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監(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9. 2. 03:29
(監)볼 감 (鑑)살필 감 (濫)넘칠 람 (藍)쪽 람 (覽)볼 람 (鹽)소금 염 (監)볼 감은 엎드려 물 있는 그릇을 (鑑)거울,살필 감은 쇠같이 잘 보이도록 만든 (濫)넘칠 람은 물이 밖으로 보이게 (藍)쪽 람은 풀을 보니 (覽)볼 람는 보고 또 보니 (鹽)소금 염은 엎드려 그릇에 담은 소금밭의 1. 監禁(감금,볼감,금할금) 監督(감독,살필독) 監査(감사,조사할사) 2. 龜鑑(귀감,거북귀,거울감) 鑑別(감별,살필감,분별할별) 鑑賞 (감상,즐길상)예술감상 - 感傷(감상,낙엽 감상에 빠져), 感想文, 3. 濫用(남용,넘칠람,쓸용) 濫發(남발,발행할행) 氾濫(범람,넘칠범) 猥濫(외람,함부로외) 4. 藍色(남색,쫒람,빛색) 5. 觀覽(관람,볼관,볼람) 博覽會(박람회,넓을박,모일회) 展覽會(전람회,펼전) 6. ..
-
巨(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30. 05:29
(巨)클 거 (拒)막을 거 (距)거리 거 (臣)신하 신 (臥)누울 와 (臨)임할 림 (巨)클 거는 큰자를 손에 든 모양 (拒)막을 거는 손으로 크게 벌려 (距)거리 거는 발로 크게 걸은 (臣)신하 신은 임금 앞에서 큰 눈을 뜬 (臥)누울 와은 신하처럼 사람은 엎드려 (臨)임할 림은 신하는 엎드려 물건을 1. 巨物(거물,클거,물건물) 巨富(거부,부자부) 巨金(거금,돈금) 2. 拒否(거부,막을거,아닐부) 拒逆(거역,거스릴역) 拒絶(거절,끊을절) 3. 距離(거리,떨어질거,떨어질리) 4. 功臣(공신,공공,신하신) 奸臣(간신,간사할간) 忠臣(충신,충성충) 5. 臥病(와병,누울와,병병) 臥佛(와불,불상불) 6. 臨迫(임박,임할림,칠박) 臨終(임종,마칠종) 降臨(강림,내릴강)
-
彔(깍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26. 04:24
(錄)기록할 록 (綠)푸를 록 (祿)봉급 록 (緣)인연 연 (靈)신령스러울 령 (零)떨어질 령 (錄)기록할 록은 쇠를 깍아 (綠)푸를 록은 나무 깎을 때 나오는 실색깔은 (祿)봉급 록은 나무깎고 신에 바치는 (緣)인연 연로 실로 끊어진 곳을 잇는 (靈)신령스러울 령은 비오라 세명의 무당이 비는 (零)떨어질 령은 비와 명령처럼 아래로 1. 錄音(녹음,기록할록,소리음) 附錄(부록,붙일부) 錄畵(녹화,그림화) 2. 綠陰(녹음,푸를록,그늘음) 綠茶(녹차,차차) 常綠樹(상록수, 항상항,나무수) 3. 祿俸(녹봉,봉급봉,녹녹) 4. 緣故(연고,인연연,옛고) 緣分(연분,나눌분) 結緣(결연,맺을결) 5. 靈感(영감,신령스러울영,느낄감) 靈魂(영혼,넋혼) 靈藥(영약,약약) 6. 零細民(영세민,가늘세) 零下(영하,영영)
-
雨(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23. 04:26
(雨)비 우 (露)이슬 로 (雪)눈 설 (雲)구름 운 (霜)서리 상 (雷)천둥 뢰 (電)번개,전기 전 (雨)비 우 (露)이슬,드러날 로는 빗방울처럼 길에 있는 (雪)눈,씻을 설은 비가 얼어 고슴도치 머리처럼 내리는 (雲)구름 운은 비를 말하니 변하여 (霜)서리 상은 비가 추위에 서로 엉겨 (雷)천둥 뢰는 비가 올 때 밭에 오는 (電)번개,전기 전는 비가 올 때 번쩍 나는 1. 雨傘(우산,비우,덮개산) 暴雨(폭우,사나울폭) 2. 眞露(진로,참진,이슬로) 露出(노출,드러날로,날출) 暴露(폭로,갑자기폭) 3. 雪景(설경,눈설,볕경) 雪糖(설탕,엿당) 雪辱(설욕,씻을설,욕될욕) 4. 靑雲(청운,푸를청,구름운) 雲集(운집,모일집) 5. 秋霜(추상,가을추,서리상) 傲霜孤節(오상고절,오만할오,외로울고,절개절)-국화를..
