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토크쇼의 방청객은 왜 모두 여자일까 ? - 웃음의 생리학과 사회학
    아들을 위한 인문학/심리 2021. 9. 1. 04:55

    어떤 신경과학자들은 타인이 웃으면 따라 웃게 되는 것은 우리의 뇌에 웃음소리에만 반응하는 웃음 감지영역이 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다른 사람의 웃음소리를 들으면 나의 웃음 감지 영역이 흥분하게 되고 이 신호는 웃음 발생 영역으로 전달돼 나 역시 웃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 로체스터 의대 신경방사선과 교수는 기능형 핵자기공명영상으로 뇌의 어떤 부분이 웃음에 관여하는지를 촬영했는데 오른쪽 이마 뒤쪽에 있는 뇌의 전두엽 하단이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제로 뇌출혈 등으로 이 영역이 손상된 사람들은 유머를 이해하고 웃는 능력 잃어버렸다고 한다

     

    웃음생리학으로 웃음을 유머나 간지럼, 혹은 재미있는 상황이나 행동에 대해 인간이 보여주는 즉각적이고 생리적인 반응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그것이 웃음의 모든 것을 다 설명해주지 않는다. 실제로 관찰해보면 유머 등 개그로 웃음의 비율은 20%를 넘지 않는다고 하였다. 웃음은 그저 유머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이 아니라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해주는 사회적 신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농담을 주고받아 웃는 것보다 친밀감이나 호감을 느끼기 때문에 대화를 나누다가 즐겁게 웃는 것이라고 한다. 영화를 보더라도 혼자서 코믹영화를 보면 웃는 장면에 미소만 지으나 여럿이 함께 보면 30배나 더 웃는다고 한다

     

    웃음이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 신호라는 사실을 웃음의 성격이나 빈도가 이성과 함께 있느냐 혹은 동성친구와 함께 있느냐에 따라 현격히 달라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남성과 여성이 대화를 나눌 때 여성이 남성보다 1.3배는 더 많이 웃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성과 대화할 때 남성은 여성을 웃기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여성이 더 많이 웃게 되는 것이다. 코미디언도 남자가 더 많은 이유이다. 남성들은 유머감각이 있는 여자보다 웃을 때 예쁜여자를 더 선호한다. 반면 여자는 유머감각이 있는 남자를 더 선호한다. 한편 남자는 크게 웃거나 소리치는 모습이 그다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기 떄문에 여자들 앞에서 자제한다. 남자들사이에서는 결속력을 강하시키기 때문에 크게 웃는다. 그래서 웃음은 상대방에 대한 호감을 나타내면서 미소와는 달리 억지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상대방으로 하여금 편안함과 함께 동지애를 유발한다

     

    토크쇼의 방청객들은 왜 모두 여자일까 ? 토크쇼에서 방청객이 하는 일은 시트콤의 녹음된 웃음소리처럼 초대 손님이 어설픈 농담을 하거나 썰렁한 개그를 할때에도 웃어주는 일이다. 그들은 PD의 수신호에 맞춰 웃음과 박수, 때로는 비명과 야유를 적재적소에 내질러야 하는 임무를 부여받는다. 물론 그 대가로 약간의 돈을 받는다. 방송국 PD에 따르면 여성 방청객들이 남성 방청객들과 함꼐 앉아 있으면 웃음소리가 60퍼센트 정도밖에 안 나온다고 한다. 그래서 토크쇼 방청객을 모두 여성들로 채운다고 한다. PD는 더 큰 웃음을 얻기 위해 그들에게서 나머지 40%의 웃음소리를 대가를 주고 산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여성의 천성적으로 리액션이 강한 웃음으로 인한 60%의 웃음과 대가지불로 인한 40% 웃음의 유도로 토크쇼는 진행된다고 본다

     

    인간은 언제 주로 웃는가하면 플라톤 이래 수많은 철학자들이 주장한 우월성 이론이 있다. 사람들은 타인에게서 실수나 결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뭔가 모자라는 듯한 행동을 보게 되면 웃는다는 것이다. 토마스 홉스는 그의 저서 <리바이어던>에서 웃음의 감정은 타인의 약점을 자신의 약점과 비교해 우월감을 느꼈을 때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승리감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표현했다. 광대의 잇살막은 행동을 볼 때 우리가 터뜨리는 웃음에는 나는 너보다 우월해라는 잠재의식이 깔려있다. 한편 모순이론에 따르면 논리적으로 쉽게 연결되지 않거나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질 때도 사람들은 웃음을 터뜨린다고 한다. 이는 뒤통수를 치는 반전이 있을 때에 허탈한 결말에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출처 : 정재승 <과학콘서트>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