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훠궈와 샤브샤브 유래는 어떠하며 몽골에는 칭기즈 칸 요리가 없다는데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3. 10. 13. 03:24
끓는 국물에 얇게 썬 고기와 각종 야채를 살짝 데쳐 양념에 찍어 먹는 음식인 샤부샤부는 일본어로 살랑살랑 내지 찰싹찰싹이라는 뜻으로 끓는 국물에서 고기를 꺼낼 때 나느 소리에서 유래했다. 샤부샤부는 쇼와 시대(1926-1989년까지의 64년간 히로히토 천왕의 재위기간을 말함)에 고안한 음식이다. 1955년 오사카의 한 음식점에서 샤부샤부란 이름의 요리를 내놓고 상표 등록까지 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샤부샤부는 사실 일본 음식이 아니다
중국에도 샤부샤부와 비슷하지만 산양 고기로 만드는 훠궈가 있다. 중국인들은 이를 몽골족의 음식이라 하여 몽골요리 또는 칭기즈 칸 요리라고 한다. 몽골군이 전투에서 얇게 썬 고기를 손쉽고 빠르게 먹을 수 있기 위해 고안된 음식이 바로 칭기즈 칸 요리라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몽골 유목민들은 고기를 얇게 썰어 겨우내 말린 보르츠라는 육포를 비상식량으로 준비하여 뜨거운 물에 불려 먹었다. 전투 시 시간이 없을 때 보르츠는 군사들의 체력을 보강하는 일품 먹을 거리였다.
하지만 몽골에는 칭기즈 칸 요리가 없다. 어떤 사람은 샤부샤부의 얇게 썬 고기가 칭기즈 칸이 서방을 정벌할 때 적군을 칼로 난도질한 잔인무도함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지나친 비약이다. 유네스코는 21세기를 맞이하여 세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가운데 하나로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을 꼽았다. 칭기즈 칸이라는 요리 이름은 중국인들이 이런 배경을 이용하여 상업적인 광고 효과를 거두기 위해 붙인 듯하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패는 요리의 어머니로 썩어가는 식자재와 싸움 (1) 2023.11.09 세계를 양분하는 근대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던 커피와 홍차 대해서 (1) 2023.10.31 매운맛의 챔피언 마늘 성스러운 매운맛 양파 그리고 겨자에 대해서 알아보면 (0) 2023.07.27 소금을 지배한 상인과 전매사업으로 부와 권력을 유지한 권력자들 (0) 2023.03.03 구약성경 출애굽기에 모세가 신에서 받은 만나에 대해서 알아보면 (0)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