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956년 이후 소련 수정주의와 중국 교조주의 논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아들을 위한 인문학/세계사 2021. 8. 2. 05:4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이후 중국은 급속히 소련의 영향권으로 편입되었다. 중국은 1921년 중국 공산당 창당 초기에는 소련공산당의 지도를 받았으나, 1930년대 이후 공산주의 운동은 거의 중국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함으로써 소련과 대립하였다. 내전의 과정에서도 소련의 도움이 없이 승리를 거두었다. 스탈린은 국민당 정부를 지원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신중국의 지도자들은 혁명을 지켜 낸 유일한 사회주의 정권인 소련의 경험을 이용하고자 했고, 소련도 중국을 자신의 진영으로 끌어들여 블록화가 진행되고 있는 냉전 초기의 국제질서에 대응하고자 했다. 1950년 중국은 소련과 중소 우호동맹 상호원조 조약을 맺었다. 이는 일본에 대한 그리고 미국에 대항하는 방위 동맹의 성격을 띠었다. 소련은 일본의 항복 이후 재장악한 만주철도와 여순항 군사기지, 대련 무역항에 대한 권리를 중국에 반환하기로 약속했다. 한국전재에 참전하게 된 중국은 소련의 첨단 군수물자를 수입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미국 및 유엔으로부터 제재를 받아 서방과 단절되는 외교적 고립 상태에서 소련에의 의존도가 심화되었다. 두나라의 협력관계는 긴밀해졌다. 그런데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고 흐루시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이 된 후 스탈린에 대한 비판이 본격화되면서 소련과 사회주의권 전역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는 국내적으로 스탈린 집권기에 만들어진 전체주의 체제를 다소 완화하는 개방정책을 펼쳤고 대외적으로는 핵경쟁의 중단과 평화공존 정책을 내세웠다. 군비부담을 줄이면서 경제발전을 도모하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소련에서 진행된 스탈린 비판은 1956년 폴란드와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에서 기존 노선에 대한 비판을 본격화시키고 급기야 소련 중심에서 탈피하려는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사회주의로의 평화적 이행 등을 강조한 평화공존론은 중국으로부터 격렬한 반발을 받았다. 1963년 인민일보에서는 중소간 균열의 시초를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회 대회에서 흐루시초프는 중국과의 사전 협의없이 돌연 스탈린을 전면적으로 비판하게 되었다. 1950년대 발생한 이데올로기상의 차이가 점차 중소간 균열을 확대시켰고 1960년대 전반에 이른바 중소논쟁으로 알려진 치열한 공개논쟁을 반복했다. 195712개국이 참가한 모스크바 세계 공산당 회의를 기점으로 중국과 소련 공산당 사이의 대립이 본격화되었다. 중국은 소련을 사회주의의 순수성을 포기한 수정주의 노선이라고 비판하였고 소련은 중국이 국제정세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않고 사회주의의 원칙에만 충실하고자 하는 교조주의라고 비판했다. 두나라의 공산당은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평화적 이행문제’‘미 제국주의의 평가’‘평화공존과 민족해방투쟁의 관계등의 문제에서 크게 부딪혔다. 특히 미군에 대한 입장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모택동은 미국과의 핵전쟁도 피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발언을 하였다. 소련이 가능하면 미국을 자극하지 않고 관계를 개선하려는 평화공존 정책을 취했던 반면, 중국은 미제국주의에 대한 강경한 대응을 주장했다. 1958년 대만이 중국에 포격을 가하고 미국이 이를 지원하는 등 미중관계가 긴박해졌다. 그러나 평화공존을 바라는 소련의 핵무기와 군사원조 실시를 거부하였으며 곧이어 핵개발 기술의 제공 자체를 거부했다. 1959년에는 티베트지방에서 중국과 인도의 항쟁이 벌어져 소련은 인도를 지지했다. 소련은 인도에 막대한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 중소 대립은 독자적 군사 현대화에 박차를 가하여 중국은 1964년 최초로 핵무기를 개발하였고 1971년에는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했다. 중소는 대외정책에서도 다른 입장을 보였다. 2차 대전이 끝나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데 소련은 이러한 나라들에 대해 무장투쟁보다는 정치적 압력과 협상에 의한 독립을 권했고, 신흥 독립국에 대해서는 자본주의 국가들에게 정치 경제적인 속박을 당하지 않게 하기 위해 경제원조 정책을 취하고 있었다. 소련은 지역적인 분재이 확대되어 미국 등이 개입하는 핵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중국혁명과 같은 방법이 제국주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는 민족해방의 모범이 된다는 생각이었기 떄문에 소련의 노선을 비판하면서 독립을 위해 싸우는 무장 세력들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아시아와 아프리카 신흥 독립국들 상당수로부터 지지를 획득하게 된다. 이것은 중국이 소련과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서 양진영의 어느 편에서도 서지 않는 새로운 제3세력의 중심국가로 역할을 하게 되는 배경이 된다. 중국은 이제 소련을 더 이상 사회주의 종주국으로 여기지 않게 되었다 사회주의 노선을 따르지 않는 수정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심지어는 제국주의 미국의 공모자라고 지칭하기까지 했다. 미국도 제국주의이지만 소련 역시 사회주의적 제국주의라는 것이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이르자 미소 결탁 국면의 출현을 우려하여 미국에 접근했다. 19717월 키신저 미대통령의 보좌관의 방중을 받아들였고 19722월에는 닉슨 대통령을 초청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장기간 중소냉전이라는 대결상황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도움으로 경제적 성장으로 국력이 성장하고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이 강화되었다. 중국은 소련의 동맹자에서 경쟁자로 나아가서 적으로 변해갔다. 1990년 전후에 동유럽 사회주의권이 몰락하고 소련이 해체된 이후에는 중국은 미국을 위협하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