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경 5 ) 도경과 덕경의 특징과 덕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도덕경(노자) 2022. 8. 27. 06:02
일반적으로 도덕경은 1장부터 37장까지를 형이상학적인 내용이 중심이 되는 도경이라 하고 38장부터 81장까지를 도의 구체적인 적용 즉 덕의 실현이 위주가 되는 덕경이라 구분한다. 도경과 덕경으로 나뉘어 있으면서 81장 전체가 도덕경이라는 한권의 책을 이루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중국 백서본으로 고대 진나라 말기에서 전한 사이로 보고 있다. 물론 사기에도 도덕경이 상하권으로 나누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에게는 위진시기 왕필의 것이 잘 알려졌다
인간이 주도적으로 펼치는 역사는 신으로부터 이탈하면서 비로서 시작되었다. 철학이 시작되었다는 말은 믿음의 시대에서 생각의 시대로 넘어갔다는 말과 같다. 신이 주인인 시대에서 인간이 주인이 되려는 시대로 넘어갔다는 이야기이다. 인간의 역사는 생각하는 능력으로부터 시작된다. 철학이 시작되면서 인간의 역사는 신의 역할과 지위가 축소되고 인간의 역할과 지위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중국에서는 공자와 노자가 살았던 시대이다. 이들 이전에 만들어진 개념이 德이었다 덕은 선행을 하는 태도라기보다는 선행이 나오는 근본적인 힘 즉 나를 나로 존재하게 하는 근거나 능력 같은 것이다. 나를 나이게 하는 힘 그게 덕이다
주나라 전인 서주시대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나라의 건국과 흥망성쇠, 삶의 의미와 신분 계급 등 모든 것을 天이 결정한다고 믿었다. 주나라가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패자가 되었다. 은나라를 신이 세웠다고 믿고 있었는데, 왜 신의 뜻이 은나라에서 주나라로 옮겨 갔는지를 설명할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통치자가 덕을 지키는 여부에 따라 하늘의 뜻이 움진인다고 설명하게 된다. 은나라 통치자는 덕을 잃어버렸고 주나라 통치자는 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하늘의 뜻 즉 천명이 은나라를 떠나 주나라로 갔다는 것이다.
이렇게 인간이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덕으로써 신의 뜻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로 승격한 셈이다. 덕의 출현으로 인간의 지위가 올라간 것이다. 덕이라는 개념이 출현하지 않았으면 중국에서 인간은 신으로부터 독립할 수 없다. 인간이 덕을 가진 존재로 해석되면서 비로소 신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인간에게는 덕이 있느냐 없느냐가 얼마나 나은 인간이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더 잘 살고 싶거나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은 사람은 이 덕을 잘 길러야 한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도덕경(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덕경 7 ) 유의 대립 개념으로 노자는 무를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0) 2022.09.09 ( 도덕경 6 ) 도가 말해질 수 있으면 진정한 도가 아니고 이름이 개념화될 수 있으면 진정한 이름이 아니다라고 하는 이유는 ? (0) 2022.09.03 ( 도덕경 4 ) 노자사상을 법가사상이 이어받았다고 하는데 그 연결고리는 무엇인가 (0) 2022.08.20 도덕경 3 - 도덕경에서 노자의 표현방식이 논어의 공자와 다르다는데 (0) 2022.08.13 ( 도덕경 - 노자는 누구이며 도덕경은 어떤 책인가 ) (1) 20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