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似而非(사이비)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1. 22. 03:53
似而非(사이비) - 같을사, 어조사이, 아닐비
사이비자의 준말로 글자 그대로 겉은 같은 듯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것, 즉 겉과 속이 다른 것을 말한다
맹자 진심 하편을 보면, 맹자의 제자 만장이 맹자에게 이렇게 묻는 내용이 있다. 한 마을 사람이 모두 진실한 사람이라고 칭찬한다면 어느 곳을 가더라도 진실한 사람이 되지 않는 것이 없을 텐데, 공자께서 덕을 해친다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 맹자가 말했다. 비난하려 해도 특별히 지적할 게 없고 꼬집으려 해도 꼬집을 만한 게 없으며 일반 세속과 함께하고 깨끗하지 못한 세상에 합세하여 평소에 충성하고 신의 있는 듯이 보이며 행동은 청렴하고 결백한 것 같아서 모든 사람이 다 그를 좋아하고 자기 자신도 옳다고 여기지만 요와 순 같은 성인의 도에 함께 들어갈 수 없기에 덕을 해친다고 한 것이다.
공자께서는 나는 같은 듯하지만 다른 것을 싫어하나니 독보리를 싫어하는 것은 곡식을 더럽힐까 두렵기 때문이고, 아첨함을 싫어하는 것은 의리를 어지럽힐까 두렵기 때문이고, 말재주를 싫어하는 것은 믿음을 어지럽힐까 두렵기 때문이며, 정나라의 음란한 음악을 싫어하는 것은 정악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자주빛을 싫어하는 것은 그것이 붉은빛을 어지럽힐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향원을 싫어하는 것은 그 덕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다라고 하셨다. 군자는 바른길로 돌아올 뿐이니 떳떳한 길이 바로잡히면 일반 백성이 일어나고, 일반 백성이 일어나면 사특한 것과 나쁜 것이 없어질 것이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蛇足(사족)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2.05 殺身成仁(살신성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2.04 射石爲虎(사석위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1.15 四面楚歌(사면초가)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1.08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2)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