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3의 경제 세력인 중국의 각성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4. 12. 3. 03:00
개화에 뒤쳐진 중국이 근대화한 군대를 가진 영국에 완패하여 굴욕적인 아편 무역을 강요당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편전쟁 이전의 중국은 뒤쳐진 국가가 아니었다. 경제면에서 보자면 영국을 능가할 정도였다. 19세기 전반까지 중국의 GDP가 전 세계 1-2위 수준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과 1위를 다툰 국가는 인도다. 이들은 근대화를 이루었고 막대한 인구를 거느리고 있었으므로 유럽국가들보다도 경제적으로 우위였다고 보았다. 한편 산업혁명에 성공한 영국은 18세기 무렵부터 아시아 쪽으로 진출했다. 영국은 중국과 교역으로 차를 수입했고 영국에는 지금도 홍차를 마시는 습관이 있는데 이는 당시 중국에서 들여온 찻잎에 그 기원이 있다. 홍차는 영국 전역으로 폭발적으로 수입되었으나 영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물품은 거의 없었다.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해 면제품을 대량생산하였으나 중국의 제품에 비해 질과 가격이 뒤쳐졌다. 이런 이유로 영국에서 대량의 은이 중국으로 흘러들어 갔다. 이것을 타개하기 위해 영국은 비밀리에 아편을 수출하였다. 인도에서 제조한 아편을 중국에 강매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차의 대금을 치르는 악의 삼각무역을 구축한 것이다. 청 정부는 중국 내에서의 아편 흡입과 수입을 금지하고 아편이 밀수되는 항구였던 광둥에 적재된 아편을 몰수했다. 그러자 영국은 1840년에 베이징에서 가까운 톈진에 함대를 파견하여 전쟁을 일으켰다. 영국은 승리해 1842년 항복한 청은 홍콩을 할양하고 광둥과 상하이 등 항구 다섯 곳을 개항했다. 그리고 1895년에는 청일전쟁에서도 일본에 완패하여 거액을 배상하고 타이완의 할양도 강요당했다. 그후 신해혁명을 통해 청 정부가 무너졌고 중일전쟁과 내전 등이 이어지다 국가로서 체제를 갖춘 것이 1949년 중국 공산당 정권이 들어서면서이다
1840년 아편전쟁부터 1949년 국가 설립까지 100년 이상 지속된 중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통일국가로 재건을 이룬 것은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이었다. 이에 전 세계가 놀랐다. 제 2차 세계대전 중에는 장제스의 국민당이 전후 중국의 정권을 장악하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일본과 중국의 무력 충돌이 시작된 이래, 미국과 영국이 장제스 정권을 계속 지원했던 것도 그가 일본에 대항할 수 있는 중국 내 유일한 세력이라는 계산이 있어서였다. 무엇보다도 미국은 중국을 매력적인 시장으로 봤다.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되는 대량의 농산물과 공업 제품을 사들여줄 시장을 원했다. 유럽에는 이미 수출할 만큼 수출한 탓에 이제는 포화 상태에 이르러 있었고 더 이상의 수출은 그다지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미국 제품을 구매해줄 다른 국가가 필요했다. 이전부터 미국은 중국에 상당히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었다. 1927년에는 상하이에 코카콜라가 생산을 개시했다. 미국입장에서는 이 중국시장을 어떻게든 보호해야 했기 때문에 장제스 정권에 10억달러나 지원했다. 중국시장이 일본 뜻대로 좌지우지되어서는 안된다는 일념에서였다. 미국이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동기 중 하나는 일본이 중국시장을 독점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도 있었다
미국은 일본을 항복시키고 중국에서 몰아내는 데는 성공했다. 장제스 정권하의 중국은 UN에도 가입하며 상임이사국이라는 지위까지 얻었다. 그 장제스가 전후 중국에서 정권 수립에 실패했는데 이는 국민당의 지도부의 부패를 들 수 있었다. 미국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을 착복하거나 빼돌리는 수법으로 폭리를 취했다. 중국은 1937년부터 1945년 사이에 2000%나 되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는데 이 또한 장제스 정권의 부패와 무능이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민의 불만은 높았다. 제 2차 세계대전 종결된 시점에서 장제스 정권은 중국 인구의 80%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배하고 소련과도 우호동맹조약을 체결했다. 공산당의 우두머리 격인 소련은 마오쩌둥이 아니라 장제스를 지지했던 것이다 그러나 국민당 정권의 부패로 인해 국민당이 대다수가 공산당으로 돌아섰다. 1949년 국민당의 병사 수는 절반가량으로 줄어들었는데 상당수가 공산당에 가담하고 미국의 지원한 무기의 80%이상이 공산당으로 넘어갔다. 1946년에 국민당은 열세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미국은 더 이상 관여하지 않았다. 미국은 장제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제스에 무기를 지원하는 정도로는 무리였으며 본격적인 군사 개입을 할 필요가 있었다 중국인들은 점차 마오쩌둥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미국이 공격을 감행한다면 중국 전역을 적으로 돌리는 셈이 된다 민족자결을 부르짖으며 민족주의와 자유의 기수로서 나치 그리고 일본과 싸워왔던 미국은 도저히 그렇게까지는 할 수 없었다