-
求(구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19. 06:37
(求)구할 구 (救)구원할 구 (球)공 구 (康)편안할 강 (隸)종 예 (逮)잡을 체 (求)구할 구은 하나의 물방울이라도 (救)구원할 구는 구한 사람을 쳐서 (球)공 구는 구한 구슬처럼 생긴 (康)편안할 강은 집에 미치면 (隸)종 예은 보여진 선비가 미친 사람이 (逮)잡을 체는 미쳐 달려서 1. 求愛(구애,구할구,사랑애) 求職(구직,일직) 求乞(구걸,빌걸) 2. 救助(구조,구원할구,도울조) 救急(구급,급할급) 救命(구명,목숨명) 3. 地球(지구,땅지,공구) 球根(구근,둥글구,뿌리근) 球技(구기,재주기) 4. 健康(건강,튼튼할건,편안할강) 5. 奴隸(노예,종노,종예) 隸屬(예속,붙을예,속할속) 6. 逮捕(체포,잡을체,잡을포)
-
螢(불꽃,반딧불형)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16. 05:52
(螢)반딧불 형 (榮)영화 영 (勞)일할 로 (營)다스릴 영 (赤)붉을 적 (亦)또 역 (跡)발자국 적 (螢)반딧불 형은 불꽃속에 있는 벌레는 (榮)영화 영은 불꽃속에 있는 나무는 (勞)일할 로는 불꽃속에 있는 힘으로 (營)다스릴 영은 불꽃처럼에 환한 궁궐을 (赤)붉을 적은 흙이 불에 타니 (亦)또 역는 머리가 불타니 (跡)발자국 적은 발을 또 밟으니 1. 螢光燈(형광등,반딧불형,빛광,등불등) 螢雪之功(형설지공,눈설,공로공) 2. 榮光(영광,영화영) 繁榮(번영,번성할번) 榮華(영화,빛날화) 3. 勞苦(노고,일할로,쓸고) 過勞(과로,넘칠과) 4. 營利(영리,다스릴영,이로울리) 營業(영업,업업) 國營(국영) 5. 赤字(적자,붉을적,글자자) 赤裸裸(적나라,벌거벗을라) 6. 亦是(역시,또역,옳을시) 7. 人跡(..
-
火(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12. 06:27
(火)불화 (炎)불꽃 염 (談)말씀 담 (淡)맑을 담 (愈)병 나을 유 (輸)보낼 수 (火)불화는 불을 본떠서 (炎)불꽃,염증 염은 불과 불이 겹쳐 (談)말씀 담은 말을 따뜻하게 하는 (淡)맑을 담은 물을 덥게 하면 (愈)병 나을 유 (輸)보낼 수는 병을 낫기 위해 차를 1. 放火(방화,놓을방) 防火(방화,막을방) 火災(화재,재앙재) 2. 暴炎(폭염,사나울폭,불꽃염) 炎凉世態(염량세태,찰량,모양태 - 세력이 있으면 아첨하고 권세가 없으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 炎症(염증,염증염,증세증) 3. 談笑(담소,말씀담,웃음소) 談合(담합,합할합) 美談(미담,아름다울미) 4. 淡水(담수,맑을담) 濃淡(농담,짙을농) 淡淡(담담,차분한) 淡白(담백) 5. 治癒(치유,치료할치,병나을유) 6. 輸出(수출,보낼수,나아갈출..
-
巛(개미허리의 냇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8. 9. 06:38
(災)재앙 재 (巡)돌 순 (腦)뇌 뇌 (惱)괴로울 뇌 (獵)사냥할 렵 (災)재앙 재는 냇물이나 불로 인한 (巡)돌 순은 냇물이 흘러가듯 (腦)뇌 뇌는 몸의 정수리에서 냇물처럼 흐르는 곳은 (惱)괴로울 뇌는 뇌의 마음은 항상 (獵)사냥할 렵은 개가 짐승의 목 갈기를 물어 1. 災難(재난,재앙재,어려울난) 災害(재해,해로울해) 罹災民(이재민,걸릴리) 2. 巡訪(순방,돌순,방문할방) 巡視(순시,볼시) 巡警(순경,경계할경) 3. 腦裏(뇌리,뇌뇌,속리) 頭腦(두뇌,머리두) 洗腦(세뇌,씻을세) 首腦(수뇌,머리수) 4. 苦惱(고뇌,쓸고,괴로워할뇌) 煩惱(번뇌,답답할번) 5. 狩獵(수렵,사냥수,사냥렵) 獵銃(엽총,총총)