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殺身成仁(살신성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5. 2. 4. 03:00
殺身成仁(살신성인) - 죽일살, 몸신, 이룰성, 어질인
제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룬다는 말로 대의를 위해 자신의 안락을 도모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목숨을 바치기도 함을 뜻한다.
공자는 논어 위령공편에서 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뜻있는 선비와 인한 사람은 삶에 연연하여 인을 해하지 않고 제 몸을 희생하더라도 인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선비란 학문에 뜻을 두어 학문이 깊어질수록 어진 이에 가까워지는 사람이다. 어진 사람은 남과 구별되는 나, 즉 육체를 중심으로 파악하는 나로서의 삶을 극복하고 남과 하나인 나 즉 본마음을 중심으로 하는 나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자이다 따라서 어진 사람은 전체의 삶을 영위하는 입장에서 개체적인 삶을 판단하기 때문에 전체의 삶에 도움이 된다면 자기 몸의 죽음도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蛇足(사족)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2.05 似而非(사이비)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1.22 射石爲虎(사석위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1.15 四面楚歌(사면초가)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5.01.08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2)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