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경 9 ) 노자는 자연을 무엇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9. 24. 04:12
노자의 자연에는 두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우리 눈앞에 펼쳐진 만물의 총합으로서의 자연, 다른 하나는 만물의 운행 원칙으로서의 자연이다. 만물의 운행 원칙은 인간의 의도가 개입되지 않는 것이다. 노자는 누구에게나 치우침 없이 공정하고 객관적인 자연을 모델로 해서 심리적인 주관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했다. 공자의 경우처럼 심리적인 주관성을 극복하지 못하면 사상이 가치론으로 빠지기 때문이다. 가치론으로 빠지면 특정한 이념을 기준으로 삼을 수 밖에 없다. 기준은 구분으로 이는 배제와 억압하는 일이 일어난다. 그러면 사회는 분열되고 갈등 속으로 빠진다 이와는 다른 길을 가고자 노자는 가치론으로 빠질 여지가 전혀 없는 자연을 사유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인간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 그래서 인간의 심리적 주관성이 개입될 소지가 없는 대자연을 따라 자율과 통합이 이뤄지는 나라를 꿈꾼 것이다
노자는 자연에서 발견한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세상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말은 잘못 이해하면 그냥 문명을 거부하고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로 오해하게 된다. 노자는 자연 속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지적으로 파악한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의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주장한 것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노자 사상을 반문명론으로 오해하고 문명 자체를 부정하는 삶으로 알고 있다. 노자와 공자나 모두 문명을 추구하는 사람들이다. 공자는 인간 누구에게나 있는 공통의 본질인 인을 기준으로 삼고, 그것을 지키며 확대하는 삶을 살자는 것이고 노자는 그렇게 살면 필연적으로 가치론에 빠져서 이 세계를 양분하게 되니 그런 것이 배제된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 세상에 적용하는 문명을 건설하자고 주장한 것이다. 노자의 사상은 문명의 형식을 다르게 끌고 가는 것이지 결코 문명을 반대한 철학이 아니다
유독 노자 철학만 그런 오해를 많이 받는 것 같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는 유교가 중심 사상이었던 시대를 매우 오래 살았다. 조선시대 6백년 동안 이어진 유교 중심 이데올로기가 각인된 상태에서 노자의 사상은 반유교적으로 해석되었다. 유교는 문명의 책임자 행세를 하면서 노자 사상에 문명의 비판자나 파괴자의 탈을 씌운 것이다. 이렇게 해서 공자는 적극적으로 세상에 개입하는 사상가로 만들고 노자는 세상을 떠나는 사상가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또한 노자의 사상을 전체주의적인 사고로 보는 것은 큰 오해로 사실은 통합적인 사고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도덕경(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덕경 11 ) 노자사상에서 上善若水의 물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나 (0) 2022.10.08 ( 도덕경 10 ) 노자사상에서 모성성 내지 여성성이란 무엇인가 ? (0) 2022.10.01 ( 도덕경 8 ) 노자의 有無相生이론을 관계론적 사유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0) 2022.09.17 ( 도덕경 7 ) 유의 대립 개념으로 노자는 무를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0) 2022.09.09 ( 도덕경 6 ) 도가 말해질 수 있으면 진정한 도가 아니고 이름이 개념화될 수 있으면 진정한 이름이 아니다라고 하는 이유는 ? (0)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