 벼가 엄청난 수확량을 자랑하기 떄문이기도 하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장수단으로 두 번 구운을 뜻하는 비스킷은 옛날 군인들의 식량이라고 하는데 (0) 2022.06.02 중국 4천년 역사인 콩이 세계 대공황 위기를 극복하게 해준 식물이라고 하는데 (0) 2022.03.23 씨앗 한 톨에서 문명을 탄생시킨 인큐베이터 밀 등 볏과 식물은 어떻게 진화했나 (1) 2022.02.25 영국에서 홍차가 산업혁명시대 노동력 증대를 위해 대중화가 되었다고 (0) 2022.01.22 인류의 재앙 노예무역을 부른 달콤하고 위험한 맛의 사탕수수의 모든 것 (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