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년 사도 바오로가 쓴 신의 선물이라는 의미에서 케네디를 지칭하는 카리스마의 변천은아들을 위한 인문학/심리 2021. 9. 6. 04:27
인터넷에서 카리스마를 검색해 보면 히딩크 전 대표팀 감독, 배우 최민수, 대처 전 영국수상 등 다양한 사람이 나온다. 다양한 인물과 직종을 연관시키는 카리스마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 ? 카리스마는 본래 신학과 관련해서 쓰던 말이다. 그리스어 카리스마의 의미는 신의 선물 내지 신의 은총이었다. 이 말은 50년 사도 바오로가 쓴 편지에 처음 나온다. 그는 카리스마를 하느님의 은총이 담긴 선물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고 한다. 은혜나 호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카리스에서 만든 것이다. 카리스마는 라틴어 신학자들에 의해서 오늘날처럼 카리스마로 옯겨졌다.
그러나 그후는 잘 쓰여지지 않았다가 20세초에 이 단어를 부활시킨 사람은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였다. 그는 자신의 저서 <경제와 사회>에서 카리스마를 비종교적인 의미로 처음 사용했다. - 카리스마라는 말은 한 개인의 특징에 적용될 것이다. 그는 그 특징 때문에 초자연적, 초인간적, 또는 적어도 특별히 예외적인 능력을 부여 받은 뛰어난 사람으로 간주된다 - 그리고 이 단어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1960년 존 에프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부터이다. 기자들이 이 용어를 케네디 대통령과 관련해 자주 사용했다. 당시 카리스마의 의미는 백악관이 만든 종교화된 리더십이었다. 리더십을 갖춘 케네디는 국가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해 줄 것인가를 기대하지 말고 당신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라라고 말하면서 미국 국민에게 충성을 요구했고, 이 말로 진정으로 카리스마 있는 사람이 되었다. 현재는 카리스마가 목사, 영화배우, 운동선수, 장군 등 유명 인사에게 주로 쓰이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이런 현상으로 카리스마으 의미가 세속화되었고 따라서 고유의 의미를 잃은 것이라고 하였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 심리학이 숨어있는 백화점은 어떤 구조이길래 그런가 (0) 2022.02.04 긍정적 사고의 플라시보(Placebo)와 부정적 사고의 노시보(Nocebo)효과 (0) 2022.01.12 토크쇼의 방청객은 왜 모두 여자일까 ? - 웃음의 생리학과 사회학 (1) 2021.09.01 마음의 심해에서 슬쁜 소리가 들리면 위로가 필요한 때라고 (0) 2021.08.10 인정욕구의 함정 ‘파에톤 콤플렉스’ (0) 202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