중국에 공산당 정권이 탄생하자 미국정부는 공산당 정부를 중국의 정부로승인하지 않을 것이며 공산당 정권과는 국교를 맺지 않겠다라고 표명했다. 그리고 타이완으로 도망친 장제스 정권이 중국을 대표하는 정권이라 고집했다. 마오쩌둥은 이에 대해 미국 총영사관의 자산을 몰수하는 형태로 보복했다. 그리고 중국에 진출해 있던 구미 기업들의 자산을 모두 접수했다. 미국 또한 중국인들이 미국 내에서 보유하던 자산을 모조리 동결시켰다. 미국이 태평양에서 일본군과 사투를 벌인 것도, 장제스에게 10억달러나 지원을 한 것도 중국시장에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공산당 정권의 수립으로 미국과는 단절하게 되었다. 고립된 상태에서 소련은 장제스를 지원한 것에 대한 미안한 감에 만주를 중국에 돌려주겠다고 약속하고 1950년에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을 맺고 3억달러의 차관을 들여와 공업화를 착수했다. 미국은 1950년 대중국 수출을 금지했고 중국은 공산주의 일원이 되어 서방국가와는 단절 상태에 들어갔다. 한편 소련은 마오쩌둥에게 지원을 하기는 했으나 장제스 정권과도 우호조약을 체결한 상태였다. 이런 이유로 중국공산당 정권은 소련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품고 있게 되었다. 중국은 동유럽의 공산정권과 달리 독자적으로 수립한 공산주의 정권으로 소련과는 복종관계가 되지 않았다 이는 잘된 일로 1980-1990년대에 걸쳐 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이 잇달아 무너져가는 가운데 중국은 현재까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도 당시 소련과 거리를 두었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
건국 후 중국의 국가 재건은 순조롭게 진행되지는 않았다. 중국은 소련의 경제계획 등을 모방하여 1958년에는 대약진운동을 추진했다. 이는 당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었던 영국을 15년만에 앞지르겠다는 터무니없이 허황된 목표였다. 농공업에 무리한 할당량을 부과한 데다 철강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수치 향상에만 집착했기 때문에 각 산업의 효율이 떨어졌으며 경제는 대혼란을 일으켰다. 수천만명이 굶어죽었다고도 한다. 대약진운동은 3년만에 좌절하였고 마오쩌둥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국가주석을 사임했다. 더구나 1950년대 후반에는 중국과 소련의 관계가 틀어진다. 1957년 소련의 흐루쇼프는 자유주의 진영과 평화외교를 전개했으며 한편으로는 중국에 경계심을 품게 되었다. 1959년 소련은 중국을 상대로 원자폭탄의 기술 공여를 돌연 정지하였다 같은해 중국은 티베트를 둘러싸고 인도와 무력 충돌을 벌였는데 소련은 중립이라는 입장을 취했다. 1960년대에 접어들자 중국과 소련은 국경을 문제로 무력 충돌을 벌이기도 했다. 청조 혼란기인 1858년에 중러 베이징조약으로 국경선이 확정되었으나 국경 절반이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같은 하천에서 2500개 섬이 모두 소련이 차지하고 있던 상태였다. 이에 중국은 하천 내의 섬 절반을 달라고 하였으나 들어주지 않아 중국은 1969년에 우수리강에 있는 전바오섬을 강탈했다. 이를 시작으로 하여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전체에서 충돌이 발생했다. 결국이 핵전쟁으로 가기전에 소련이 전바오섬을 포기하면서 수습됐다
중국은 소련의 지원없이는 근대화를 이룰 수 없었으나 이제 더는 소련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래서 미국의 지원을 받을 작정이었다. 당시 미국은 베트남전쟁이라는 수렁에 빠져 있었던 까닭에 중국의 방향 전환이 필요했다. 이에 미국은 대중국 경제제재를 서서히 완화했다. 중국 본토는 공산당 정권이 장악하고 있었고 타이완은 국민당이 통치하고 있었다. 서방국가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취급받았다. 미국이 경제제재를 완화하는 와중에 1972년 일본이 먼저 중국과 국교를 회복했다. 미국도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여 국교 수립의 움직임이 있었고 1979년에 국교가 수립되면서 중국은 개혁 개방 정책에 나섰다. 이때 미국은 중국인 자산 8050만달러 동결을 해제하였고 중국도 1억 9680만달러 중 8050만달러 분량을 반환했다. 중국의 개혁 개방과 서방 진영과의 경제 교류에 큰 역할은 일본이 하였다. 당시 일본과 중국 사이에는 전후 배상 문제에 있었으나 타이완의 국민당 정부와 주고받은 파일평화조약을 통해 중국 쪽이 배상청구권을 포기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국교수립과 함께 배상청구권을 포기하고 일본은 경제원조를 한다는 암묵적 양해를 이루었다. 1978년 당시 중국은 수출품이 석유나 석탄 같은 에너지자원이었다. 그처럼 열약하였으나 일본의 적극적의 진출과 차관 제공으로 중국 경제는 발전하기 시작했다. 급속도로 경제가 팽창하는 와중에 1989년에 천안문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서방과 일본으로 유학다녀온 중국 유학생들이 비민주적인 중국의 모습과 내부적인 빈부의 차에 대해서 발발한 사태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중국 내부의 부패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천안문 사태에 대해서 서방은 경제적 제재 등을 하였으나 일본은 거액의 투자가 진행되어 강력한 제재를 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일본의 대응으로 중국은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은 면했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화를 작동시키는 배후에는 무엇이 있는가 ? (1) 2025.01.21 전 세계를 뒤흔든 후발주자인 독일의 야망에 대해 (5) 2024.11.14 인류 최초의 산업국가를 이룬 영국에 대해서 (4) 2024.10.15 석유 이권 투쟁과 아랍의 사회 혼란 (1) 2024.08.27 근대 금융자본주의의 출발지인 네덜란드에 대해서 (1)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